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벳, 7월부터 20 대 1 액면분할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20 대 1 비율로 주식을 액면 분할한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액면 분할은 한 장의 증권을 여러 개의 소액증권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를 시행하면 이전보다 적은 돈으로 쉽게 주식 투자를 할 수 있다.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알파벳 주식 액면분할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회사는 주주 승인 절차를 거쳐 오는 7월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7월 1일 거래일 기준으로 알파벳 주식 최소 1주를 보유한 주주는 같은 달 15일 더 저렴한 가격에 19주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루스 포랫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더 많은 사람이 알파벳 주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사회에서 주식 분할을 결의했다”고 설명했다.알파벳 주식은 주주 의결권 유무 등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뉜다. 주당 1표 의결권을 지닌 클래스A, 창업자와 초기 투자자가 보유한 주당 10표 권한의 클래스B, 의결권이 없는 클래스C 주식이다. 일반인이 투자하는 클래스A 주가는 이날 2752.88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를 적용해 20 대 1 비율로 분할한다고 가정하면 클래스A 주가는 약 138달러로 싸진다.이날 알파벳은 지난해 4분기(10~12월) 실적도 공개했다. 매출은 753억30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2% 늘었다.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721억7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전체 매출 가운데 인터넷 광고 매출이 612억4000만달러(약 81.2%)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광고 부문 연간 매출은 처음으로 2000억달러를 넘어섰다. 4분기 주당순이익(EPS)은 30.69달러로 이 역시 시장예상치(27.56달러)를 웃돌았다.박상용 기자
-
김범수 의장 등 카카오 주식 5000억원 블록딜
김범수 카카오 의장과 카카오의 2대주주인 케이큐브홀딩스가 카카오 지분 5000억원어치를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김범수 의장과 케이큐브홀딩스는 이날 장 마감 후 보유 중인 카카오 주식 중 약 5000억원어치를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현재 김 의장은 카카오 지분 14.1%, 케이큐브홀딩스는 11.2%를 보유하고 있다. 매각가격은 이날 종가(12만500원)보다 3.3~5.0% 낮은 주당 11만4500원~11만6500원으로 정해졌다. JP모건이 주관을 맡았다.김 의장과 케이큐브홀딩스가 대규모 블록딜에 나서면서 이날 급등했던 카카오 주가가 주춤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주당 액면가격을 500원에서 100원으로 쪼개는 액면분할을 마치고 사흘 만에 거래를 재개한 카카오는 15일 전거래일 대비 7.59% 뛰었다. 장 초반 한 때는 18.30%까지 치솟을 정도로 매수세가 강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IPO 앞둔 크래프톤, 5 대 1 액면분할 단행
유가증권시장 기업공개(IPO)에 도전하는 크래프톤이 5 대 1 비율로 주식을 액면분할한다. 상장을 앞두고 200만원에 달하는 장외 주가를 낮춰 IPO를 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오는 31일 경기 성남 판교에서 정기주주총회를 연다. 이날 주총에서 크래프톤은 현재 500원인 주식의 액면가를 100원으로 낮추는 내용의 정관 변경을 단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발행주식총수를 기존 1억주에서 3억주로 늘릴 계획이다. 주식을 액면분할하면 주가는 낮아지고 발행 주식 수는 늘어나게 된다. 장외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에 따르면 17일 크래프톤의 주가는 203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번 정관 변경에는 본점 소재지를 기존 경기 성남에서 서울로 변경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 사업 목적에 기타 스포츠(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을 추가한다. 그밖에 지난해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신규 사외이사 4인을 선임하는 건도 이날 주총에서 다뤄질 계획이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도 일부 신규 부여될 것으로 알려졌다. 주총 이후 지난해 실적이 확정되면 곧바로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할 것으로 보인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조2371억원, 영업이익 6813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9%, 영업이익은 32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 역시 1436억원에서 5149억원으로 259% 늘어났다. 증권가는 크래프톤의 기업가치를 20조원 이상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6000억원가량의 순이익을 올린 것으로 가정하고 주가수익비율(PER) 30배를 적용하면 20조원 수준의 몸값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김종우
-
호반건설, 액면분할로 IPO 준비… 연내 상장은 고민중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계획하고 있는 호반건설이 액면분할을 통해 발행주식 수를 대폭 늘렸다. 기업공개(IPO)를 앞둔 기업 상당수는 액면분할을 통해 상장 후 유통 가능한 주식 수를 늘리는 준비를 미리 한다. 호반건설은 연내 상장을 목표로 연초부터 창업주인 김상열 회장의 대표이사직 사임 등 지배구조 재편도 진행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증시가 위축되면서, 호반건설의 상장 시기도 변동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호반건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4일부로 액면분할을 마쳤다. 원래 1만원이었던 액면을 500원으로 변경, 발행주식 수가 원래 276만5696주에서 5531만3920주로 20배 늘어나게 됐다. 호반건설의 최대주주로 2세 경영자인 김대헌 부사장이 보유한 주식 수도 151만3705주에서 3027만4100주로 늘었다. 김 부사장은 호반건설 지분 54.73%를 보유하고 있다. 부친인 김 회장이 10.51%, 모친인 우현희 태성문화재단 이사장이 10.84%를 들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이번 액면분할을 상장 준비의 일환이라 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기 전 액면분할을 해두면, 발행주식 수가 늘어나 공모 발행 주식 수 및 상장 후 유통주식 수 관리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비상장사 상태에서 발행주식 수가 많지 않은 기업들은 미리 액면분할을 한다. 연초만 해도 IB업계에서는 호반건설의 연내 상장이 무난할 거라 예상했다. 지난해 호반건설과 호반이 합병하면서, 호반의 최대주주였던 김 부사장은 이 과정에서 합병법인 호반건설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지분 승계를 마무리했다. 이어 김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
[마켓인사이트]네패스신소재, 5대1 액면분할 추진
반도체 소재 제조업체인 네패스신소재가 주식 액면분할을 추진한다.네패스신소재는 오는 5월 발행주식 351만5737주를 1757만8685주로 늘리는 액면분할을 한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2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안건으로 올릴 계획이다. 네패스신소재 측은 “유통주식 수를 늘려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액면분할이 완료되면 이 회사 주가(액면가 기준)는 한 주당 500원에서 100원이 된다. 네패스신소재의 이날 종가는 4만5750원이다.네패스신소재는 2000년 설립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 제조업체다. 현재 전북 익산에 본사와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20008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매출 133억원, 영업손실 36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포스코강판, 10 대 1 액면분할 추진
▶마켓인사이트 3월4일 오후 3시45분포스코의 자회사인 포스코강판이 주주 제안을 반영해 액면분할을 추진한다. 주식시장에선 3년 전 주주총회에서 부결됐던 액면분할이 이번에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포스코강판은 오는 18일 열리는 주총에서 현재 1600만 주인 발행 주식 수 한도를 1억6000만 주로 늘리는 정관변경 안건을 올린다고 4일 공시했다. 이 안건이 통과되면 주식을 10 대 1 비율로 액면분할하는 것을 검토할 계획이다.포스코강판의 최대주주는 포스코로 현재 지분 56.87%를 갖고 있다. 기관투자가 중에선 신영자산운용이 7.94%, 국민연금이 6.97%의 지분을 각각 들고 있다. 나머지 지분 26.97%는 소액주주들이 나눠 갖고 있다. 절반이 넘는 지분을 가진 포스코가 사실상 이번 안건의 통과 여부를 쥐고 있다. 정관 변경은 주총 특별결의 사항으로 참석 주주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한다.포스코강판 관계자는 “액면분할 성사 여부는 주요 주주들이 얼마나 찬성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포스코강판은 2016년 3월 정기 주총에 액면분할 안건을 올렸지만 찬성표를 확보하지 못했다. 당시 액면분할에 반대했던 포스코는 이번 주총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포스코강판은 포스코가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등 철강재를 제조하기 위해 1988년 세운 회사다. 2002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매출 9403억원, 영업이익 177억원을 거뒀다. 매출은 전년 대비 3.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7.2% 줄었다. 이 회사는 이날 액면분할에 대한 기대에 힘입어 유가증권시장에서 1300원(6.19%) 상승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포스코강판, 10대1 액면분할 추진
포스코의 자회사인 포스코강판이 주주제안을 받아 액면분할을 추진한다.포스코강판은 오는 18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현재 1600만주인 발행 주식 수 한도를 1억6000만주로 늘리는 정관변경 안건을 올린다고 4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이번 주총에서 발행주식 한도 안건이 통과되면 주식을 10대1 비율로 액면분할하는 것을 검토할 계획이다. 포스코강판 관계자는 “소액주주들의 액면분할 제안을 고려해 이번 주총에서 일단 발행주식 한도 확대 안건을 올리기로 했다”며 “액면분할 성사 여부는 주주들이 얼마나 찬성하는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포스코강판의 최대주주는 포스코로 현재 지분 56.87%를 갖고 있다. 기관투자가 중에선 신영자산운용이 7.94%, 국민연금이 6.97%의 지분을 들고 있다. 나머지 지분 26.97%는 소액주주들이 나눠갖고 있다.포스코강판이 액면분할을 마무리하면 현재 한 주당 2만1000원(1일 종가 기준)인 이 회사 주가는 2100원 수준으로 바뀐다. 가격이 낮아지는 만큼 거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포스코강판은 포스코가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등 철강재를 제조하기 위해 1988년 세운 회사다. 2002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매출 9403억원, 영업이익 177억원을 거뒀다. 외형은 전년 대비 3.1% 증가했지만 이익규모는 27.2% 줄었다. 고수익제품 판매는 증가했지만 환율하락 여파로 수익성이 주춤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대양제지, 주당 5000원→500원 액면분할
이 기사는 03월24일(16: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양제지는 액면가 5000원인 보통주 268만5000주를 액면가 500원의 2685만주로 분할하기로 결정했다고 24일 공시했다.유통 주식수를 늘려 주식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주주가 주식분할을 제안해 이번 정기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돼 통과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신주권은 오는 5월16일 교부하며 그 다음 날 상장될 예정이다.골판지 제조기업인 대양제지는 지난해 전년 대비 12.2% 증가한 195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2억원, 27억원으로 모두 흑자전환했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마켓인사이트] 포스코강판, 10 대 1 액면분할 추진](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07528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