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QT, SK쉴더스 리파이낸싱 추진…KB가 3조원 이상 조달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EQT가 포트폴리오 기업 SK쉴더스의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추진한다. 3조3000억원에 달하는 리파이낸싱 자금 중 90% 이상을 KB금융그룹(KB증권·KB국민은행)이 주선할 예정이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EQT는 전날 주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컨퍼런스콜을 통해 SK쉴더스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의 주선 물량을 공식 배분했다. 이번 리파이낸싱은 OpCo(운영법인)와 HoldCo(상위 법인)로 나눠 자금을 조달한다. OpCo인 SK쉴더스는 자체 신용을 담보로 2조4000억원을 조달하며, HoldCo 트렌치에는 6000억원이 담긴다. 이외에 3000억원이 RCF(한도대출) 형태로 조달된다. KB증권과 KB국민은행이 3조원 이상을 주선하고, 나머지는 한국투자증권이 맡는다. 2023년 SK쉴더스를 인수할 당시 EQT는 SPC(특수목적법인)를 설립해 자금을 조달했으나, 이번에는 SK쉴더스 본체(OpCo)가 자체 신용을 기반으로 직접 차입에 나서는 구조로 변경됐다. 이번 리파이낸싱은 2023년 EQT가 SK쉴더스를 인수하며 일으킨 2조3500억원 규모의 인수금융을 재조정하려는 목적이다. EQT는 당시 SK스퀘어로부터 28.8%, 맥쿼리로부터 36.87%의 SK쉴더스 지분을 인수한 뒤, 유상증자에도 참여해 지분율을 68%까지 높였다. EQT는 SK스퀘어로부터 4500억원을 차입하기도 했다. 이처럼 높은 차입 비중에 대해 자본시장에서는 재무 부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EQT는 리파이낸싱을 통해 OpCo 차입금 금리를 연 5.1%로 낮추고, HoldCo 트렌치는 연 7.5% 수준에서 조달하는 구조로 재편한다. 인수 당시 KB증권에서 조달한 인수금융의 금리가 연 7%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자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SK스퀘어에 빌린 자금은 올해
-
어피니티, 서브원 9500억 리파이낸싱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가 서브원의 인수금융 만기를 앞두고 리파이낸싱 마무리 수순을 밟고 있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어피니티는 9500억원 규모의 서브원 리파이낸싱을 조달한다. 주선사는 KB국민은행·한국투자증권·산업은행 등 세 곳이다. 고정만기 대출(텀론) 8700억원과 운영자금 한도(RCF) 800억원으로 구성된 구조다. 최저금리는 4.65%, 만기는 3년으로 이르면 이번주 대출 계약이 체결된다. 이번 리파이낸싱은 어피니티가 2022년 약 6400억원 규모로 진행했던 리파이낸싱 이후 두 번째다. 당시에는 만기를 앞두고 차입금을 재조정하려는 목적이었지만 이번에는 1000억원대의 리캡이 포함됐다. 리캡을 통해 출자자(LP)들은 조기 수익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어피니티가 리캡을 병행한 배경에는 서브원의 충분한 재무적 안정성이 뒷받침됐다는 분석이다.지난해 서브원의 연결 기준 매출은 5조7952억원으로 전년(5조3810억원) 대비 소폭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이 1634억원에서 2364억원으로 44% 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EBITDA도 2210억원에서 3130억원으로 41% 확대돼 현금창출력이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어피니티는 2019년 LG그룹으로부터 서브원의 지분 60.1%를 6021억원에 인수했다. 서브원은 LG그룹의 기업 간 구매대행(B2B MRO) 전문 회사로 시작했다. LG에서 독립된 이후 종합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단순 구매대행에서 나아가 운영자산 관리·물류·설비 지원 등 종합 운영 서비스로 확장한 것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조달 및 공급망 구축, 해외법인 매출 확대를 통해 수익 구조를 다변화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
[2024년 리그테이블]'1.28兆 LG CNS 단독주선' KB증권, 인수금융 1위
올해 인수금융 금리가 연 5%대로 떨어지면서 리파이낸싱(차환)과 리캡(자본재구조화) 수요가 늘었다. 조(兆) 단위 딜이 쏟아졌고 큰 거래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뚜렷해졌다. KB증권은 1조2800억원 규모의 LG CNS 딜을 단독 주선하고, DIG에어가스 롯데카드 등 빅딜에도 다수 참여하면서 올해 인수합병(M&A) 인수금융·리파이낸싱 시장 주선 1위를 차지했다. KB국민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이 그 뒤를 이었다.27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 매체 마켓인사이트가 에프앤가이드와 함께 집계한 2024년 1~4분기 누적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KB증권이 3조8613억원 규모의 실적(발표 기준)을 쌓아 1위에 올랐다. 8건의 인수금융과 7건의 리파이낸싱을 성사하며 총 15건의 거래 건수를 올렸다. 대표 거래는 가장 최근 주선한 맥쿼리자산운용의 LG CNS 리파이낸싱과 리캡이다. 1조2800억원 거래를 단독 주선했다. 이외에도 DIG에어가스(5100억원), 롯데카드(5000억원), SSG닷컴(1975억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800억원) 등 7건의 리파이낸싱 거래에 참여했다. 인수금융은 KJ환경(2500억원), SK렌터카(2000억원), 제뉴원사이언스(1500억원) 등 8건을 주선했다. KB국민은행은 2조7582억원을 주선하며 2위에 올랐다. KJ환경(3750억원), 에코비트(3214억원) SK렌터카(2000억원) 등 8건의 인수금융과 유베이스(3500억원) DIG에어가스(3400억원) 등 7건의 리파이낸싱을 담당했다. 삼성증권은 2조4090억원(8건)을 주선하며 3위에 올랐다. 지오영(6000억원) 에코비트(1500억원) 인수금융과 대성산업가스(5100억원) 휴젤(4550억원) 클래시스(1290억원) 리파이낸싱 등을 주선했다.뒤이어 4위를 기록한 한국투자증권(2조5121억원)은 20건의 압도적인
-
롯데관광개발, 리파이낸싱 규모 늘리고도 이자 절감 비결은
롯데관광개발이 리파이낸싱(차환) 규모를 600억원 가까이 늘리면서 금리를 낮춰 연간 이자 부담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관광개발은 지난달 말 국내외 대주단 21곳으로부터 8390억원 규모의 리파이낸싱 자금을 조달했다. 롯데관광개발이 보유한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담보대출 성격이다. 트랜치는 선순위 8000억원과 후순위 390억원으로 나눠 구성했다. 금리는 각각 연 6%, 8%로 산정됐다. 롯데관광개발은 이번 리파이낸싱을 통해 지출하는 연간 이자 비용은 515억원으로 기존보다 80억원 이상 절감했다. 기존 대출은 선순위 6000억원(연 7.1%), 중순위 1000억원(연 9%), 후순위 800억원(연 10%) 등 총 7800억원으로 구성돼 있었다. 이보다 리파이낸싱 규모를 580억원 늘렸으나 이자 비용은 줄어든 셈이다.현금 창출력이 늘어나고 있단 점이 긍정적인 조건으로 리파이낸싱을 할 수 있었던 비결로 꼽힌다.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제주 해외 직항노선 확대와 맞물려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롯데관광개발은 지난 3분기 매출 1391억4900만원, 영업이익 221억6400만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3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 중이다.롯데관광개발이 운영 중인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내 최대 캐시카우인 카지노와 호텔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카지노 부문은 지난 3분기 842억2500만원의 매출을 올려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드롭액과 입장객 수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결과다. 해외 직항 노선이 재개된 이후 꾸준하게 중화권 고객 유입이 이뤄지고 있다. 그랜드 하얏트 제주를 보유한 호텔 부문도 매출 259억8000만원을 기
-
메리츠증권, 마곡 PF 1.3조 리파이낸싱 주관…롯데와 다시 ‘합작’
메리츠증권이 1조3000억원 규모 서울 마곡 복합단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주관에 나섰다. 메리츠금융그룹은 롯데그룹과 다시 한 번 합심해 자금 조달을 할 계획이다.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마곡 마이스PFV를 차주로 하는 마곡 지구 PF 리파이낸싱을 실시하고 있다. 마곡 4개 블록 가운데 케이스퀘어 마곡(CP3-2)을 제외한 르웨스트 시티타워(CP1), 롯데캐슬 르웨스트(CP2), VL르웨스트(CP3-1) 등 3곳이 이번 리파이낸싱 담보 대상이다. 대출 실행일은 오는 8일이다. 만기는 대출 실행으로부터 1년6개월이다.마곡 마이스 복합단지는 사업비 4조2000억원 규모 프로젝트다. 전체 대지면적은 8만2721㎡로 서울 월드컵경기장 9배 규모다. 연면적은 82만7000㎡ 규모로 조성된다. 마곡 마이스 복합단지에 들어서는 르웨스트시티타워와 케이스퀘어 마곡은 오피스 건물이며 롯데캐슬 르웨스트는 생활형 숙박시설에서 오피스텔로 변경된다. VL르웨스트는 시니어 레지던스다. 시행사는 마곡 마이스PFV로 롯데건설, 메리츠증권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 설립한 프로젝트금융회사다. 2021년 착공해 올해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한 대주단 관계자는 “메리츠증권이 리파이낸싱을 하고 있는데 인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실상 담보대출 성격이라 리스크가 적어 순항하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롯데건설은 메리츠금융그룹과 다시 한번 손을 잡았다. 이 사업장은 메리츠증권이 3년 전인 2021년 2조5000억원 규모 PF를 주선해 이목을 끌었던 곳이다. 교보생명, DB손해보험, 신협중앙회 등 국내 43개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등 증권업계에서 추진한 최대 규모 PF 조달이었다. 기존 대주단은 이
-
우리투자증권, 롯데카드 리파이낸싱 공동 주선사로 합류
우리투자증권이 MBK파트너스의 롯데카드 리파이낸싱 주선사로 참여한다. 출범 이후 첫 대규모 거래가 될 전망이다.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 리파이낸싱 공동 주선사로 우리은행과 KB증권에 이어 우리투자증권을 낙점했다.이번 리파이낸싱 규모는 1조원을 웃돈다.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를 인수할 때 일으켰던 6400억원 인수금융이 오는 10월 만기를 앞두고 있어 이를 차환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와 함께 약 3500억원을 추가로 대출해 출자자(LP)들에게 중간 배분할 계획이다.우리투자증권은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이 합병하면서 이달 1일 새롭게 출범했다. 자기자본 1조1000억원 규모로 업계 18위권 중형 증권사로 출발했다. 공식 출범을 앞두고 영업력을 조기에 끌어 올리기 위해 동종업계에서 인수금융 및 부채자본시장의 전문가를 영입하며 기반을 닦았다.우리은행이 이번 롯데카드의 리파이낸싱 주선사로 참여하면서 계열사인 우리투자증권이 함께 공동주선사로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이 받는 물량 일부를 우리투자증권이 소화할 전망이다.MBK파트너스는 리파이낸싱과 별개로 롯데카드 매각 작업도 진행 중이다. 하반기 매각을 재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책정 몸값은 최대 3조원으로 거론된다.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
-
MBK, 롯데카드 엑시트 속도…중간 회수 추진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 인수 5년 만에 첫 중간회수에 나섰다. 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고 있다. 인수 당시 일으켰던 6400억원 인수금융이 오는 10월 만기를 앞두고 있어 이를 차환하기 위한 목적이다. 약 3500억원을 더 차입해 출자자(LP)들에게 일부 중간 배분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 리파이낸싱에 주선을 따기 위한 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복수의 인수금융 주선사들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롯데카드는 2019년 롯데그룹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금산분리 정책에 따라 매각됐다. MBK는 당시 우리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롯데카드 지분 79.83%를 약 1조7500억원에 인수했다. 이 가운데 1조3810억원을 출자한 MBK가 59.8%에 경영권을 가져왔다. MBK는 인수금융 리캡과 별도로 롯데카드 매각 작업도 진행 중이다. 2022년 JP모건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해 한 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인수후보였던 하나금융그룹이 중도에 물러나며서 무산됐다. 하반기 매각을 재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책정 몸값은 최대 3조원으로 거론된다.롯데카드는 작년 3679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전년보다 32.3% 늘었지만 작년 5월 자회사인 로카모빌리티를 매각한 데 따른 일회성 요인이 반영된 영향이다. 이를 제외한 순이익은 약 1700억원으로 오히려 약 40% 감소한 수치다.금융사 M&A 시장이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도 걸림돌이다. 롯데카드뿐만 아니라 MG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등이 매물로 나와있으나 새 주인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
-
'매각 D-6개월' 어피너티, SSG닷컴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홍콩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SSG닷컴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완료했다.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최근 SSG닷컴 지분에 대한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마쳤다. 선순위 텀론 1700억원, 한도대출(RCF) 275억원을 포함해 총 1975억원의 차입을 일으켰다.리파이낸싱의 차주는 지분 인수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Convergent TradeChannels Kft)이다. SSG닷컴 지분 10.5%를 매입한 SPC다. 어피너티는 또 다른 SPC로도 4.5%를 보유하고 있다. 어피너티는 이달 대출 만기를 앞두고 이를 연장하는 차원에서 재차입을 진행했다. 어피너티는 2021년 6월 10.5% 지분에 대해 2000억원 규모로 자본재조정(리캡)을 단행했다. SSG닷컴에 투자한 후 단행한 첫 차입성 조달이었다. 당시 KB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주선을 맡았다. 3년 만기로 약 4% 금리에 자금을 조달했다. 2019년 차입금 없이 총 3500억원을 투자했던 어피너티는 이 리캡 자금을 활용해 2022년 3000억원을 추가 투입했다.이번 리파이낸싱의 만기는 6개월로 설정됐다. 어피너티는 앞서 올해 12월까지 SSG닷컴 지분을 매각하기로 한 상태다. 신세계그룹은 최근 SSG닷컴 재무적투자자(FI)들인 어피너티와 BRV캐피탈 지분을 사갈 투자자를 찾고, 이에 실패할 경우 이들 지분을 대신 되사가기로 약속했다. 되사는 가격은 1조1500억원 안팎으로 알려졌다.SSG닷컴은 작년 매출 1조6784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1조7447억원)보다 소폭 하락했다. 영업적자는 줄고 있다. 2022년 1111억원에서 지난해 103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
-
[단독]테일러메이드, 중순위 메자닌 3000억원 리파이낸싱
글로벌 3대 골프업체인 테일러메이드를 인수한 사모펀드(PEF)운용사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센트로이드PE)가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자본재조정)에 나섰다. 중순위 메자닌 4633억원 가운데 3000억원을 차환할 예정이다. 낮은 금리로 차환해 이자비용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테일러메이드가 실적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증권사들의 주선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테일러메이드가 3000억원 규모의 중순위 메자닌 리파이낸싱을 추진 중이다. 금융사와 증권사에 인수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국내 증권사와 은행 등을 대상으로 인수 의사가 있는지 물어보는 단계”라고 말했다.센트로이드PE는 지난 2021년 테일러메이드를 기업가치 17억1000만달러(2조1000억원)에 인수했다. 선순위 인수금융 1조원, PEF(센트로이드 제7의1호)를 통한 중순위 메자닌 4633억원, PEF(센트로이드 제7호)를 통한 후순위 지분투자 6059억원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이 가운데 선순위 인수금융 1조원은 JP모간, 모간스탠리,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로 대주단을 구성해 글로벌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 등 해외 48개 기관을 대상으로 차환을 마쳤다. 선순위 인수금융 금리는 연 4% 후반대에서 3% 후반대로 낮아지면서 센트로이드PE는 연간 이자 비용 약 200억원을 줄였다.이번에는 중순위 메자닌 4633억원 중 3000억원이 차환 대상이다. 센트로이드PE는 인수 대금을 충당하기 위해 특수목적법인(SPC)를 설립해 상환우선주(RPS)를 발행했다. RPS는 보통주와 마찬가지로 1주당 1개 의결권이 보장되지만, 배당과 청산에서 우선권을 가진다. 센트로이드PE는 투자자들에게 연 10.5%의 만기보장수익률(YTM)을 제
-
IMM크레딧, SK엔무브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마무리 단계
IMM크레딧솔루션이 7500억원 규모의 SK엔무브(옛 SK루브리컨츠)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마무리하고 있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IMM크레딧솔루션(ICS)이 SK엔무브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을 추진 중이다. 리파이낸싱은 한도대출(RCF)을 제외하고 7500억원 규모로 협의됐다. 선순위 텀론(Term Loan) 5000억원, 중순위 대출 2500억원이다. 키움증권과 하나은행, 신한은행, 신한투자증권이 공동 주선을 맡았다. 대출은 5년 만기로 금리는 약 6.5% 수준으로 알려졌다. 자금 인출은 오는 29일이다. 전체의 40% 물량 주선을 맡은 키움증권은 신디케이션을 위해 대주단을 모집하고 있다.ICS는 SK이노베이션(지분율 60%)에 이은 SK엔무브 2대주주다. 2021년 4월 특수목적회사(SPC) 에코솔루션홀딩스를 통해 SK엔무브 지분 40%를 1조1195억원에 인수했다. 에코솔루션홀딩스는 투자금의 절반 가량인 5850억원을 인수금융으로 조달했다. 인수금융 만기 5년에 금리는 연 3% 후반에서 연 4% 초반대로 구성됐다. 이번 리파이낸싱은 첫 번째 투자금 중간 회수다. ICS는 새 대출금으로 기존 차입금을 모두 갚고 나머지는 출자자(LP)들에게 배당할 전망이다.ICS는 이미 SK엔무브로부터 6500억원가량의 배당을 받았다. 매년 2000억원 이상의 배당을 받으며 투자금의 상당액을 회수했다. SK엔무브 총배당은 2021년 5500억원, 2022년 4413억원, 2023년 6374억원이었다.SK엔무브는 윤활유와 윤활유 원료인 윤활기유 등을 생산하는 업체다. ICS가 투자하기 전인 2020년 이 회사 매출과 영업이익은 2조6879억원, 2622억원을 거뒀다. 2022년엔 각각 6조2413억원과 1조712억원으로 실적이 큰 폭으로 뜀박질했다. SK이노베이션 계열사 가운데 영업이익이 가장 많았다. 하
-
[단독]브룩필드, IFC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착수…최대 2.7조 조달
캐나다 대체투자 자산운용사 브룩필드가 서울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입금 재조달)에 돌입했다. IFC 가치가 높아졌다고 보고 리파이낸싱 규모를 최대 2조7000억원까지 늘리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브룩필드는 IFC 차입금 리파이낸싱 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무리하고 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투자증권이 리파이낸싱 주관사단으로 거론되고 있다. 브룩필드는 2016년 2조5500억원을 투입해 콘래드 서울, 여의도 IFC 오피스타워 3개동, IFC몰 등 IFC 전체를 통으로 사들였다. 각각을 5개의 국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인수했다. 연면적은 약 50만6314㎡(약 15만3160평)에 달하는 자산이다. 조달 규모가 막대해 리파이낸싱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차입금 만기는 오는 11월 도래해 아직 9개월가량 남아 있는 상황이다. 리파이낸싱 규모를 기존보다 4000억원 이상 확대하기 위해 일찌감치 채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브룩필드는 리파이낸싱 규모를 2조4000억원에서 2조7000억원 사이로 검토하고 있다. 앞서 브룩필드는 2019년 IFC 차입금으로 2조2800억원을 조달했던 바 있다.차입금 규모를 늘려 원금을 회수할 필요성도 조기 리파이낸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년 전 통매각 불발 이후 5성급 호텔 콘래드 서울의 분리 매각을 시도하는 등 회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앞서 2022년 우선협상대상자에 오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자금 조달을 위해 설립하려던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를 국토교통부에서 인가받지 못하면서 협상이 무산됐다. 리파이낸싱을 하게 되면 규모를 늘린 만큼 투자 원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번 리파이낸싱을 마무리하
-
2년내 1000조 '빚 폭탄'…신흥국 기업 초비상
고금리의 장기화로 신흥국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하고 있다. 신흥국 기업이 찍은 달러·유로화 표시 채권 가운데 4000억달러(약 543조원)어치가 내년에 만기를 맞는데, 이 중 부실기업이 채무불이행(디폴트)하거나 파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신흥국 투기 등급 채권 상환에 적신호블룸버그는 29일(현지시간) “미국 국채 금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로 치솟는 등 차입 비용이 급증하면서, 개발도상국 기업들은 필요한 자금 가운데 10분의 1가량만 롤오버(만기 연장)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내년 회사채 만기가 도래할 때 기업의 차환 문제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어려움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주요국 중앙은행이 고금리 정책을 이어가면서 기업 자금 조달 시 이자율의 기준이 되는 국채 금리가 높아졌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지난 27일 연 4.843%를 기록했다. 앞서 미국 국채 10년 만기 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7년 이후 최고치인 연 5%를 돌파하기도 했다. 그 결과 미국 국채 금리에 신용 위험을 반영해 산정하는 달러 표시 회사채 금리도 상승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국 기업들의 회사채 중 2024년 만기가 돌아오는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는 약 4000억달러다. 2025년 만기인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도 3170억달러로 예상된다. 향후 2년간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규모만 7170억달러(약 974조원)에 이른다. 이 채권 대부분은 투자 등급이지만, 투기 등급 채권인 이른바 정크본드가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블룸버그는 “앞으로 2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신흥국
-
"향후 2년간 974조원 채권 만기"…신흥국 기업들 '도미노 디폴트' 오나
글로벌 차입비용이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신흥국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고금리 장기화(higher for longer) 정책이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인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다. 신흥국 기업들의 내년 만기 채권 규모가 약 4000억달러(약 543조원)에 달하면서 부실 기업들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이나 파산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미 국채 금리가 약 15년 만의 최고치로 치솟고 차입비용이 급등하면서 개발도상국 기업들은 필요한 자금의 10분의 1 수준만 롤오버(만기 연장)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내년에 또다른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면 기업의 차환 문제가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어려움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지난해부터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이어온 고금리 정책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최근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기업들의 회사채 금리가 오른 여파다. 국제 채권시장의 벤치마크가 되는 미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27일 4.843%을 기록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국 기업들의 회사채 중 2024년 만기인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는 약 4000억달러로 집계된다. 2025년 만기인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도 3170억달러로, 향후 2년간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규모만 7170억달러(약 974조원)에 이른다.블룸버그는 “신흥시장에서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는 대부분 투자등급이지만, 향후 2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정크등급(투자 부적격 등급) 채권 규모도 1100억달러에 달한다”고 지적했다.블룸버그는 고
-
하나대체운용, ‘삿포로 호텔’ 공모펀드 만기 1년 연장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일본 삿포로 호텔을 담은 부동산 공모펀드의 만기를 1년 연장하고 리파이낸싱(차환)을 단행했다. 자산 가치가 떨어지는 등 매각 적기가 아니란 판단을 내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운용은 ‘하나대체투자일본부동산투자신탁1호’ 만기를 2024년 8월까지로 1년 연장했다. 2019년 8월 설정된 이 펀드는 일본 삿포로 스스키노역에 위치한 아실 삿포로(ASIL SAPPORO) 호텔 및 리테일 건물을 자산으로 담고 있다. 매입가격은 부대비용을 포함해 128억엔 수준이다.펀드는 만기를 연장하기 위해 리파이낸싱을 실시했다. 리파이낸싱 과정에서 후순위 대출 비중을 늘리고 금리를 소폭 높였다. 선순위 대출은 68억4000만엔을 연 0.84%에 미즈호은행에서, 후순위 대출은 미즈호은행 계열사인 미즈호리스로부터 17억6000만엔을 연 3.73%에 빌렸다. 기존 대출은 선순위 70억5000만엔(일본 미즈호은행, 연 0.77%)과 후순위 13억5000만엔(미쓰비시 UFJ 리스, 연 3.6%)으로 구성돼 있었다. 펀드가 리파이낸싱과 만기 연장을 실시한 것은 자산 가치 하락을 맞는 등 매각할 적기로 보기 어렵단 판단 때문으로 관측된다. 하나대체운용은 만기를 앞두고 지난해 호텔 매각을 추진했으나 일본 여행이 전면 재개되기 전이라 제값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올해부터는 매각 대신 만기 연장과 리파이낸싱을 추진하기로 선회했다. 리파이낸싱을 위해 진행한 감정평가에서는 자산 가치가 매입가격 대비 6.2%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1년간 시간을 번 만큼 적정한 가격에 팔릴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공모 펀드인 이 펀드는 판매사인 유진투자증권, IBK투자증권, 신한은행 등을 통해 개
-
10대 건설사 PF도 반토막…"연내 시행사 10곳 중 8곳은 부도 날 것"
수도권에 본사를 둔 개발업체 A사는 경기 화성시 동탄에서 진행하는 주택 사업용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이 부족해 보유한 다른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사업비의 40%에 달하는 후순위 PF 대출을 해줄 금융회사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렵사리 받은 선순위 대출 금리도 연 8%로 작년의 두 배로 뛰었다. A사 관계자는 “PF 대출은 덮어놓고 하지 말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이 커지면서 일부 증권사 정도만 대출을 해주고 있다”며 “대출 회사가 적어 후순위 금리가 연 15~19%까지 치솟은 상황”이라고 말했다.부동산개발 시장에서 지난해 하반기 이후 ‘돈맥경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PF 대출이 사실상 막혀 주택 사업을 미루거나 매각하는 사업장이 잇따르고 있다. 금리 상승, 공사비 인상, 기존 아파트값 하락이 맞물린 결과다. ○PF 돈맥경화, 대형 건설사도 안심 못해PF 시장 돈맥경화의 여파는 재무 건전성이 우수한 대형 건설사에까지 미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삼성물산 현대건설 DL이앤씨 등 1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올 상반기 PF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 수준(11조6300억원→4조9600억원)이다. 3곳은 신규 브리지론과 PF 실적이 ‘제로’였다. 비주거 부문만 놓고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비주거 PF는 삼성물산이 경기 성남시 판교에 엔씨소프트 2사옥 등을 짓는 판교복합개발(7800억원)과 대우건설의 서울 양재동 데이터센터 사업(468억원) 등 세 건에 불과했다.재무구조가 취약한 10위권 밖 건설사와 수도권 외곽 사업의 PF 대출은 사실상 씨가 말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금융당국이 대형 시공사가 참여하지 않거나 보증기관 보증이 없는 PF 대출은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