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진칼 회사채 청약 부진... 하이일드펀드 위축 여파
대한항공 그룹 지주사 한진칼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았다. 증시 침체로 BBB급 채권 시장의 큰 손 하이일드펀드의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진칼은 6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예정하고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610억원의 주문을 받았다. 300억원을 모집한 1년 6개월 만기물은 청약이 10억원에 그쳤고 2년 만기물에 600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추가 주문을 받아 발행 규모를 소폭 증액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기대했던 최대 1200억원 규모에는 못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진칼 회사채 투자자로 증권사 리테일 본부가 개인 고객용 투자 상품을 내놓기 위해 대거 참여했고 보험·연기금 등 투자기관들도 청약했다. 반면 하이일드펀드의 주문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까지는 기업공개(IPO)에서 공모주 우선배정 혜택을 노린 하이일드펀드가 BBB 등급 채권을 대거 인수했다. 하이일드펀드는 자산의 45%를 비우량 채권과 코넥스 주식으로 담으면 공모주 물량 중 5%를 우선 배정받을 수 있어서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고 전쟁이 벌어진 여파 등으로 증시가 침체되고 IPO 시장이 크게 위축되자, 하이일드펀드들도 몸집을 줄이고 있다. 한편 한진칼은 2년물을 증액하고 1년6개월물을 줄여 최대한 조달금리를 낮춘다는 전략이다. 이날 주문이 몰린 한진칼 2년물 회사채 금리는 BBB등급 회사채 평균인 연 6.45%대에 비해 대폭 낮은 4.7%에 불과하다. 한진칼 회사채는 신용등급이 BBB0 등급으로 낮은 편이나, 정부 지원 가능성과 독점적 시장지위 등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부도 위험이 낮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수
-
한진칼, 회사채로 최대 1200억원 자금확보 나선다
대한항공 그룹 지주사 한진칼이 12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장 금리가 불안정한 가운데 고위험·고수익 회사채로 분류되는 한진칼 회사채가 완판에 성공할지 주목된다.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진칼은 만기가 1년 6개월과 2년인 회사채를 각각 300억원씩 총 600억원 발행하기로 하고 오는 3일 수요예측에 나선다.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증권사 다섯 곳이 주관사로 참여한다. 수요예측에 투자자들의 주문이 많으면 발행규모를 120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한진칼은 신용등급이 'BBB0'등급에 불과해 회사채 완판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관들이 '투자가능 등급'이라고 여기는 회사채 신용등급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등급이다. 현재 BBB0급 회사채의 평균 금리는 2년 만기물이 연 6.45%에 달한다. 한진칼의 회사채는 같은 BBB0 등급이나 수익률이 이보다 대폭 낮은 연 4.7%대에 불과하고, 이번에 발행하는 회사채 역시 약 4.9%를 희망금리로 제시했다. 신용등급 대비 금리가 낮은 탓에 투자자들은 참여 여부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칼은 회사채로 마련한 자금으로 은행 등 금융회사 대출금을 갚을 계획이다. 가장 이른 회사채 만기는 올해 10월 100억원이다. 대출 만기는 오는 7월부터 순차적으로 돌아온다. 이자율이 연 3%대에 불과한 기존 대출을 갚을 자금을 3개월 앞당겨 조달하는 것은 이례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한진칼은 지난 연말 진에어와 한진관광에 약 667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했고, 칼호텔네트워크에는 200억원의 자금을 대여하는 등 자
-
[마켓인사이트]‘경영승계’ 과제로 떠오른 한진칼, 주식담보대출 상환 나선다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이 주식담보대출 상환에 나선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경영권 승계문제가 난제로 떠올랐음에도 재무구조 개선작업은 차질없이 추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진칼은 대한한공 진에어 ㈜한진 등 자회사 지분을 담보로 한 대출금 중 일부를 상환하기 위해 다음달 회사채 발행에 나설 계획이다. 2년 만기로 700억원가량을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회사는 최근 미래에셋대우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발행준비에 돌입했다. 한진칼은 현재 보유 중인 자회사 주식 중 상당물량을 담보로 잡혀있다. 지난해 말 기준 대한항공 주식 2842만6706주 중 1579만9078주, 진에어 주식 1800만주 중 1005만1주, ㈜한진 주식 265만7179주 중 106만3735주가 자금을 빌려준 증권사 및 은행에 담보로 제공돼 있다. 한진칼은 이를 통해 1년 만기에 연 3.3~4.1% 수준의 금리로 총 3250억원을 빌렸다. 금융투자업계에선 한진칼이 더 긴 만기의 채권으로 주식담보대출을 대체함으로써 재무구조를 개선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연금과 사모펀드 운용사 KCGI 등 한진칼 주요 주주들은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조양호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안을 부결시킨 데 이어, 재무구조 개선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것을 주문하고 있다. 조 회장의 별세로 한진칼 경영승계에 필요한 상속세 재원확보를 위해서도 중장기적으로 지분가치가 올라가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조 회장의 세 자녀인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지분율 2.34%),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2.31%), 조현민 대한항공 전무(2.30%)는 한진칼 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