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전력난에 다급한 中 "석탄·석유 싹 끌어모아라" 긴급 지시 [원자재포커스]

    중국 정부가 국영 에너지기업들에게 석탄, 석유 확보에 사력을 다할 것을 지시했다. 겨울철 전력난을 막기 위해서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석탄, 석유 등을 사모으며 국제 시세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통신의 9월30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한정 중국 부총리는 이번주 초 긴급 회의를 소집해 이같은 방침을 전달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석탄과 석유를 확보하라는 지시였다”며 “겨울철 전력난을 용납할 수 없다는 의사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 전역에서는 전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전력 공급 제한 조치가 적용되는 지역에서는 공장 가동 중단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전력난의 주요 원인으로는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가 거론된다. 중국은 호주와 갈등을 빚던 끝에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그 결과 중국 내 주요 발전소들의 석탄 비축분이 사상 최소를 기록하며 고갈 위기에 놓였다. 중국이 공격적으로 석탄, 석유 확보에 임하게 되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스웨덴 금융회사 SEB의 비얀 실드롭 원자재 담당 수석애널리스트는 “중국 정부의 선언으로 전력원 확보 경쟁이 과열될 것”이라며 “석탄, 액화천연가스(LNG)를 확보하기 위해 중국 기업들이 공격적으로 입찰에 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중국의 전력난이 유럽으로 불똥이 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유럽 역시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어 전력원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 컨설팅회사 가스비스타의 레슬리 팰티 구즈먼 대표는 “석탄, 석유 등을 놓고 중국과 치열하

  • MARKET

    국제유가 3년 만에 최고…"90달러까지 간다"

    국제 유가가 3년 만의 최고치로 치솟았다. 천연가스 가격은 7년 반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었다. 수요가 살아나는 가운데 공급이 크게 부족해질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원유(WTI)는 2.0% 오른 배럴당 75.4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2018년 10월 3일 이후 최고가다. 지난 20일 70달러 선이던 WTI는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7.34% 급등했다. 같은 기간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도 8% 가까이 오르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브렌트유 가격은 28일 장중 80달러 선을 돌파하기도 했다.골드만삭스는 브렌트유 가격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 80달러에서 90달러로 올렸다. WTI 가격 전망치도 77달러에서 87달러로 10달러 높여 잡았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원유 수요가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와중에 허리케인 아이다가 미국 남동부 지역을 강타해 원유 공급에 타격을 줬다”고 분석했다.천연가스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27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10월 인도분 천연가스 가격은 11% 상승한 100만Btu(열량단위)당 5.731달러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 2014년 2월 이후 최고가다. 28일 장중엔 100만Btu당 6달러를 넘었다.씨티그룹은 “북반구의 겨울 날씨가 추워지면 천연가스 가격이 계속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 골드만삭스 "국제유가 더 뛴다…3개월 후 90달러 돌파"

    골드만삭스 "국제유가 더 뛴다…3개월 후 90달러 돌파"

    국제 유가가 올해 말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세계적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27일(현지시간) 전망했다. 풍속 기준 4등급이었던 허리케인 아이다가 미국 남동부 지역을 강타한 데 따른 여파를 당초 예상보다 크게 산정한 결과다.골드만삭스는 이날 북해산 브렌트유의 연말 가격 전망치를 종전 배럴당 80달러에서 9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 전망치는 종전의 77달러에서 87달러로 역시 10달러 높였다.골드만삭스는 “아이다가 미국의 원유 공급에 타격을 줬는데 이는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기타 주요 산유국 모임)의 증산 영향을 상쇄하고도 남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이 투자은행은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원유 수요가 살아나면서 팬데믹(대유행)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고 있다”며 “산유국들이 다음주에 생산량 협의에 나설 예정이지만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우리 예측을 또 다시 바꿀 정도는 안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원유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가격도 치솟고 있다. 겨울철 한파가 닥치면 특히 유럽에서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러시아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탓이다. 유럽은 전체 천연가스 소비량의 절반 가량을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국제 유가는 최근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날 브렌트유와 WTI 등 국제 유가는 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렌트유 선물은 전날 대비 1.2% 오른 78.14달러, WTI 가격은 1.1% 상승한 74.81달러를 기록했다고 투자 매체 배런스가 전했다.원유 생산업체들의 주가도 덩달아 큰 폭으로 뛰고 있다. 엑슨모빌 주가는 이날 오후 뉴욕증시에서 3.2%, 셰브런 주가는 2.3% 각각 상승

  • [마켓인사이트]유가 또 꿈틀거리자…SK그룹 정유·화학사, 실탄 확보 ‘릴레이’

    ≪이 기사는 05월28일(11: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그룹 정유·화학 계열사들이 잇달아 자금조달에 나서고 있다. 올 들어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타자 영업비용 증가에 대비해 ‘실탄’ 마련에 뛰어들고 있다는 분석이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종합화학은 다음달 중반 3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3~10년 수준에서 여러 구간으로 나누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에 조달한 금액은 운영자금 및 차입금 상환재원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한국투자증권과 SK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 SK그룹 정유·화학 계열사들은 올 들어서만 채권시장에서 2조원 이상을 조달했다. SK인천석유화학이 영구채(신종자본증권) 6000억원을 포함해 총 1조20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했다. SK에너지(5000억원), SKC(2000억원), SK케미칼(1500억원)도 적잖은 자금을 마련했다. 이들 회사 대부분이 조달한 자금 중 적잖은 금액을 원유 등 원재료 구매에 썼다. 지난해 말 크게 떨어졌던 국제유가가 올해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자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배럴당 57달러 수준까지 하락했던 두바이유 가격은 그 이후 꾸준히 오르막을 타며 지난 24일 69.43달러까지 상승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등 주요 산유국의 감산 등으로 원유시장의 공급부족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유가를 밀어올리고 있다. 정유·화학사들은 핵심 원재료인 원유 가격이 오를수록 제품 생산비용이 증가해 평소보다 많은 운영자금을 조달하는 경향이 있다. 두바이유 가격이 80달러를 돌파했던 지난해 9~10월에도 롯데케미칼 여천NCC 한화토탈 SK이노베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