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두산, 자산유동화로 1500억 조달

    ▶마켓인사이트 2월 10일 오후 2시45분두산그룹 지주회사인 (주)두산이 국내 최초로 면세점 매출채권을 유동화해 자금을 조달한다. 면세사업 실적이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이 같은 자금 조달이 가능해졌다는 평가다.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주)두산은 최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한 자산유동화 담보부대출(ABL)로 1500억원을 조달했다.SPC가 ABL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두산에 대출해 주는 구조다. 두산은 1500억원 중 3년 만기로 빌린 900억원은 3개월마다 분할해 갚을 예정이고, 600억원은 3년6개월 후 전액 상환하기로 했다. 대출 이자는 연 4%대로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다. 키움증권과 KB증권이 대표주관을 맡았다.(주)두산이 이번 자금조달에서 기초자산으로 내놓은 것은 면세사업에서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이다. 대출 만기에 맞춰 (주)두산이 SPC에 차입금을 상환하면 SPC가 이 자금을 ABL 투자자에게 돌려주도록 돼 있다. (주)두산은 2015년 말 서울 시내면세점 사업권을 취득하고, 이듬해인 2016년 5월 서울 중구 동대문 패션시장에 있는 두산타워에 면세점을 개장했다.(주)두산은 지난해 1~3분기 면세사업을 포함한 유통사업에서 매출 4793억원을 거뒀다. 재작년 전체 매출(3897억원)을 웃도는 실적이다. 영업이익도 9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017년까지 적자를 쌓던 면세사업도 흑자로 돌아섰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여파로 고전했지만, 최근 중국 관광객이 조금씩 증가하면서 영업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신세계 회사채에 8500억원 매수주문 몰려

    신세계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8000억원 이상의 투자수요가 몰렸다.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눈여겨본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에 뛰어들었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가 13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위해 이날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국내 기관들이 총 8500억원의 매수주문을 넣었다. 300억원을 모집한 3년물에 3100억원, 1000억원을 모집한 5년물에 5400억원이 들어왔다.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준 것이 ‘흥행’ 비결로 꼽힌다. 신세계의 지난 1분기 매출은 1조9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영업이익은 1133억원으로 45.9% 늘었다. 주력인 백화점 사업에서 안정적으로 실적을 내는 가운데 새 먹거리인 면세점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익을 내기 시작했다. 지난 25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사업자로 단독 선정되면서 공항 면세점 사업의 성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다.  신세계는 풍부한 투자수요가 모이자 채권 발행금액을 2300억원까지 늘릴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증액을 하더라도 당초 희망했던 수준보다 발행금리를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 27일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시가평가한 신세계의 3년물 금리는 연 2.51%, 5년물 금리는 연 2.79%다.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은행 대출금을 갚는데 사용할 계획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신세계, 6개월만에 회사채 발행

    신세계가 6개월 만에 다시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지속적인 성장세와 우량한 신용도를 유지하고 있어 여러 기관투자가의 관심을 받을 전망이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다음달 초 13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달 말 기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벌일 예정이다.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 신세계의 신용등급은 ‘AA’(안정적)로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대형 유통회사로 회사채 발행시장에서 꾸준히 우량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같은 평가에 힘입어 지난 1월에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며 만족할만한 조건으로 채권을 발행했다. 이 회사는 당시 수요예측에 모집액 3000억원의 두 배가 넘는 8200억원의 기관 자금이 몰려 발행금액을 3700억원으로 늘렸다.채권시장에선 신세계가 꾸준히 실적을 개선하고 있어 이번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투자수요를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세계의 지난 1분기 매출은 1조9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영업이익은 1133억원으로 45.9% 증가했다. 주력인 백화점 사업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내는 가운데 면세점사업이 본격적으로 이익을 내기 시작했다. 신세계는 오는 25일 면세점사업을 전담하는 자회사 신세계DF에 1000억원을 출자해 면세점 투자에 더 힘을 실을 예정이다.IB업계 관계자는 "신세계는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어 기초체력(펀더멘털)이 더 탄탄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우량등급 채권을 담으려는 기관들이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

  • 한신평 “면세업계, 롯데·신라·신세계 ‘빅3’로 재편 가능성 높아”

    이 기사는 07월19일(17:5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홍석준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19일 국내 면세점 사업자들의 신용등급 전망을 주제로 온라인상에서 진행한 세미나에서 “사업자 수가 급증하면서 면세업체들이 과거만큼 수익을 확보하기 어려워졌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치킨게임을 거쳐 1~2위 사업자인 호텔롯데와 호텔신라, 대형 유통업체인 신세계가 ‘빅3’를 이루는 식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정책기조에 따라 양상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대기업 중심의 과점체제를 허용하지 않고 여러 기업의 경쟁을 유도한다면 시장이 정상화되는 데 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국내 면세점 사업자들은 신규 업체들의 잇따른 진입에 경쟁은 치열해졌고,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후 중국 관광객 감소로 수요마저 줄어들고 있다. 이 여파로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지난 5~6월 호텔롯데(AA+) 호텔신라(AA)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A-) 등 주요 면세업체들의 신용등급에 잇따라 ‘부정적’ 전망을 달아놓았다. 한국신용평가는 사드 배치 악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것이 지난 3월부터였기 때문에 당분간 이들 업체의 실적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홍 연구원은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관광객 감소도 문제지만 업체들의 캐시카우(Cash cow)인 시내면세점이 공급과잉 상태인 것이 더 큰 문제”라며 “사업자 수가 줄어들지 않으면 현재 신용등급에 맞는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면세사업 부진에 신용도 ‘흔들’

    이 기사는 06월22일(17: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면세사업 적자로 고전 중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신용등급 하락 위험이 커졌다. 나이스신용평가는 22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신용등급(A-)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면세사업 진출 이후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 반영됐다. 이 회사는 지난해 187억원, 올 1분기 33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이 회사는 2014년 4월 제주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하면서 면세사업에 뛰어들었고 2015년 7월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돼 그 해 12월부터 여의도 63빌딩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신규 면세사업자들이 늘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 실적이 악화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2014년 말 6곳이었던 서울 시내면세점은 지난달 말 10곳으로 증가했다. 올해 말에는 신세계 센트럴시티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탑시티 신촌점이 개장한다. 경쟁사들이 늘어나면서 주요 명품 브랜드 유치경쟁이 치열해졌고 단체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알선 수수료 및 광고선전비도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4년 면세사업에서 1억원의 세전 영업이익(EBIT)을 냈지만 2015년부터는 매년 적자를 내고 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후 중국 정부가 한국 단체관광을 제한하면서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들고 있는 것도 불안요인이다. 지난해 7월 약 100만명이었던 중국인 관광객 수는 거듭 감소해 올해 4월엔 30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곽노경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4실장은 “면세사업 수요 기반이 약해질 가능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