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M&A

    디티알오토모티브, 두산공작기계 자금 모집 '난항'

    2조4000억원 규모의 두산공작기계를 인수하는 디티알오토모티브가 자금 모집에 난항을 겪고 있다. 금융기관들이 펀드 조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거래 종결도 당초 계획(내년 1월28일)보다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디티알오토모티브는 지난 8월 MBK파트너스로부터 두산공작기계 지분 10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뒤 3개월째 자금 모집 중이지만 좀처럼 진척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디티알이 자체적으로 약 2000억여원의 자금을 충당하고, 나머지 2조1660억원은 인수금융 등 외부 자금을 통해 조달하는 구조다. 선순위 인수금융은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이 각각 7300억원, 우리은행이 2000억원을 주선하고, 중순위 메자닌은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한투PE와 M캐피탈이 총 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하기로 했다. 나머지 3000억원은 우리은행 주선으로 단기 대출을 통해 조달한다.  그러나 선순위와 메자닌 펀드에 참여하기로 한 금융기관들이 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투와 KB증권은 시장에서 신디케이션론(여러 금융기관들이 자금을 빌려주는 것) 모집을 하고 있으나 아직 승인 기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LTV가 60% 인데다 4%대 수준인 금리 조건도 좋지 않아 시장의 반응도 탐탁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KB증권의 경우엔 조건부 LOC를 제출하면서 KB은행도 참여하기로 했지만, KB은행이 막판에 불참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더 꼬였다. 한투와 KB증권은 전체 자금을 인출한 뒤 나중에 재매각(셀다운) 한다는 계획이지만 지금 같은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중순위 메자닌 펀드 역시 한투PE가 2000

  • 기황영의 PEF 데뷔, 기앤파트너스 첫 투자처로 영우디지탈 선택

    기황영의 PEF 데뷔, 기앤파트너스 첫 투자처로 영우디지탈 선택

    기황영 전 삼일회계법인 부대표가 이끄는 기앤파트너스 대표가 사모펀드(PEF)업계에서 첫 투자를 완료했다. 기 대표가 기앤파트너스를 창업한 건 올해 5월. 그는 첫 투자로 종합 IT(정보기술) 솔루션 전문기업인 영우디지탈을 선택했다. 최근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투PE)와 기앤파트너스가 공동GP(위탁운용사)로 총 990억원을 투자했다. 선순위 370억원, 중순위(브릿지대출) 255억원 등 인수금융으로 625억원을 조달하고 나머지는 양사가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해 투자키로 했다. 투자 방식은 디지털뉴딜이라는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해 디지털뉴딜이 인수금융 등을 조달하는 식이다.기 대표는 삼일에서 기업금융과 구조조정 자문 분야에 특화된 M&A 전문가로 활약했다. 1999년부터 근무하면서 한보철강, KDB대우증권, 쌍용양회 등 굵직한 딜의 자문을 주도했다. 크로스보더 딜, 사모펀드(PEF) 운용사 자문 등 M&A 관련업무를 두루 섭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앤파트너스가 첫 투자처로 선택한 영우디지탈은 지난해 매출 4233억원, 영업이익 102억원을 기록했다. 1993년 설립한 뒤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주로 판매했다.이번 투자 대상은 영우디지탈뿐 아니라 영우디지탈의 관계사인 이브레인테크까지 포함된다. 이브레인테크는 MS, HP, ASUS, Lenovo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통하는 전문기업이다. 두 곳의 실적을 합하면 지난해 총 6753억원의 매출과 16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올해는 매출이 작년보다 30%가량, 영업이익이 90%가량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타이거대체투자운용, KKR 아시아 PDF 4000억 투자

    ≪이 기사는 07월02일(06:0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타이거대체투자운용이 글로벌 사모펀드(FEF) 운용사가 조성한 아시아 사모대출펀드(Private Debt Fund)에 4000억원을 투자했다. 최근 성장세가 가파른 아시아 우량 기업의 인수금융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보고 인수금융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타이거대체투자운용은 1일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이 운용하는 KKR 아시아 PDF에 재간접 펀드로 투자했다고 밝혔다. 펀드 운영기간은 11년이다. 이 펀드는 높은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는 아시아 인수금융 시장을 목표로 조성됐다. 아시아 인수금융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호주, 뉴질랜드,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을 중심으로 선수위 및 중순위 대출에 투자할 예정이다.PDF는 기업의 부채에 투자하는 펀드다. 특정 기업에 대한 직접 대출, 부실채권, 메자닌, 재간접 펀드 등 다양한 유형으로 투자가 가능하다. 주로 기업의 신용도가 높고 오너 리스크가 낮은 미국과 유럽에서 활용돼 왔다. 아시아에서는 기업들이 금융권서 직접 대출을 받거나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보편화돼 있어 PDF가 생소하다. KKR은 기존 기업 인수 부문과 연계해 아시아 인수금융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아시아 기업 인수를 위해 실사를 한 뒤 괜찮은 기업이라는 실사 결과가 나오면 인수에 실패하더라도 인수금융에 참여할 수 있어서다. 타이거대체투자운용 관계자는 "아시아 기업들의 성장세가 높아 PDF 투자수익률이 유럽 기업 에쿼티(자본) 투자수익률과 비슷하거나 낫다"면서 "기업간 인수합병(M&A)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인수금융 시장도 확대

  • [2021년 상반기 리그테이블]NH투자증권, 하나銀·삼성證 누르고 인수금융 1위 탈환

    [2021년 상반기 리그테이블]NH투자증권, 하나銀·삼성證 누르고 인수금융 1위 탈환

       ≪이 기사는 06월29일(14:1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NH투자증권이 올해 상반기 인수합병(M&A) 인수금융 시장에서 주요 굵직한 거래에 이름을 올리며 1위를 차지했다. NH투자증권은 1년 만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하며 인수금융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입증했다. 하나은행, 삼성증권이 뒤를 이었다.29일 한국경제신문이 상반기 국내 M&A 인수금융 시장 주선 실적을 집계한 결과 NH투자증권은 1조9300억원 규모에 이르는 인수금융 및 리파이낸싱 거래 실적을 쌓아 1위에 올랐다. 2건의 인수금융, 3건의 리파이낸싱 거래를 성사시켰다. 2위를 차지한 하나은행보다 1조원 이상 많은 실적을 쌓아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올 상반기 내내 독주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NH가 1위를 차지한 데에는 bhc 인수금융을 대표 주선한 것이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NH는 전체 인수금융 8500억원 중 4325억원을 주선했다. 리파이낸싱 부문에서도 굵직한 성과를 냈다. 상반기 최대 규모 리파이낸싱 거래였던 한앤컴퍼니의 한온시스템, SK해운 건을 모두 대표 주선하면서 한앤컴퍼니와의 끈끈한 관계를 보여줬다. 각각 1조9200억 중 7950억원, 1조2000억원 중 5900억원을 주선했다.하나은행은 8505억원 실적을 달성하면서 2위 자리를 꿰찼다. 3건의 인수금융, 3건의 리파이낸싱을 주선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만 해도 4위권이었으나 상반기 다수의 거래를 수임하면서 2위로 치고 올라왔다. 한앤컴퍼니의 조 단위 리파이낸싱 거래를 모두 주선한 영향이 컸다. 한온시스템, SK해운 건에서 각각 5000억원, 4750억원을 주선했다. KKR이 지분을 인수한 현대글로벌서비스 거래에서도 4740억원 규모의 인수금

  • 현대인베운용, 4900억원 규모 인수금융펀드 조성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이 4900억원 규모 인수금융펀드를 조성했다.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은 20일 4900억원 규모 ‘현대인베스트먼트 선순위대출 전문투자형 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의 투자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운용사는 이르면 이달 말부터 대출자산에 대한 투자를 시작할 계획이다.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은 지난해 2월 처음 인수금융펀드를 조성했다. 2300억원 규모인 이 펀드는 맥쿼리, 한앤컴퍼니, KKR 등 대형 사모펀드 운용사가 주도했던 인수합병(M&A)에 주로 투자했다. 이 운용사는 1년 만에 첫 번째 인수금융펀드 자금을 모두 소진하자 더 큰 규모로 두 번째 인수금융펀드를 설정했다.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은 KB증권과 신한금융투자를 업무협약기관을 선정해 투자처 발굴 역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ght@hankyung.com 

  • [2020년 총결산 마켓인사이트 리그테이블- 인수금융]삼성증권, 1위 쾌거.. KB증권 3위 약진 '눈길'

    [2020년 총결산 마켓인사이트 리그테이블- 인수금융]삼성증권, 1위 쾌거.. KB증권 3위 약진 '눈길'

    ≪이 기사는 12월30일(16: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삼성증권은 올해 인수합병(M&A) 인수금융 시장에서 2조원이 넘는 주선 실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대성산업가스 등 조 단위 거래의 인수금융을 주선하고 다수의 리파이낸싱 거래에 참여한 덕분이다. KB증권은 하반기에만 코엔텍 인수금융, ADT캡스 리파이낸싱 등 무려 10건의 거래를 주선하며 뒷심을 발휘해 3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30일 한국경제신문이 올 한해 국내 M&A 인수금융 시장 주선 실적을 집계한 결과 삼성증권은 2조757억원 규모의 인수금융 거래 실적으로 1위를 굳혔다. 4건의 인수금융과 7건의 리파이낸싱 거래 실적을 올렸다. 이어 NH투자증권이 11건의 거래에 대해 1조8220억원을 주선해 삼성증권을 바짝 뒤쫓았다.삼성증권 1위의 일등공신은 맥쿼리 PE가 인수한 1조5300억원 규모의 대성산업가스 인수금융이다. 삼성증권은 1조5300억원 중 6330억원의 주선 실적을 쌓았다. 맥쿼리PE의 LG CNS 인수 건에서도 1300억원을 주선했다. 토스가 인수한 1890억원 규모의 LG 유플러스 PG 사업부와 1020억원 규모의 한국자산평가 인수금융은 단독으로 주선했다. 리파이낸싱 건을 통한 실적도 상당했다. 한국콜마의 HK이노엔 리파이낸싱 4800억원,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의 버거킹 리파이낸싱 1700억원, IMM PE의 에어퍼스트 리파이낸싱 2000억원, ADT캡스 리파이낸싱 1950억원의 실적을 쌓았다.2위를 차지한 NH투자증권은 올해 한앤컴퍼니가 추진한 모든 거래에 대해 인수금융을 주선했다. 대한항공 기내식 사업부 거래에 대해 5000억원 규모의 인수금융을 단독 주선하면서 한앤컴퍼니와의 끈끈한 협업 관계를 증명

  • 큐리어스 컨소시엄, 우진기전 인수자금 조달 마무리…연내 클로징 예정

    큐리어스 컨소시엄, 우진기전 인수자금 조달 마무리…연내 클로징 예정

    기업재무안정 투자에 특화된 PEF운용사 큐리어스파트너스가 전력기자재 업체 우진기전 경영권 인수 절차를 사실상 마무리했다. 내달 기관투자자(LP)들의 출자를 마무리 짓고, 올해 안에 거래를 종결한다는 방침이다. 29일 IB업계에 따르면 큐리어스 컨소시엄은 이날 우진기전 인수를 위한 PEF에 약 200억원 규모 후순위투자자 모집을 마무리했다. 이 날 정관 날인까지 마치면서 가장 큰 고비로 꼽혔던 후순위투자자 모집이 완료됐다. 거래도 사실상 마무리 절차에 돌입했다.  이번 거래는 큐리어스 컨소시엄이 우진기전의 모회사인 에이스우진이 발행하는 전환사채(CB)를 1800억원에 매입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인수금융과 PEF의 모집금액은 각각 900억원이다.인수금융은 우리은행이 총액인수 형태로 담당한다. PEF에 나머지 자금을 투입할 선순위 LP 모집도 이미 오버부킹 된 것으로 전해진다. 후순위 출자가 마무리되며 하방 안정성(Downside Protection)이 보장된만큼, 선순위 LP들의 투자금 납입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르면 내달 예정된 LP들의 투자확약서(LOC) 제출이 마무리된 후 12월 중순 거래 종결 예정이다.큐리어스 컨소시엄은 에이스우진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에이스우진 주식 100%와 에이스우진이 갖고 있는 우진기전 주식 100%를 모두 담보 설정할 예정이다. 그간 잦은 주주 변동으로 인한 LP들의 우려를 줄이고 거래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또 핵심 주요 임원으로부터 경업금지 확약을 받아 인수 이후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도 해소했다. 1984년 설립된 우진기전은 해외 제조업체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독점 형태로 국내 기업들에게 납품하고, 설치·운영·사후관리 서비스까

  • 상반기 1조3545억 주선한 삼성증권 '인수금융 1위'

    상반기 1조3545억 주선한 삼성증권 '인수금융 1위'

    삼성증권이 올해 상반기 인수합병(M&A) 인수금융 시장에서 주요 거래의 인수금융을 주선하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대성산업가스, LG CNS 등 조 단위 규모의 상당수 거래에 이름을 올렸다.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이 뒤를 이었다.한국경제신문이 상반기 국내 M&A 인수금융 시장 주선 실적을 집계한 결과 삼성증권은 1조3545억원 규모에 이르는 인수금융 거래 실적을 쌓아 1위에 올랐다. 2건의 인수금융과 3건의 리파이낸싱 거래를 성사시켰다.삼성증권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로 M&A는 물론이고 인수금융 시장이 침체된 상황 속에서도 주요 조 단위 거래에 이름을 올렸다. 맥쿼리 프라이빗에쿼티(PE)가 인수를 마친 대성산업가스와 LG CNS의 인수금융을 주선한 것이 대표적이다.리파이낸싱 부문에서도 3건의 거래 중 2건은 단독 주선했다. 한국콜마가 보유한 HK이노엔 리파이낸싱 4800억원,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가 보유한 버거킹 리파이낸싱 1700억원을 주선했다. 어펄마캐피탈이 단행한 EMC홀딩스의 리파이낸싱도 1950억원을 책임졌다.미래에셋대우는 한앤컴퍼니의 쌍용양회공업 리파이낸싱 9550억원을 주선하면서 2위 자리를 꿰찼다. 총 4건의 거래를 통해 1조225억원의 전체 실적을 쌓았다. SK브로드밴드의 인수금융을 주선해 2500억원(선순위만 반영)의 실적을 확보했다.3위에 오른 NH투자증권은 6건의 거래를 성사시켜 971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NH투자증권은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맥쿼리 PE 등 대형 PEF가 성사시킨 주요 거래 인수금융에 참여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한앤컴퍼니의 에이치라인해운 리파이낸싱 3700억원, 한앤컴퍼니가 인수한 SK케미칼 바이오에너지 사업부 인수금융 21

  • [마켓인사이트][2020년 상반기 리그테이블] 인수금융 부문‥삼성증권, 미래에셋·NH 제치고 1위 등극

    [마켓인사이트][2020년 상반기 리그테이블] 인수금융 부문‥삼성증권, 미래에셋·NH 제치고 1위 등극

    삼성증권이 올해 상반기 인수합병(M&A) 인수금융 시장에서 주요 거래의 인수금융을 주선하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대성산업가스, LG CNS 등 조 단위 규모의 상당수 거래에 이름을 올렸다.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이 뒤를 이었다. 14일 한국경제신문이 상반기 국내 M&A 인수금융 시장 주선 실적을 집계한 결과 삼성증권은 1조3545억원 규모에 이르는 인수금융 거래 실적을 쌓아 1위에 올랐다. 2건의 인수금융과 3건의 리파이낸싱 거래를 성사시켰다. 2위를 차지한 미래에셋대우보다 3000억원 이상 많은 실적으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삼성증권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로 M&A는 물론이고 인수금융 시장이 침체된 상황 속에서도 주요 조 단위 거래에 이름을 올렸다. 맥쿼리 PE가 올해 상반기 중 인수를 마무리 한 대성산업가스와 LG CNS의 인수금융을 주선한 것이 대표적이다. 삼성증권은 1조5300억원 규모에 달하는 대성산업가스 인수금융 거래를 대표 주선한 것과 동시에 6330억원을 책임졌다. LG CNS 인수금융의 경우 전체 규모 5200억원 중 1300억원을 주선했다.리파이낸싱 부문에서도 3건의 거래 중 2건을 단독으로 주선했다. 한국콜마가 보유한 HK이노엔 리파이낸싱 4800억원,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가 보유한 버거킹 리파이낸싱 1700억원을 주선했다. 어펄마캐피탈이 단행한 EMC홀딩스의 리파이낸싱도 1950억원을 책임졌다.미래에셋대우는 한앤컴퍼니의 쌍용양회공업 리파이낸싱 9550억원을 주선하면서 2위 자리를 꿰찼다. 총 4건의 거래를 통해 1조225억원의 전체 실적을 쌓았다. SK브로드밴드의 인수금융을 주선해 2500억원(선순위만 반영)의 실적을 확보했다. MBK파트너스의

  • [마켓인사이트] MBK, 네파 인수금융 차환 착수

    [마켓인사이트] MBK, 네파 인수금융 차환 착수

    ▶마켓인사이트 1월 13일 오전 6시MBK파트너스가 아웃도어 전문업체 네파의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기로 했다.1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네파의 인수금융을 차환하기 위해 우리은행에 리파이낸싱 주선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4월 만기인 기존 대출을 상환하려는 목적이다.MBK파트너스는 2013년 네파를 9400억원에 인수하면서 국내 은행과 증권사들로부터 4500억원을 빌렸다. 2017년 매출채권 유동화 등으로 700억원, 2018년 재고자산 유동화 등으로 750억원을 상환해 잔여 대출은 2100억원대로 줄었다. 지난해 5월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등 대주단은 채무 감소와 수익성 개선을 감안해 올해 4월 말까지 대출을 연장하는 데 동의했다.리파이낸싱 주선사로 유력한 우리은행은 최근 네파의 수익성 증가에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파는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뒤 2016년까지 영업이익과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등 수익성 지표가 계속 감소하다가 2017년 이후로 반등했다. 인수금융 연장에 성공한 2018년 매출은 3728억원으로 전년보다 3.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44.8% 늘어난 476억원, 상각전영업이익은 62.9% 불어난 652억원을 기록했다.MBK파트너스는 이달 말까지 대주단에 기존 대출을 상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달 말까지 리파이낸싱을 위한 투자확약서(LOC) 발급이 어렵기 때문에 기존 대주단과 협의할 예정이다.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M&A 생태계 파괴?…인수금융 시장 잠식하는 산업은행

    ▶ 마켓인사이트 10월 1일 오전 6시 산업은행이 인수합병(M&A) 자금을 대출해주는 ‘인수금융’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산업은행은 “기업의 산업 재편을 지원하는 것도 정책기관의 역할”이라며 인수금융 시장 참여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시중은행과 증권사들은 “국책은행인 산은이 지나치게 낮은 이자율을 제시해 일감을 가져가는 등 인수금융 시장 생태계를 흐...

  • [마켓인사이트]M&A 인수금융 생태계 파괴하는 산업은행

    ≪이 기사는 09월30일(09:5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산업은행이 기업의 설비투자 자금 지원을 통한 고용 창출이라는 국책은행의 업무 대신 시중은행과 증권사들로 포화상태인 인수금융(M&A 자금 대출) 시장에 뛰어들어 시장 생태계를 흐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최근 파격적인 이자율을 내세워 잇따라 대형 M&A 거래의 인수금융을 단독으로 주선하고 있다. 국내 1위 골판지 회사인 태림포장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세아상역의 인수금융 대출 경쟁이 대표적인 사례다. M&A 거래에서 인수회사는 인수자문사에 인수금융까지 맡기는게 일반적이지만 세아상역은 인수자문사인 미래에셋대우 대신 산업은행을 선택했다. 산업은행이 연 3.5% 수준의 파격적인 이자율을 제시한 덕분이다. 시중은행과 증권사들의 이자율보다  40~50bp(베이시스포인트, 1bp는 0.01%) 낮은 수준이다. 인수금융 업계 관계자는 “건당 수천억원의 대출규모를 감안할 때 일반 금융회사들은 도저히 당해낼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강성부 펀드’로 이름을 알린 LK투자파트너스와 에이투파트너스의 삼양옵틱스 인수도 

  •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

    [마켓인사이트]우정사업본부,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

    ≪이 기사는 08월23일(14:1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가 인수합병(M&A) 딜에 수반되는 중순위 인수금융에 투자하는 펀드를 위탁할 운용사를 선정한다. 우정사업본부가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출자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우정사업본부 예금사업단은 지난 13일 '국내 중순위 인수금융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를 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번 출자사업에서 운용사 1개를 선정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2000억원 이내로 운용사가 자율제안하도록 돼있다. 우본의 투자 비율은 펀드 결성액의 50% 이내다.해당 블라인드펀드는 M&A 거래가 수반되는 중순위 인수금융(리파이낸싱 거래 포함)에 80% 이상 투자해야 한다. 운용사의 투자비율은 펀드규모 대비 1% 또는 10억원 이상이다. 펀드만기는 결성일로부터 8년 이내로 투자기간은 결성일로부터 4년 이내다. 특정회사에 대한 투자금액은 약정 총액의 30% 범위까지 투자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우본은 오는 30일까지 제안서 접수를 받는다.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9월 중 1차 평가와 2차 평가 등을 진행한 뒤 9월 말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한앤컴퍼니, 한온시스템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추진

    ≪이 기사는 08월07일(04: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사모펀드(PEF) 한앤컴퍼니가 자동차 에어콘·히터 제조업체 한온시스템의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추진 중이다.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앤컴퍼니는 NH투자증권, 하나은행, 신한은행,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2조1500억원 규모의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에 돌입했다. 기존 1조9700억원의 인수금융을 갚고 1800억원 가량을 배당 재원으로 활용해 투자금을 회수키로 했다.한앤컴퍼니는 지난 2015년 6월 한국타이어와 함께 한온시스템 지분 69.99%를 3조8000억원에 인수했다. 한앤컴퍼니가 50.5%를 인수하며 2조7512억원을 부담했다. 당시 펀드 자금 등을 통해서 1조496억원, 인수금융을 통해서 1조7016억원을 조달했다. 한국타이어는 19.49%를 보유하고 있다.한앤컴퍼니는 2017년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통해서 인수금융을 1조9700억원까지 늘렸다. 기존 인수금융을 갚고 남은 2000억원의 금액을 배당을 통해 회수했다. 신규 리파이낸싱까지 포함해서 총 3800억원 가량을 조기 회수한 셈이다.금융기관들은 한온시스템의 실적이 인수 당시에 비해 증가했다고 판단해 인수금융 증액에 동의했다. 인수직전인 2014년 연결기준 매출이 5조4549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5조9375억원으로 9% 가량 늘었다. 영업이익 역시 3703억원에서 4337억원으로 17% 가량 불었다. 지난해 조단위 M&A에 성공하며 사업을 다양화 시킨 것도 인수금융 규모 확대에 근거가 됐다는 설명이다. 한온시스템은 캐나다의 자동차부품회사 마그나 인터내셔널의 유압제어사업부를 1조4000억원에 인수했다. 마그나의 유압제압사업부는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 [마켓인사이트][단독] 딜라이브 채권단, 1조원 채무 영구채로 전환..."금융비용 부담 줄이고 헐값 매각 막는다"

    ≪이 기사는 07월25일(09: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딜라이브 채권단은 딜라이브의 대주주인 한국유선방송이 보유한 딜라이브 인수금융 1조원을 영구채 형태로 출자전환키로 결정했다. 2016년 8000억원 규모를 채무를 전환우선주(CPS)로 출자전환한데 이은 두번째 조치다. 이로써 한국유선방송의 채무는 ‘0‘원이 됐다. 딜라이브의 금융 비용 부담이 낮아져 재무 구조 개선 효과가 있는데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이 낮아져 딜라이브 매각의 장기전을 위한 준비도 동시에 이뤄졌다.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딜라이브 채권단 전원은 한국유선방송이 보유한 1조원 규모의 채권을 30년 만기의 영구채로 출자전환하는데 동의했다. 추가 연장이 가능한데다가 이자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딜라이브 채권단은 1조원의 채무 상환 만기일이 7월말로 다가오자 만기 연장과 출자 전환을 놓고 고민해왔다. 지난 3년간 채권단 체제로 회사를 운영한 결과 딜라이브의 금융 비용 부담을 줄이고 이를 재투자함으로써 회사 경쟁력을 높이는게 더 낫다고 판단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딜라이브는 해마다 한국유선방송이 보유한 1조원의 대출 이자를 갚기 위해 연간 400억원 가량을 금융 비용을 부담해왔다. 출자 전환 이후로는 이 자금을 시설 관리 및 마케팅 등 회사 발전에 투자할 수 있어 회사 가치를 다소 높일 수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출자전환이 딜라이브의 매각 작업에도 도움이 된다는게 업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일부 잠재적 인수후보들은 채권 만기가 임박할 경우 채권단이 딜라이브를 싸게 내놓을 것으로 전망하고 지연 전략을 활용하기도 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