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이자·임금 못준 헝다…'디폴트 우려' 커졌다

    파산 위기에 몰린 중국 2위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이 지난 23일로 예정됐던 달러표시채권 이자를 제대로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가 지급 여부에 대해 침묵을 지키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혼란은 커지고 있다. 헝다그룹의 몰락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전기자동차 계열사는 임직원들에게 임금을 체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폴트까지 30일 시간 벌기?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헝다가 발행한 달러채권을 보유한 미국의 한 투자자는 전날까지 헝다로부터 이자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헝다는 2022년 3월 만기 달러채권의 이자 8350만달러(약 993억원)와 2025년 9월 만기 위안화채권 이자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을 23일 지급해야 했다.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자 헝다는 22일 성명을 통해 2억3200만위안의 위안화채권 이자 지급 문제는 ‘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선 헝다가 이자를 전부 지급한 것이 아니라 채권 보유자와 협상해 부분 지급 또는 지급 기한 연장 등의 미봉책을 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23일 달러채권 이자를 지급했는지에 대해선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달러채권 이자를 결국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채권 계약서상으로는 이자 지급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공식 디폴트를 낸 것으로 보진 않는다. 디폴트가 나면 채권자는 법원에 헝다의 파산 절차 개시를 신청할 수 있다.헝다가 근본적인 유동성 위기를 넘지 못하고 앞으로 30일 동안 시간 끌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국 당국의 구제를 기대하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하지만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자국 전문가들을 인용해 “헝다는 대마불사(大馬不

  • '발등의 불' 떨어진 영끌·빚투族…"혼합형 금리 상품으로 갈아탈 만"

    '발등의 불' 떨어진 영끌·빚투族…"혼합형 금리 상품으로 갈아탈 만"

    한국은행이 26일 2년9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1700조원이 넘는 가계대출을 짊어진 개인들의 이자 부담도 커지게 됐다. 당장 금리 인상에 즉각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의 비중도 전체의 73%(은행 기준)에 달한다. 산술적으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폭(0.25%포인트)만큼만 올라도 가계의 이자 부담은 3조1000억원 늘어난다.문제는 차주가 실제 부담하는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폭보다 더 가파르게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시장금리가 들썩이면서 국내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올 들어 6월까지 반년 새 이미 0.3%포인트(평균 연 3.46%→3.74%) 상승했다. 금융당국이 대출 총량 규제를 강화하면서 금융회사들은 우대금리를 축소하는 등 자체적으로 금리를 올려왔다.주택담보대출은 금리 상승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디지만, 대출금액이 크고 원리금을 함께 상환해야 하는 만큼 차주가 체감하는 이자 증가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가령 지난해 9월 변동금리 연 2.4%(30년 만기)로 주담대 3억6000만원을 받은 직장인 A씨의 경우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매달 내야 하는 이자가 140만원에서 160만원으로 뛴다. 한국은행은 개인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 전체 가계대출 이자가 11조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연체율 상승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 은행권 가계대출 연체율은 0.32%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은행 관계자들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에 대비해 “변동금리에서 혼합형 금리로 갈아타라”고 조언했다. 혼합형 금리는 첫 5년간 금리가 고정되다가 이후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이다. 당장은 변동금리

  • 동아에스티, 공모 CB 1000억원 발행

    동아에스티, 공모 CB 1000억원 발행

    제약사 동아에스티가 전환사채(CB)를 발행해 1000억원을 조달한다.동아에스티는 9일 이사회를 열고 5년 만기 CB 1000억원어치를 공모로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회사는 7월 26일부터 27일 기존 주주들을 상대로 청약을 진행해 CB 투자수요를 모집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실권물량이 발생하면 7월 29일부터 30일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청약을 받을 계획이다. CB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송도공장 신축과 건선 치료제(DMB-3115) 연구개발비로 사용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이번 CB의 표면금리는 0%로 결정됐다.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만 투자원금의 1%를 이자로 받게 된다. 투자자는 오는 9월3일부터 주당 8만6800원에 CB를 동아에스티 신주로 바꿀 수 있다. 이날 종가(8만5600원)보다 1.4% 높은 수준이다. 동아에스티는 2013년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 의약품·의료기기 제조판매 사업을 인적분할해 설립됐다. 현재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최대주주로 지분 23.32%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1분기 매출 1409억원, 영업이익 8억원을 기록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이자만 3000억 육박하는데…외평채 남발하는 정부

    [마켓인사이트]이자만 3000억 육박하는데…외평채 남발하는 정부

    ≪이 기사는 12월30일(14: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부가 내년에도 대규모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을 추진한다. 최근 수년 새 발행이 잦아지면서 외평채 발행잔액은 13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불어날 전망이다. 매년 지급하는 외평채 이자만 3000억원에 달해 추가 발행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불어나는 빚 부담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국회로부터 15억달러(약 1조7400억원) 한도로 외평채 발행계획을 승인받았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내년 11월로 예정돼 있는 것을 고려하면 글로벌 금융시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에 발행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외평채는 정부가 환율 안정을 목적으로 운용하는 외국환평형기금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외화채권이다. 정부는 외평채로 발행한 자금을 외화 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원화가치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을 막고 있다.   현재 정부의 외평채 발행잔액은 약 9조4000억원이다. 2015년 말(약 7조원) 이후 4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내년에 계획한대로 15억달러어치를 조달하면 발행잔액

  • 두산밥캣 13억불 리파이낸싱…이자 1%p 아낀다

    이 기사는 05월12일(16: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두산밥캣이 금융비용 절감 목적으로 13억4500만달러 규모 차입금 재조달(리파이낸싱)을 추진한다.두산밥캣은 자회사인 클라크이큅먼트(CEC)와 두산홀딩스유럽(DHEL)의 차입금 각각 5억800만달러, 8억3700만달러를 전액 상환하기 위해 CEC가 오는 18일 13억4500만달러를 신규로 차입키로 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신규 차입금 예상 만기는 7년이다.CEC는 차입 직후 유상감자를 실시해 조달한 현금을 모회사인 두산밥캣에 흘러들어가도록 할 계획이다. 두산밥캣은 다시 DHEL에 13억4500만달러를 출자하는 과정을 거쳐 기존 차입금을 모두 상환한다는 구상이다.이와 함께 한도대출을 기존 1억달러에서 1억5000만달러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신규 대출에는 미국 소재 기관투자가와 은행들이 참여했다  차입금 담보로는 CEC 지분(7750주), DHEL 지분(3만8447주), 두산밥캣싱가포르 지분(1억1007만1219주)을 제공한다. 담보설정금액은 모두 2조9109억원어치로 회사 측은 추산했다. 적용 환율은 달러당 1134.5원이다. 담보제공 기간은 오는 18일부터 2024년 5월17일까지다.리파이낸싱이 끝나면 기존의 CEC와 DHEL의 ‘공동차입(Co-borrow)’ 구조는 CEC 단독차입 구조로 바뀐다. 금리는 기존 차입금리 대비 약 1.1%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기존 금리는 연 4.9% 수준이었다. 두산밥캣은 “지난해 상장 완료와 실적 개선으로 신용이 개선돼 선제적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