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거래소, IDB와 중남미 자본시장 협력을 위한 MOU 체결

    거래소, IDB와 중남미 자본시장 협력을 위한 MOU 체결

    한국거래소(KRX)는 미주개발은행(IDB)과 중남미 자본시장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IDB(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는 중남미 경제‧사회개발 촉진과 지역 경제통합을 위해 1959년 설립된 국제개발은행이다. 우리나라 포함 48개국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기준 234억 달러 규모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MOU는 한-중남미 자본시장 교류 확대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자본시장 정책, 지속가능금융 등의 분야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사업을 발굴하는 등 협력을 공고히 하기로 합의했다. MOU에는 중남미 자본시장 관련 공동연구, 중남미 자본시장 관계자 초청연수, 공동세미나 등이 포함됐다. 손병두 거래소 이사장은 “KRX-IDB간 협력 사업 추진을 통해 향후 증권사‧자산운용사 등 양 지역 금융기관간 협력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상호 투자 및 기업 교류 확대를 통해 자본시장을 넘어선 한-중남미 경제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일랑 고우드파잉 IDB 총재는 “KRX의 자본시장 관련 경험과 지식은 중남미 자본시장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프레스티지바이오팜,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신청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바이오시밀러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이 올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 시장에서 예상하는 이 회사의 올 연말께 기업가치는 약 2조원이다. SK바이오팜에 이은 올해 대형 기업공개(IPO)로 꼽힌다. 한국기업이 아닌 외국기업이 시가총액특례로 유가증권에 상장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다르면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은 이날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거래소의 심사결과가 나오는 대로 공모 절차를 밟아 이르면 올 하반기 중 유가증권시장 상장까지 마친다는 목표다. IPO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 공동주관사는 KB증권이다.프레스티지바이오팜은 2015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바이오시밀러다. 지난해 글로벌 유통망을 보유한 대형제약사 먼디파마와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유방암과 전이성 위암 치료에 쓰이는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 유럽 판매 라이선스도 확보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의 성장가능성을 눈여겨 본 국내외 일부 기관투자가들은 지난해 이미 이 회사의 기업가치를 1조원으로 보고 900억원을 투자했다. IB 업계는 시가총액 특례 조건인 상장 후 예상시가총액 6000억원의 문턱은 쉽게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IB업계는 다음달 중 최대 9500억원을 공모하는 SK바이오팜의 청약 흥행여부가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의 IPO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공모주 시장에서 흔치 않은 수천억원 단위의 대규모 공모인 데다 바이오기업이라는 공통점도 있기 때문이다.한 IB업계 관계자는 “임상실패 리스크가 적은 바이오시밀러 기업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라는

  • [단독]한상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팜, 코스닥 대신 코스피 간다

    [단독]한상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팜, 코스닥 대신 코스피 간다

     ≪이 기사는 05월06일(17:0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기술특례상장제도를 통해 코스닥을 한 차례 노크했던 싱가포르 한상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이 행선지를 유가증권시장으로 선회했다. 기술특례 대신 6000억원 이상의 몸값을 인정받아 시가총액특례로 코스피에 입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 승인을 받을 경우 한국 증시에 입성하는 첫 싱가포르 기업이자, 시가총액 특례로 상장하는 첫 외국 기업이 될 전망이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은 이르면 이달 말 중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상장 승인을 받는 대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진행해 올 하반기 중 유가증권시장 입성을 노린다. IPO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이며 공동주관사는 KB증권이다.본래 프레스티지바이오팜은 기술특례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 상장을 노렸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받은 기술평가 성적표가 발목을 잡았다. 이 회사는 전문평과기관 2곳에 기술평가를 의뢰해 각각 A와 BBB 등급을 받았다. 국내기업이었다면 충분한 점수였지만 외국기업이라는 점이 문제가 됐다. 거래소 규정에 따르면 외국기업이 기술특례로 상장하기 위해선 전문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각 A 이상 등급을 받아야 한다. 두 기관의 평가 결과가 2등급 이상 차이가 나지 않을 경우엔 6개월 후에나 다시 기술평가를 신청할 수 있어, 결국 6개월을 기다리는 대신 유가증권 상장을 노리게 됐다는 것이 IB 업계의 설명이다.프레스티지바이오팜이 시가총액특례제도를 통해 유가증권에 입성하기 위해선 거래소 규정에 따라 6000억원 이상의 시가총액을 인정받아야 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