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외국인, CFD 손실 우려에도 증권주 '러브콜'…키움증권 '소외'

    외국인, CFD 손실 우려에도 증권주 '러브콜'…키움증권 '소외'

    최근 외국인 투자자가 증권주를 투자 장바구니에 담고 있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차액결제거래(CFD) 손실액이 우려보다 크지 않다는 점과 증권사가 사업을 전개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최근 한 달(4월10일~5월10일)간 단 하루를 제외하고 모두 NH투자증권을 순매수했다. 총 순매수 금액은 180억원이다. 같은 기간 미래에셋증권(130억원)과 삼성증권(610억원)에 대해선 2거래일을 제외하고 꾸준히 사들였다.외국인이매수에 나선 건 최근 불거진 CFD 손실 규모가 우려만큼 크지 않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관련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전체가 손실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CFD 미수금으로 인한 증권사별 손실규모는 100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이날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13개 증권사의 CFD 거래잔액은 2조7696억원이었다. 증권사별로는 교보증권의 CFD 거래잔액이 618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키움증권(5576억원), 삼성증권(350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만약 키움증권의 경우 CFD 잔액 모두가 80% 손실이 났다고 가정하면 손실 금액은 4453억원으로 증거금(잔액의 40%) 2230억원을 넘어선다. 이에 추가 손실금 2200여억원 중 투자자로부터 회수하지 못한 금액만큼 증권사 손실로 반영된다. 하지만 실제 미수금 규모는 이러한 우려보다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급락한 종목은 전체 CFD 가운데 일부이고 증권사들도 채권 추심 등으로 투자금 회수가 가능해서다.증권사들이 사업을 전개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

  • "CFD 손실, 감당 가능"…키움증권 매수 리포트 낸 증권사들

    "CFD 손실, 감당 가능"…키움증권 매수 리포트 낸 증권사들

    키움증권이 올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증권사들은 이번 실적이 질적으로 우수하다며 일제히 매수의견 리포트를 내고 있다. 최근 주가 조작 사태에 연루되었지만, 이를 감내할 체력이 충분하다는 컨센서스가 형성된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키움증권 주력 사업인 리테일 점유율이 떨어질 수 있다며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키움증권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 2915억원을 냈다고 9일 공시했다.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호실적에는 우수한 운용손익이 뒷받침됐다. 시장금리 하락 등 운용 환경이 개선되면서 운용 부문 수익은 1438억원으로 전분기대비 무려 1415억원 증가했다. 증시 거래대금이 증가하면서 이를 중개하는 리테일 파생·해외주식 브로커리지(중개) 수익도 전분기 대비 13.9% 증가한 1683억원을 기록했다.증권가는 이번 호실적에 대해 호평 일색이다. 10일 삼성증권은 "대형사와 달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수료 수익 기반이기 때문에 질적으로 우수하다"면서 "부동산 등 자산 부실화의 우려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점, 일회성 손실 우려가 존재하지만 이미 주가는 이를 상당 부분 반영된 점 등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CFD 거래로 인한 미수채권이 발생하겠지만, 키움증권이 이미 비축해둔 체력이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다. KB증권은 "CFD 관련 최종 손실 규모는 아직 유동적"이라면서 "키움증권의 별도기준 자본이 4.2조원 수준이라는 점과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감안할 때 재무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내다봤다.NH투자증권도 "분기당 2000억원대 수준의 체력은 향후 미수채권 충당금 적립 및 손실 등

  • 현정은, '파생상품 손실' 현대엘리베이터에 1700억 배상

    현정은, '파생상품 손실' 현대엘리베이터에 1700억 배상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계열사인 현대엘리베이터에 1700억원의 배상을 하게 됐다. 대법원이 다국적 승강기업체이자 현대엘리베이터의 2대 주주인 쉰들러 그룹이 제기한 소송에서 쉰들러 그룹의 손을 들어주면서다. 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30일 쉰들러가 현 회장과 한상호 전 현대엘리베이터 대표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현 회장이 현대엘리베이터에 1700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한 전 대표는 배상액 가운데 190억원만큼의 책임을 현 회장과 공동으로 져야 한다. 재판부는 "현 회장 등은 계약 체결의 필요성이나 손실 위험성 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거나, 이를 알고도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대표이사 또는 이사로서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의무를 다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현대상선 경영권 방어하다 손실...쉰들러 "배상하라"사건은 2014년 쉰들러가 현 회장 등이 파생금융상품 계약으로 현대엘리베이터에 7000억원 가까운 손해를 입혔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현대상선의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수의 파생금융상품에 가입했다. 현대엘리베이터와 계약 상대방 펀드들은 현대상선 주가가 오르면 이익을 나눠 갖는데, 주가가 내려가면 현대엘리베이터가 손해를 보는 구조였다. 현대엘리베이터가 당시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 가능성이 있던 현대상선의 주식을 보유하면서 우호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내용도 계약에 담겼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자본금 확충을 위해 유상증자에 나선 현대증권 주식 관련 파생상품 계약도 체결했다.

  • 국민연금 10월까지 51조 손실…수익률 -5.29%

    국민연금 10월까지 51조 손실…수익률 -5.29%

    국민연금이 올해 10월 말까지 5.29% 손실을 기록했다. 전달(-7.06%)보다 손실폭을 다소 줄였지만 글로벌 금융시장 약세 국면 속 저조한 성적을 이어갔다.30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올해 10월 말 기준 -5.2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손실금액으로는 51조원 규모에 달한다. 자산별 수익률(금액가중수익률 기준)은 국내주식 -20.45%, 해외주식 -4.84%, 국내채권 -8.21%로 집계됐다. 대체투자와 해외채권은 각각 15.64%, 4.74%의 수익률로 비교적 선방했다. 지난 9월 말 누적 수익률(-7.06%)보단 1.77%포인트(p) 상승했으나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국내외 주식시장이 급락하며 주식 수익률이 크게 나빠졌다. 국내 주식시장인 코스피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22.97% 하락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한국 제외 전세계지수(ACWI ex-Korea)는 같은 기간 달러 기준으로 20.34% 빠졌다. 해외주식 수익률이 국내주식보다 비교적 선방한 것은 원·달러 환율이 올해 19.72%% 상승했기 때문이다.채권금리도 크게 올라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국고채 3년물은 올해 들어 10월까지 238.7bp(1bp=0.01p) 상승했고 10년물은 199.2bp 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속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에 따른 결과다.국민연금이 설정한 벤치마크(기준 수익률) 대비론 원화 기준 국내주식에서 0.85%p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에서도 각각 0.02%p, 0.52%p 더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다만 해외 주식에서는 -0.49p로 저조했다.국민연금은 "국내와 해외주식은 각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이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러시아 전쟁 장기화 등 국내외 증시 불안 요인이 지속돼 운용수익률이 하락했다"며 &q

  • 美 억만장자들 올해 840조원 증발…가장 많이 잃은 사람은?

    미국 억만장자들의 재산이 올 한 해 약 6600억달러(840조원)어치 증발했다.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기술주가 폭락하며 빅테크 창업자들의 지분가치가 크게 떨어진 영향이다.27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올 한 해 전 세계 억만장자들의 순자산은 1조9000억달러(약 2416조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순자산 총합은 새해 첫날 13조8000억달러(1경7476조원)에서 지난 9일 기준 11조9000억달러(1경5070조원)로 줄어들었다.국가별로 금액만 보면 미국 부자들의 타격이 가장 컸다. 미국 억만장자들의 순자산 감소분(6600억달러)은 역대 최대치다. 다음으로 중국(6200억달러), 러시아(1500억달러) 순이었다. 그러나 전년 대비 증감율은 중국(-27%)이 미국(-13%)과 러시아(-24%)를 앞섰다.전 세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줄어든 억만장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다. 올해 머스크의 순자산은 1150억달러(146조원) 감소했다. 지난 4월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억만장자 명단 1위에 올랐을 때 순자산이 2190억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반토막이다.머스크 자산의 대부분은 테슬라와 스페이스X 등 자신이 세운 기업의 지분이다. 테슬라 주가는 올 들어 70% 이상 떨어졌다. 머스크가 올해 트위터 인수 과정 내내 잡음을 빚은 데다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테슬라 지분 400억달러어치를 팔았기 때문이다. 결국 지난 14일 머스크는 세계 최고 부자 자리를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MVH) 회장에게 내줬다. 다만 27일 기준 순자산은 1376억달러로 여전히 미국 억만장자 1위다.다른 억만장자들도 손실이 컸다. 세계 최대 e커머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이 기간 재산이 800억

  •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푸틴이 꿇었다? 일단 사흘 손실 회복

    GLOBAL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푸틴이 꿇었다? 일단 사흘 손실 회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주변에서 벌이던 군사훈련을 계획대로 끝내고 일부 군을 기지로 복귀시키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15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가 반등했습니다. 미국 동부 시간으로 새벽 3시께 이런 소식들이 전해지자 유가는 반락하고, 주가지수 선물과 금리는 올랐습니다.뉴욕 증시는 1% 수준 상승세로 출발한 뒤 오름폭을 더 키웠고 이날 고점 수준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다우는 1.22%, S&P500 지수는 1.58%, 나스닥은 2.54%나 급반등했습니다. 위기 속에 급등해온 서부텍사스원유(WTI)는 3.64% 떨어진 배럴당 91.9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금리는 올라서 미 국채 10년물은 2.04% 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 전쟁 공포가 줄어들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좀 감소한 것이죠. 비트코인도 오르는 등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습니다.하지만 월가에서는 "희망적이긴 하지만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라는 관측이 많습니다.바이탈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는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발생한 비교적 중요한 발전이다. 아마도 이번 위기 전체에서 적어도 지난 몇 달 동안 발생한 가장 중요한 완화 조치일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이 움직임이 놀랄만한 것은 아니다. 또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도 아니다. 국경에는 여전히 10만 명 이상의 군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러시아군은 여전히 벨라루스에서 군사훈련을 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무슨 일이든지 일어날 수 있지만, 전체 위기 차원에서 보면 확실히 고무적인 발전"이라고 강조했습니다.네드데이비스의 에드 클리솔드 미국 주식 최고전략가는 한경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뭘 하려는 지는 푸틴만이 알고 있

  • 헝다 폭락에 대규모 손실 본 2대주주, 홍콩서 자진상폐 추진[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중국 2위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이 파산 위기에 몰리면서 주가가 폭락하자 대규모 손실을 본 헝다의 2대주주 화런부동산이 자진 상장폐지를 추진하고 나섰다. 화런부동산의 주가도 연초 대비 반토막난 상태다.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화런부동산(종목코드 00127)은 전날 홍콩거래소 공시를 통해 최대주주인 솔라브라이트 등이 주당 4홍콩달러에 주식을 공개매수한다고 밝혔다. 홍콩거래소는 앞서 지난달 29일 화런부동산의 요청에 따라 주식 거래를 중단시켰다. 중단 직전인 28일 주가는 2.18홍콩달러로, 공개매수 가격인 4홍콩달러는 이보다 83% 높다.화런부동산의 28일 주가는 연초 대비 42% 떨어졌다. 29일 거래 정지 직전 주가는 33%가량 뛴 2.9홍콩달러였다.화런부동산의 최대주주 측은 이미 화런부동산 지분 78.6%를 확보하고 있다. 이들은 이번 공개매수에 총 19억767만홍콩달러(약 2900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주당 4홍콩달러 기준 화런부동산의 시가총액은 76억3000만홍콩달러(약 1조6500억원)다.솔라브라이트와 화런부동산 등의 기업들은 홍콩의 억만장자 조셉 라우(류루안숑·劉鑾雄)가 보유하고 있다. 라우는 가업인 선풍기 제조업체 솔라브라이트를 지주회사로 놓고 화런부동산과 각종 투자 사업을 벌여 왔다. 포브스에 따르면 9월말 기준 그의 자산은 133억달러(약 16조원)에 이른다.조셉 라우는 헝다그룹의 창업자인 쉬자인 회장과 친분이 깊은 사람들로 구성된 '포커 그룹'의 일원이며, 이를 기반으로 헝다그룹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해 왔다. 하지만 최근 헝다그룹 부도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헝다그룹 주식들을 손실을 보면서 처분하고 있다.화런부동산은 지난 8

  • [마켓인사이트]“해외부동산 펀드 절반이 현재 손실?... 펀드에 'ㅍ'도 모르면서”

    [마켓인사이트]“해외부동산 펀드 절반이 현재 손실?... 펀드에 'ㅍ'도 모르면서”

    ≪이 기사는 11월12일(04:2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정감사에서 나온 ‘해외 부동산펀드의 절반 가량이 현재 손실 기록중’이란 지적을 놓고 자산운용업계가 쓴웃음을 짓고 있다. 주식형 펀드에 주로 쓰이는 시가 평가방법을 이용해 사실과 다른 주장을 내놨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최근 금융투자업계에선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난달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놓은 ‘묻지마 부동산펀드 금융시장 뇌관으로’라는 자료가 자주 회자되고 있다. 최근 라임자산운용 사태 등으로 사모펀드의 이미지가 나빠진 가운데 부실이 많다고 지적된 자산운용사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 의원은 국감에서 “해외부동산 펀드 50조 시대 상위15개 자산운용사 상품 중 50%는 손실 봤다”며 “상위 15개 투자운용사의 해외 부동산펀드 401개 중 191개 펀드가 손실을 기록중”이라고 주장했다.손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한 근거는 펀드 설정 당시 ‘펀드 기준가격’이다. 주식형 펀드의 경우 주가 등락에 따라 기준가격이 오르고 내린 결과로 손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업계에선 부동산 펀드의 경우 이 같은 판단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부동산 펀드는 거래비용이나 관리비용이 초기에 마이너스로 반영되고 이익은 매각이 이뤄졌을때 들어오기 때문에 설정된지 1년 이내의 펀드는 대부분 기준가로 보면 마이너스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부동산 펀드는 매달 들어오는 임대료를 반기 혹은 연 단위로 수익자들에게 배당한다는 사실도 간과했다. 부동산 펀드는 대부분 배당형 펀드여서 매각 차익이 반영되기

  • [마켓인사이트]은성수 “사모펀드 제도 허점 살펴보겠다”…‘규제 강화’로 선회

    [마켓인사이트]은성수 “사모펀드 제도 허점 살펴보겠다”…‘규제 강화’로 선회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사모펀드 시장에 대한 규제 완화 방침을 사실상 규제 강화쪽으로 되돌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최근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DLS) 손실 사태, 라임자산운용 환매 연기 등의 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투자자 보호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은 위원장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을 갖고 “국정감사와 언론 등에서 제기된 사모펀드 관련 지적을 살펴보고 제도에 허점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특히 라임자산운용 환매 연기과 관련, “금융감독원을 통해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그 과정에서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그는 “그동안 사모펀드 시장에 대해선 최대한 규제를 완화해야한다는 소신을 밝혀왔지만 이 같은 생각이 서서히 변하고 있다”며  “기관 투자가는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지만 이 시장에 개인이 뛰어들면서 투자자 보호도 중요한 가치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금융위원회가 추진해오던 전문투자형(헤지펀드)과 경영참여형(PEF) 사모펀드 운용 규제 일원화 등 대대적인 사모펀드 규제 완화 방안이 사실상 동력을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사모펀드 시장 제도를 손질할 방침을 밝힌 것은 최근 이 시장에서 잇따라 사고가 터지고 있어서다. 해외 금리 연계 DLS 손실 사태, 라임자산운용 환매 연기 사태가 연달아 벌어지며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데다 일명 조국 일가 펀드로 불리는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와 관련해 정치권의 공격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사

  • [마켓인사이트]우아한형제들의 '갑비싼 수업료'...새벽배송 사업에서 330억 손실

    배달 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지난해 새벽배송 사업에서만 330억원을 손실을 봤다. 지난해 매출이 대폭 늘었지만 ‘새벽배송’ 사업에서 손실을 보면서 장사 실속도 나빠졌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우아한형제들은 100% 자회사인 우아한신선들의 투자금액 330억원을 전액 손실로 처리했다. 이 회사는 우아한신선들 사업을 접고 매각하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관련 투자금을 전액 영업외손실(매도가능증권손상차손) 형태로 지난해 재무제표에 반영했다. 우아한신선들은 2015년 우아한형제들이 신선식품 정기 배송 스타트업 ‘덤앤더머스’를 인수해 출범한 회사다. 배달의민족의 성식품 배송사업 전반으로 사세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반찬배달 사업을 개시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매년 적자가 커지는 동시에 마켓컬리, 쿠팡, 신세계 등이 잇따라 새벽배송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격화됐다. 우아한형제들도 사업 여건이 나빠지자 새벽배송 사업에서 발을 빼기로 결정했다.  우아한형제들은 우아한신설들 사업을 접으면서 사업 실속도 악화됐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3192억원, 영업이익 585억원을 올렸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96.38%, 영업이익은 170.44% 늘었다. 하지만 영업외손실이 반영되면서 당기순이익은 70.7% 줄어든 62억원을 기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LS네트웍스, 대규모 손실은 신용도에 부정적”

    이 기사는 02월14일(16: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스페셜 코멘트를 내고 2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낸 LS네트웍스에 대해 “대손비용, 재고자산폐기손실 인식 등으로 매년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고 있고 자체 사업에서 영업적자가 이어지고 있어 신용도에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LS네트웍스는 지난 9일 지난해 영업적자 582억원, 당기순손실 879억원을 기록했는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인력 구조조정, 재고자산폐기손실, 대손상각비 등으로 약 380억원의 손실을 인식했으며 스케쳐스코리아 지분 손상차손 및 처분손실 약 76억원 등 일회성 영업비용을 인식하며 실적이 악화됐다.강병준 한신평 연구원은 “임대사업이 안정적인 실적을 창출하는 가운데 일회성 손실 제거, 고정비 절감, 사업구조 재편 등의 효과로 올해는 다소 실적이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국내외 경기가 불확실하고 내수시장이 정체된 것을 감안하면 브랜드와 유통시업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또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지분(84.58%) 매각을 추진중이지만 매각 시기와 가격은 불확실하다고 판단했다. 시총 약 4300억원에 달하는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지분 매각이 성사되면 재무구조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추가 구조조정이나 이베스트투자증권 매각 지연으로 재무부담이 커지면 등급하향 조정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LS네트웍스의 현재 'A-(안정적)'이다. 재무구조 악화와 손실 발생이 이어지며 2015년 12월 A+에서 A0로 강등됐고, 지난해 4월엔 A-까지 떨어졌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