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이자만 3000억 육박하는데…외평채 남발하는 정부
≪이 기사는 12월30일(14: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부가 내년에도 대규모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을 추진한다. 최근 수년 새 발행이 잦아지면서 외평채 발행잔액은 13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불어날 전망이다. 매년 지급하는 외평채 이자만 3000억원에 달해 추가 발행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불어나는 빚 부담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국회로부터 15억달러(약 1조7400억원) 한도로 외평채 발행계획을 승인받았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내년 11월로 예정돼 있는 것을 고려하면 글로벌 금융시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에 발행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외평채는 정부가 환율 안정을 목적으로 운용하는 외국환평형기금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외화채권이다. 정부는 외평채로 발행한 자금을 외화 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원화가치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을 막고 있다. 현재 정부의 외평채 발행잔액은 약 9조4000억원이다. 2015년 말(약 7조원) 이후 4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내년에 계획한대로 15억달러어치를 조달하면 발행잔액
-
두산밥캣 13억불 리파이낸싱…이자 1%p 아낀다
이 기사는 05월12일(16: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두산밥캣이 금융비용 절감 목적으로 13억4500만달러 규모 차입금 재조달(리파이낸싱)을 추진한다.두산밥캣은 자회사인 클라크이큅먼트(CEC)와 두산홀딩스유럽(DHEL)의 차입금 각각 5억800만달러, 8억3700만달러를 전액 상환하기 위해 CEC가 오는 18일 13억4500만달러를 신규로 차입키로 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신규 차입금 예상 만기는 7년이다.CEC는 차입 직후 유상감자를 실시해 조달한 현금을 모회사인 두산밥캣에 흘러들어가도록 할 계획이다. 두산밥캣은 다시 DHEL에 13억4500만달러를 출자하는 과정을 거쳐 기존 차입금을 모두 상환한다는 구상이다.이와 함께 한도대출을 기존 1억달러에서 1억5000만달러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신규 대출에는 미국 소재 기관투자가와 은행들이 참여했다 차입금 담보로는 CEC 지분(7750주), DHEL 지분(3만8447주), 두산밥캣싱가포르 지분(1억1007만1219주)을 제공한다. 담보설정금액은 모두 2조9109억원어치로 회사 측은 추산했다. 적용 환율은 달러당 1134.5원이다. 담보제공 기간은 오는 18일부터 2024년 5월17일까지다.리파이낸싱이 끝나면 기존의 CEC와 DHEL의 ‘공동차입(Co-borrow)’ 구조는 CEC 단독차입 구조로 바뀐다. 금리는 기존 차입금리 대비 약 1.1%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기존 금리는 연 4.9% 수준이었다. 두산밥캣은 “지난해 상장 완료와 실적 개선으로 신용이 개선돼 선제적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