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UBS "알파벳 성장 가능성 크다…주가 급등할 것"

    UBS "알파벳 성장 가능성 크다…주가 급등할 것"

    UBS가 알파벳이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크다며 주가가 급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일(현지시간) CNBC에 다르면 UBS의 로이드 윔슬리 애널리스트는 "구글 클라우드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이익도 늘어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클라우드의 가능성을 너무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이 클라우드의 성장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UBS는 "토마스 쿠리안 구글 클라우드 최고경영자(CEO) 취임이후 백로그 증가로 볼 수 있듯이 더 많은 규모의 클라우드 딜이 성사됐다"며 "이 성과는 2~3년 후 부터 매출 증가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부터 예상보다 빠르게 수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UBS는 알파벳에 대해 매수의견을 제시하며 목표주가를 3190달러에서 3925달러로 올렸다. 이는 수요일 종가보다 39% 높은 가격이다. 뉴욕=강영연 특파원 yykang@hankyung.com

  • "성장하는 시장에서 꾸준히 1위 지킬 것" 디지털 광고대행사 플레이디

    "성장하는 시장에서 꾸준히 1위 지킬 것" 디지털 광고대행사 플레이디

     “현대인은 하루의 시작과 끝을 스마트폰과 함께 하죠. 플레이디는 국내 5조원 규모 디지털광고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의 광고대행사입니다. 연 14%씩 성장하는 이 시장과 함께 크는 기업이 되겠습니다.”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둔 플레이디의 허욱헌 대표이사(사진)는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플레이디는 KT그룹의 디지털 광고대행사다. 이 회사는 다음 달 12일부터 코스닥에서 주권거래를 시작한다.플레이디의 전신은 2000년 국내 포털기업 네이버 사내에 설립된 검색마케팅 센터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검색마케팅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지자 2010년 엔에이치엔서치마케팅이란 사명으로 네이버에서 독립했다. 이후 2016년 KT-나스미디어가 이 기업을 인수해 KT그룹으로 편입했다. 이듬해인 2017년 플레이디로 사명을 변경했다.플레이디는 광고를 기획 및 제작해주는 광고대행사 역할과 광고효과를 측정해주는 미디어렙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종합 마케팅 솔루션 업체다. 플랫폼 중엔 네이버, 카카오와 유튜브, 일반 기업 중엔 KT, 인터파크투어, LF몰 등이 이 회사의 주요 고객이다.플레이디는 지난해 광고주로부터 4000억원어치 광고를 수주했다. 5조원 규모 디지털광고 시장에서 이 회사가 지난해 차지한 점유율은 약 8%다. 허 대표는 “2위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4.5%로 격차가 크다”며 “설립 이래 한 번도 디지털광고 시장에서 업계 1위를 놓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디지털광고업계 대신 제일기획, 이노션 등 종합광고대행사와 비교했을 때 광고취급액은 6위 수준이다.플레이디는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일본 시장 진출과 미디어커

  • [마켓인사이트]산업은행 베테랑들, 중소기업 성장 돕는다

    [마켓인사이트]산업은행 베테랑들, 중소기업 성장 돕는다

    ≪이 기사는 11월12일(04: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KDB산업은행(이하 산은)이 재무 전문가가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에 베테랑 인력을 공급한다. 투자유치, 기업공개(IPO), 해외진출 등 전문지식 뿐 아니라 탄탄한 국내외 네트워크가 필요한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산은맨‘이 1~2년간 기업에 파견돼 돕는 ’상생경영‘의 일환이다.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산은은 최근 은행 내 전문 인력을 경영 및 재무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가 있는 중소·중견기업에 지원하는 ’기업성장 어드바이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9월부터 인력 지원을 요청한 세 곳 중소기업에 인력을 파견해 시범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연내 성과를 평가한 뒤 지원의 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인력 지원을 요청한 중소·중견기업이 자체 평가를 통해 인력을 선발하되, 선발된 직원에 대한 인건비는 전액 산은이 부담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산은은 기업이 특정 분야의 인력을 요청하면 내부 공모 절차를 통해 지원자를 받은 뒤 복수의 후보를 기업에 추천한다. 기업은 후보들에 대한 면접을 통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는 구조다.파견은 1년 단위로 이뤄진다. 기업이 추가 요청할 경우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기업에 파견된 현장 근무자의 인건비는 산은이 그대로 부담한다. 적은 산은에 그대로 둔 채 자문인력을 파견하는 형태인만큼 기업들은 약 1000만~2000만원 수준의 금액을 자문료 형태로 지급한다. 현장 근무자들 모두 최소 15년 이상인 베테랑들로 연봉이 1억원에 육박하는만큼 기업으로선 10~20% 수준의 비용으

  • [마켓인사이트]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유비케어', 국내 PEF 손잡고 매출 성장 '쭉쭉'

    ≪이 기사는 07월23일(15:0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업체인 유비케어가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액 1000억원을 넘어서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말 국내 사모펀드(PEF) 스틱인베스트먼트에 인수되기 직전보다 400억원 이상 늘어났다. 유비케어의 이같은 성장은 다양한 기업 인수를 통해 사업 다각화를 시도한 덕분에 가능했다. 유비케어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시장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 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992년 설립된 유비케어는 국내 최초로 의원용 전자의료기록(EMR) 프로그램 ‘의사랑’을 출시한 정보기술(IT) 기반 의료서비스 제공 기업이다. EMR은 환자의 진료, 수술 기록 등을 전산에 입력, 정리, 보관하는 시스템이다. 유비케어가 EMR 프로그램을 개발했을 당시 업계에선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국내 병원 EMR 시장점유율 1위에도 불구하고 창업 이래 최대주주가 3차례 바뀌는 등 부침을 겪었다. 2004년 이수그룹에 인수됐다가 4년 뒤인 2008년엔 SK케미칼에 넘어갔다. 그러나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진 못했다. 대기업 계열사간 시너지를 내지 못한 영향이 컸다. 2

  • [마켓인사이트]대명코퍼레이션, 1분기 영업익 16억원..흑자전환

    ≪이 기사는 05월16일(10: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대명코퍼레이션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638억원의 매출과 1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고 16일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1% 늘었고 영업익은 흑자전환했다. 자회사 이자비용으로 인해 순이익은 7억원 적자를 봤다. 지난해 인수한 대명리조트 천안과 대명 샤인빌 리조트의 운영 매출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오는 7월 개관 예정인 대명리조트 진도의 소모성 자재(MRO) 공급이 크게 늘어난 것도 흑자전환에 기여했다.  대명리조트 천안은 중부권 최대 규모의 리조트다. 1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물놀이시설인 오션파크와 251실의 객실을 보유해 영호남지역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제주도에 있는 대명 샤인빌 리조트는 바다와 한라산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제주도의 남동 해안을 따라 조성된 올레4길이 리조트 안으로 이어져 있어 관광객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대명코퍼레이션 관계자는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 임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대명리조트 천안과 대명 샤인빌 리조트의 투숙률이 상승추세여서 성수기인 2분기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