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로템 이어 KAI도 날았다…방산 빅4, 올 영업익 2조 전망
전투기, 자주포, 전차 등의 대규모 해외 수주를 기반으로 K방위산업 4개사(전투함 제외)의 올해 영업이익이 사상 최초로 2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산업계에선 ‘트럼프 2기’가 현실화하면 K방산이 또 한 번 비상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의 고립주의 혹은 선별적 개입 노선에 따라 세계 각국의 국방비 지출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9일 올해 3분기 매출 9072억원, 영업이익 763억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16.7% 증가했다. 국내 KF21 전투기 사업뿐 아니라,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각각 고등전술훈련기 T-50TH와 전투기 FA50을 납품하는 등 수출 호조세의 영향이 컸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4분기부터 폴란드와의 전투기 대형 계약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잡히는 만큼 올해 처음으로 영업이익 2900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K2 전차를 앞세운 현대로템도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현대로템은 올 3분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34.3% 늘어난 137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창사 이후 분기 기준 최대 규모다. 현대로템은 올해에만 폴란드에 K2전차를 총 56대 납품할 예정이다. 연간 영업이익은 4000억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아직 3분기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은 각각 3410억원, 619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이란 것이 증권가 컨센서스(실적 추정치)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97.4%, 50.9% 늘어난 수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와 천무 미사일, LIG넥스원의 천궁 미사일 등이 폴란드 호주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두 기업 모두 3
-
"KAI 주가 왜 이러냐고요?"…45년 전투기 파일럿 '깜짝 분석'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회사 주가가 지금보다 2배 넘게 올라도 문제가 없습니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강구영 사장이 17일 회사 주가를 분석했다. 강 사장은 1982년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직후 45년 동안 3000시간 동안 전투기를 조종한 베테랑 파일럿이다. 그는 F-5, F-16 전투기는 물론 CH-47 치누크 헬기 등 41개 기종을 조종했다. 베테랑 파일럿이자 KAI를 훤히 들여다보고 있는 그는 회사 기업가치가 너무 저평가됐다고 분석했다.강 사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주가가 왜 이렇게 낮냐'는 질문에 "2배 넘게 뛰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작년 6만원대를 웃돌기도 했던 KAI 주가는 4만2000원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시가총액은 4조1000억원 수준이다. 이 회사의 올해 당기순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2348억원 수준이다. 주가수익비율(PER)은 17.46배 수준으로 글로벌 항공우주 기업에 비해 낮은 편에 속한다.그는 주가가 낮은 배경으로 '홍보 부족'을 꼽았다. 강 사장은 "경쟁업체들은 대기업으로 홍보비 예산이 우리와 비교해 10~20배나 많다"며 "반면 KAI는 준공기업으로 회사가 크지 않아 홍보할 기회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회사가 적극적으로 비전을 달성하면서 기업가치를 키워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강 사장은 이날 2050년 매출 40조원을 달성해 글로벌 항공우주기업 '톱7'으로 도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비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6세대 전투기(스텔스 성능과 기동 능력 향상, 인공지능 등을 접목한 전투기) 연구·개발(R&D)에 4조5000억원을 쏟을 방침도 세웠다.강 사장은 "올해 매출 3조8000억원, 수주 4조5000억원을 달성할
-
블랙록, KAI 지분 2.48% 처분
≪이 기사는 06월08일(16: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 블랙록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지분 2.48%를 처분했다.8일 블랙록은 보유 중인 KAI 주식 242만1163주(1.48%)를 지난해 8월 말부터 지난 5일까지 장내에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블랙록은 지난해 5~8월 수차례에 걸쳐 KAI 주식 633만7249주(6.50%)를 장내에서 사들였다. 6만원대였던 주가가 경영비리 및 회계조작 의혹에 4만원대까지 떨어지던 시기다.지난 1년간 KAI 주가가 6만원 밑에서 움직인 것을 고려하면 투자수익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추산된다. KAI는 지난해 10월 유가증권시장에서 5만8400원까지 오르며 반등세를 보였지만 그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은 전거래일보다 2.73% 내린 4만6400원에 장을 마쳤다.블랙록은 최근 한국 정보기술(IT)주를 잇달아 사들이고 있다. 이 운용사는 전날 LG그룹 계열 반도체 설계회사(팹리스)인 실리콘웍스 주식 83만3753주(지분율 5.13%)를 들고 있다고 공시했다. 이 회사는 현재 SK하이닉스(5.08%)와 LG전자(5.04%) 지분을 보유 중이다. 삼성엔지니어링 지분 5.10%는 이날 모두 처분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KAI, 내달 2000억원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4월28일(14: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년여 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AI는 다음달 말 20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오는 8월 만기 도래 예정인 2000억원어치 회사채를 상환하기 위해서다. 채권 만기는 3년과 5년으로 나누기로 했다.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다음달 중후반 진행할 예정이다. 미래에셋대우 KB증권 NH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 KAI는 국내 대표적인 방위산업체로 한국 방위사업청과 계약을 맺고 군용 항공기를 개발·양산하고 있다. 국내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갖고 있는데다 해외 거래처도 늘리면서 외형과 이익 모두 성장하고 있다. 올 1분기 매출은 71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영업이익은 977억원으로 20.3% 증가했다. 재무구조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안정적으로 현금을 벌어들인데 힘입어 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성자산)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비율을 2012년 1.8배에서 지난해 말 1.1배까지 낮췄다.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지난해 초부터 KAI의 신용등급(AA-)에 ‘긍정적’ 전망을 붙여놓고 있다. IB업계는 우량한 신용도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고려하면 여러 기관들이 투자에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최근 수주실적이 주춤한 것은 부담요인으로 꼽힌다. KAI의 지난해 신규수주 규모는 약 3조원으로 전년 대비 70% 감소했다. 올 1분기 신규수주 금액은 4362억원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