콘텐츠 바로가기
  • 개미 상반기 성적 보니…0.8% 수익

    개미 상반기 성적 보니…0.8% 수익

    올 상반기 증시엔 훈풍이 불었지만 개인투자자의 투자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9일까지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POSCO홀딩스로 집계됐다. 2차전지주 열풍을 주도한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이 각각 2, 3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카카오, SK이노베이션, 네이버, LG화학, LG생활건강, 한화솔루션, 포스코퓨처엠 등의 순이었다.한국경제신문이 개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매수단가(총매수금액을 총매수주식 수로 나눈 금액)와 29일 종가를 비교해 수익률을 추정한 결과 개인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0.8%에 그쳤다.개인투자자는 2차전지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낸 것으로 조사됐다. 순매수 1위인 POSCO홀딩스의 29일 종가는 38만7500원으로 개인투자자의 평균매수단가(37만955원)보다 4.46% 높았다. 순매수 2위인 에코프로의 종가(71만4000원)는 개인의 평균매수단가(46만4398원)를 53.7% 웃돌았다.순매수 종목 중 개인이 손실을 가장 많이 본 종목은 LG생활건강으로 조사됐다. 29일 종가가 평균매수단가보다 24.5% 낮았다. 카카오(-18.27%), SK이노베이션(-10.64%), 네이버(-9.73%) 등 다른 종목도 성적표가 좋지 않았다. 다만 개미들은 주로 하락 종목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이런 추정 수익률은 매도 시점의 실제 수익률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외국인 투자자의 상반기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은 금액 기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SDI, LG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기아, 현대로템, LG에너지솔루션, JYP엔터테인먼트 등으로 조사됐다. 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들의 상반기 평균 수익률은 약 13.5%였다.외국인 순매수 1위

  • 올해 2차전지선 대박 났는데…'이 종목' 산 개미들 '피눈물'

    올해 2차전지선 대박 났는데…'이 종목' 산 개미들 '피눈물'

    올해 상반기 증시 훈풍에도 불구하고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성적표는 ‘보합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순매수 상위 종목들의 평균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0.8% 수준에 그쳤다. 2차전지주에서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냈지만 네이버·카카오 등의 종목에서 손해를 본 것으로 추정됐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9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위 10개 종목은 POSCO홀딩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카카오, SK이노베이션, 네이버, LG화학, LG생활건강, 한화솔루션, 포스코퓨처엠 순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신문이 개인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들의 평균매수단가(총매수금액을 총매수주식 수로 나눈 금액)와 29일 종가를 비교해 수익률을 추정해본 결과, 순매수 상위 종목들의 평균 수익률은 0.8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개인은 올해 들어 주가가 크게 올랐던 2차전지주에서는 비교적 높은 수익을 냈다. 상반기 개인 순매수 1위인 POSCO홀딩스의 경우 개인 평균매수단가가 37만955원이었다. 29일 종가(38만7500원)는 평균매수단가보다 4.45% 더 높았다. 순매수 2위인 에코프로의 경우 평균매수단가가 46만4398원으로 전날 종가(71만4000원)와 비교하면 53.7%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3위인 에코프로비엠과 순매수 10위인 포스코퓨처엠도 추정수익률이 각각 13.4%, 21.8%로 나타났다.그러나 개인이 주로 매수하는 네이버, 카카오 등을 비롯한 종목에서는 손실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카카오의 전날 종가는 4만9000원으로 평균매수단가인 5만9955원에 비해 18.2% 낮았다. 네이버(-9.73%), SK이노베이션(-10.64%), LG화학(-8.49%), LG생활건강(-24.5%), 한화솔루션(-13.7%) 등 다른 종목들도 전날 종가가 상

  • 증시 대기자금 53조…개미들은 하락에 베팅

    증시 대기자금 53조…개미들은 하락에 베팅

    2차전지주 상승세 등에 힘입어 증시대기자금이 53조원을 넘었다. 다만 상승세를 주도해온 코스닥시장 상장사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이 과열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개인투자자는 코스닥 하락세에 베팅하기 시작했다.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3조50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 계좌에 맡겨놓은 돈으로, 증시대기자금 성격을 지닌다.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세를 이어가자 개인투자자들이 증시로 속속 복귀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스닥시장의 월평균 거래대금은 지난 1월 6조1730억원 수준이었지만 지난달에는 12조7381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의 월평균 거래대금도 1월 6조9682억원에서 지난달 8조9348억원으로 증가했다.최근 들어서는 코스닥지수 하락세에 베팅하는 개인투자자가 늘고 있다. 개인은 최근 10거래일(3월 22일~4월 3일) 동안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를 2001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쳐 순매수 4위였다. 이 ETF는 코스닥150 선물지수 수익률을 역으로 추종하는 상품이다. 반대 성격 상품인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는 106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최근 코스닥 2차전지주를 중심으로 공매도가 급격히 쌓이면서 투자자가 돌아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공매도 잔액은 7777억원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공매도 잔액이 가장 많은 LG에너지솔루션(7284억원)보다 큰 규모다. 에코프로비엠의 공매도 잔액

  • STOCK

    300조 육박한 2차전지 시총…주도주 굳히기 나선다

    2차전지주가 ‘주도주 굳히기’에 들어갔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요 2차전지 업체의 시가총액 합이 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총 1위 기업 삼성전자(353조4111억원) 다음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지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2차전지 셀과 양극재 업체의 주가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코스피 좌지우지하는 2차전지주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요 2차전지 업체(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포스코케미칼)의 시총 합계는 270조8020억원에 달한다. 지난 3월말(211조1810억원)과 비교하면 28.23%,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전인 올초(124조2050억원)와 비교하면 118.03% 급증했다.  유가증권시장 시총 1위 기업인 삼성전자(353조4111억원)에 맞먹을 정도의 거대 산업으로 성장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수혜를 고스란히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꼽힌데다 탄탄한 실적까지 자랑하면서 올해 약세장에서도 꾸준한 상승세를 그렸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포스케미칼 등은 모두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크게 웃도는 3분기 실적을 냈다. 판매량이 크게 증가한데다 원재료 가격 상승분을 판매 가격에 전가하는데 성공한 덕분이다. 염승찬 이베스트증권 이사는 “2차전지 밸류체인의 지수 영향력은 반도체 다음으로 커졌다”며 “2차전지의 강세가 시장 전체를 이끌 수 있는 힘을 갖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매파 본색’을 드러낸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이날 코스피지수가 0.33% 하락하

  • 2차전지 검사장비 개발사 엔시스 IPO 추진

    2차전지 검사장비 개발사 엔시스 IPO 추진

    ≪이 기사는 12월04일(05: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검사 장비를 제조하는 엔시스가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올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공모주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흥행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엔시스는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내년 상반기 상장한다는 목표다. 이 회사는 자동차전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2차전지 제품을 중심으로 각종 검사기를 개발하는 머신비전 전문업체다. 머신비전은 기계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시각과 판단 기능을 부여한 장비를 뜻한다. 머신비전을 활용하면 완제품 표면 확인, 물리적 결함 추적, 부품 누락 여부 등 각종 검사를 정밀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2차전지 등 산업계 전반에서 머신비전이 활용되고 있다. 엔시스는 주로 2차전지용 머신비전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자동차전지와 ESS의 레이저 용접을 점검하는 '3D검사기'부터 2차전지 완제품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는 '외관검사기'에 이르기까지 각종 검사기를 생산하고 있다. 삼성SDI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2차전지 대기업의 협력업체다. 2차전지 시장이 커질수록 머신비전 기업도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엔시스는 지난해 코어자산운용과 미래에셋대우 등 주요 기관으로부터 100억원 안팎의 투자를 유치했다. 국내 상장사 가운데 머신비전 기업인 이노메트리 등이 비교기업으로 거론되고 있다.이 회사는 2차전지 성장세를 타고 실적이 상승세다. 지난해 매출 319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도 278억, 26억원 대비

  • 이엔드디, 일반청약 경쟁률 809대 1

    ≪이 기사는 07월22일(17: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용 촉매시스템을 만드는 코넥스시장 상장사 이엔드디의 일반청약 경쟁률이 800대 1을 넘어섰다. 2차전지 사업을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것을 기업홍보(IR) 활동 중 적극적으로 알린 것이 투자심리를 끌어 모았다는 평가가 나온다.22일 이엔드디의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21~22일 이틀간 진행한 일반청약 경쟁률은 809대 1이었다. 청약금의 절반인 청약증거금으론 2조7247억원이 몰렸다. 일반청약에 참여한 투자자는 567만원당 공모주 1주를 받는다.이엔드디는 수요예측(기관투자자 대상 사전청약)에서도 116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냈다. 수요예측 흥행에 힘입어 공모가를 희망공모가격(1만2350~1만4400원) 중 상단인 1만4400원으로 확정했다.이엔드디는 매연저감장치와 촉매기술을 바탕으로 2차전지에 들어가는 전구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이엔드디는 2013년 코넥스시장이 개설되면서 처음 상장한 ‘코넥스 1호’ 기업이다. 오는 30일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한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2차전지 후공정업체 에이프로, IPO 출사표

    2차전지 후공정업체 에이프로, IPO 출사표

    “세계 1위 우량고객사와 안정된 거래를 유지하며 함께 성장 중인 에이프로는 이번 기업공개(IPO)를 발판으로 세계로 나가려고 합니다.”코스닥 상장을 앞둔 2차 전지 설비업체 에이프로의 임종현 대표이사(사진)는 3일 여의도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에이프로는 오는 1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에이프로는 2000년 임 대표가 설립한 2차전지 제조 장비기업이다. 2차전지를 만드는 여러 과정 중 후공정에 필요한 설비 제조에 집중하고 있다. 조립이 막 끝난 2차전지는 전지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데, 이 상태의 전지에서 불필요한 기체를 빼낸 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해 정상작동하도록 하는 단계가 후공정이다.임 대표는 “가스를 빼는 단계서부터 급속 충·방전으로 내부 화학물질을 활성화해 갓 조립한 전지를 출고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후공정 설비를 고객사에 ‘턴키’로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후공정 단계는 물론 신뢰성테스트까지 할 수 있는 설비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에이프로가 유일”하다며 자사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에이프로는 LG화학에 후공정 설비를 공급하고 있다.임 대표는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으로 에이프로의 성장 또한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연 33%씩,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은 연 34.8%씩 규모가 커지고 있다. 에이프로도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IPO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 중 160억원을 시설 투자에 사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시화MTV연구센터에 40억원, 질화갈륨반도체 관련 장비에 120억원을 투자한다.미래 먹거리 찾기에도 나섰다. 임 대표는 “2차전지 시장이 커지는 것만

  • SBI인베스트먼트, 2차전지 생산장비 제조사 씨아이에스 최대주주 지분 인수

    SBI인베스트먼트가 2차전지 생산장비 제조사인 씨아이에스의 최대주주 지분을 인수했다.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BI인베스트먼트는 특수목적회사(SPC) 지비이홀딩스를 통해 최대주주인 김수하 대표가 보유 중인 주식 약 1011만주(지분율 17.6%)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입가격은 주당 5274원으로 1일 종가(4900원) 대비 약 7.6% 높게 책정됐다.SBI인베스트먼트는 1일 1차로 약 200억원을 지급했다. 오는 8월 330억원을 투입해 인수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기존 최대주주인 김수하 대표는 2대 주주이자 전문경영인으로 회사를 계속 이끌어갈 예정이다. SBI가 운용하는 펀드의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과 영업에 집중할 전망이다.2002년 설립된 씨아이에스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 장비를 만드는 업체다. LG화학, 삼성SDI 국내 2차전지 제조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 1005억원, 영업이익154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2차전지 소부장업체 티에스아이, 코스닥 이전상장 심사신청

    코넥스 상장사인 티에스아이가 코스닥 이전상장에 나선다. 27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따르면 티에스아이는 지난 26일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 테슬라 요건 상장(적자기업 특례상장)을 통해 코스닥에 입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티에스아이는 1996년 태성기공이란 이름으로 설립됐다. 2차전지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물질들을 혼합하는 공정을 위한 장비와 시스템을 공급하는 업체다. 2011년엔 티에스아이로 사명을 바꾸고, 같은해 오백만불 수출의탑을 수상했다. 2017년 10월 코넥스에 상장했다.이 회사는 지난해에 한 차례 이전상장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지정감사 관련 애로사항이 발생해 상장 일정을 연기해 재도전하게 됐다.티에스아이는 지난해 매출 609억원, 순손실 121억원을 냈다. 27일 기준 시가총액은 1079억원이다.최대주주는 표인식 대표로 66.59%를 보유했다. 대표주관을 맡은 한국투자증권은 7.47% 지분을 가졌다. 공모예정주식수는 185만주이며 상장예정주식수는 927만주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LG화학 급가속…현대車 제치고 시총 5위

    LG화학 급가속…현대車 제치고 시총 5위

    LG화학이 현대차를 제치고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5위에 올랐다. 전기차에 장착되는 2차전지 시장의 성장 기대가 커지고 있어서다.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LG화학은 3500원(0.86%) 오른 41만1500원에 마감했다. 올 들어 29.60% 올랐다. 지난해 말 22조4130억원이었던 시가총액은 29조487억원으로 6조6357억원 늘었다. 삼성전자(362조2365억원), SK하이닉스(74조2562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35조675억원), 네이버(30조4081억원)에 이어 유가증권시장 5위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공장 가동이 중단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차(28조4179억원)를 제쳤다.외국인 투자자와 기관투자가의 ‘쌍끌이’ 매수가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올 들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43억원, 926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 기대가 주가 상승의 최대 요인으로 꼽힌다. 박연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유럽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고 글로벌 대장주인 테슬라 주가가 고공행진하는 등 연초부터 성장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세계 1위의 전기차 배터리 회사로서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LG화학이 배터리사업부를 분사하기로 한 것도 긍정적이다. 한승재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분할 회사가 상장하면 글로벌 경쟁사들과 비슷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받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눌려 있던 가치를 빠르게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다만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실적 부진이 올해 1분기까지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LG화학은 지난해 4분기 27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시장 추정치 평균(영업이익 1440억원)을 크게 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