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혼다 "하이브리드차에 집중하겠다"…전기차 투자 30% 줄여

    혼다 "하이브리드차에 집중하겠다"…전기차 투자 30% 줄여

    혼다 자동차는 전기차(EV)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고 현재 더 선호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20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도요타에 이어 일본 2위 자동차업체인 혼다 자동차는 전기화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계획된 투자를 종전 계획보다 30% 감소한 7조엔(67조3천8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또 2030년 회계연도까지 매출의 30%를 전기 자동차가 차지하도록 하겠다는 판매 목표도 낮췄다. EV 비중을 낮추는 동안 2027년부터 4년간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하이브리드 모델 13개를 출시할 계획이다. 또 2020년대 후반에 출시할 대형 모델용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현재까지 12개가 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판매했지만, 미국에서는 해치백과 세단 버전으로 출시되는 시빅, 어코드, CR-V 등 3개 모델만 판매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량을 220만 대에서 230만 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는 작년 이 회사의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량 86만 8천 대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혼다의 작년 전체 판매량은 380만대를 기록했다.  미베 토시히로 최고경영자(CEO)는 기자회견에서 그 때쯤이면 전기차가 시장 점유율의 5분의 1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2040년까지는 모든 신차 판매에 배터리 구동 차량과 연료 전지 차량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을 필두로 일부 국가가 배출 규정과 전기차(EV) 판매 목표 시점을 완화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여러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가 전기차 투자를 줄이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가

  • "중국 EV시장 성장 지속, 가격인하 전쟁 마무리"

    "중국 EV시장 성장 지속, 가격인하 전쟁 마무리"

    세계 최대 전기자동차(EV) 시장인 중국에서 EV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중국 EV업체들이 치열한 가격 전쟁에서 승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도 4분기 판매 확대를 위해 중국내 공격적인 판매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중국 중앙정부 기관은 이번주 초 신에너지 차량의 구매를 늘리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중국내 전기자동차 판매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분석가들은 올해 마지막 분기에도 중국 정부가 국가 및 지역 보조금을 확대하면서, 전기차 호황으로 시장 상황이 더 좋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분석가들은 중국의 주요 EV업체들이 올해 3분기에 작년 같은 시기보다 전반적으로 재정 상황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강력한 납품 실적으로 재정적 압박이 완화된데 따른 것이다. 중국 정부는 오래된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교체하도록 장려하는 국가 및 지역 보조금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테슬라도 3분기에 역대 최고 판매를 기록했다. 중국은 9월에 신차 판매의 약 53%를 EV와 하이브리드 차량이 차지하는 등 신차중 EV 차량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말까지 400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는 BYD는 9월말 현재 목표치의 68%이상을 달성했으며 200만대 판매가 목표인 지리 자동차는 목표치의 74%를 팔아치웠다.중국의 컨설팅업체 오토포어사이트는 “중국 EV시장에서 더 이상의 가격전쟁은 없을 것”이라며 대부분의 신에너지 자동차 업체가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외국 제조업체는 내연기관 자동차를 중심으로 설정한 기본 판매량 유지를 위해 큰 할인에 나설 가능서도

  • 한국 자동차도 선방…4월 수출 사상 최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자동차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한 68억달러를 기록했다고 8일 발표했다. 월간 기준 사상 최대다. 종전 최대치인 지난해 11월 기록(65억3000만달러)을 5개월 만에 갈아치웠다. 올해 4월까지 누적 자동차 수출액(243억달러)도 역대 최고치였다. 전년 동기보다 4.7% 증가했다.산업부는 “현대차·기아의 친환경차와 한국GM의 트랙스를 비롯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북미 수출 확대 등에 따라 자동차 수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친환경차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4월 친환경차 수출은 22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6% 늘었다. 기존 최고 실적이던 지난해 3월 수치(22억7000만달러)를 13개월 만에 경신했다. 하이브리드카 수출이 10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했다.지난달 자동차 생산은 39만4000대로 작년 동월보다 3.5% 늘었다. 내수 판매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5% 감소한 14만1000대로 조사됐다. 국내에서도 하이브리드카 판매는 4만 대로 전년 동월보다 35% 증가했다.이슬기 기자

  • 전기차 주춤하자 달리는 하이브리드車 부품주

    전기차 주춤하자 달리는 하이브리드車 부품주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주력 차종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속속 도입하자 당분간 하이브리드카 부품주가 주목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카 부품주로 불리는 코리아에프티 주가는 이날 종가인 5700원 기준으로 작년 말 대비 57.4% 뛰었다.코리아에프티는 캐니스터를 생산한다. 캐니스터는 자동차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숯 성분의 활성탄으로 흡착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친환경 장치다. 국내에서 캐니스터를 만들 수 있는 제조사는 코리아에프티가 유일하다.황지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벤츠와 포드 등 주요 완성차 업체가 하이브리드카 생산 강화 계획을 밝히면서 코리아에프티 등 하이브리드카 부품주에 우호적인 시장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최근 제네시스뿐 아니라 팰리세이드, 스타리아, 셀토스 등 주력 차종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적용할 계획을 내놨다.하이브리드 차량용 모터를 생산하는 SNT모티브와 대원강업도 시장의 주목을 받는다. 대원강업은 아이오닉 7, 제네시스 전기차용 구동모터 코어 외에 팰리세이드급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하이브리드용 구동모터 코어를 수주했다.하이브리드카 부품주는 향후 전기차 부품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테마에 올라타 최근 강세를 보인 완성차 종목들보다 상승 여력이 높다는 점도 투자 매력으로 꼽힌다. 조희승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미 현대차그룹에 부품을 납품하거나 향후 하이브리드차 부품 수주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류은혁 기자

  • 월가 분석가 "내년 미국 시장, 하이브리드차량 주목 받아"

    월가 분석가 "내년 미국 시장, 하이브리드차량 주목 받아"

    CFRA 의 자동차 분석가인 가레트 넬슨은 19일(현지시간) 저녁에 2024년 자동차 시장에 대한 9가지 예측 목록을 발표했다. 일부는 도발적이지만 월가의 컨센서스와 비슷한 것들도 있다. 자동차와 관련 산업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참고로 볼만하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테슬라 차량의 등장이미 많이 예상되듯이 넬슨은 2024년중에 더 작고 저렴한 테슬라 모델이 공개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통해 올해 약 180만대 출하가 예상되는 테슬라는 내년에 210만대를 출하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테슬라가 목표로 하는 연평균 성장률 50%와는 거리가 있다. 배터리 전기차(BEV)의 판매 성장세는 부분적으로 제품 부족으로 둔화되고 있다.  BEV는 현재 미국 전체 고급 자동차 판매의 약 1/4을 차지한다.  2. 새해에는 하이브리드가 주목받아분석가는 2024년에 미국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저렴한 가격에 힘입어 인기가 급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이브리드는 올해 미국 자동차 판매의 약 8%를 차지하면서 1년전 5%에서 크게 늘어났다. 분석가는 가격이 가장 큰 이유라며 하이브리드 차량의 평균 가격이 42,400달러로, 전기차보다는 훨씬 싸고, 내연기관 차량의 평균가 44,800달러보다도 싸다는 점을 꼽았다.특히 2024년형 프리우스의 경우 2만8,000달러부터 시작한다고 덧붙였다. 3. 전기차와 내연기관 차량 가격 비슷해질 것 분석가는 전통적인 내연기관과 변속기는 여전히 전기 모터와 배터리보다 가격이 저렴하지만 최근 배터리 가격이 떨어지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음을 지적했다. 2022년에 평균 EV는 평균 내연기관 차량보다 약 30% 비쌌지만 최근에는 그 수치가 10% 차이로 좁혀졌다. 202

  • [마켓인사이트]이종철 센트랄모텍 대표 “친환경차량 부품으로 성장 기대”

    [마켓인사이트]이종철 센트랄모텍 대표 “친환경차량 부품으로 성장 기대”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차량의 경량화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부품을 통해 실적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달 2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는 자동차부품 제조사 센트랄모텍의 이종철 대표이사(사진)는 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볼스크류, 알루미늄 컨트롤 암 등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회사”라고 말했다.  1994년 설립된 센트랄모텍은 △자동차 구동, 변속기 등 정밀가공 부품 △알루미늄 단조 부품 △볼스크류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요 고객사로는 현대·기아자동차, 독일 BMW, 테슬라 등이 있다.   회사가 기대를 거는 분야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쓰이는 부품이다. 차량의 모터 회전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부품인 로터 샤프트(하이브리드 차량), 샤프트 로터(전기자동차)를 현대·기아자동차에 납품하고 있다. 차량 무게를 지탱하고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품인 알루미늄 컨트롤 암은 현대·기아자동차와 테슬라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GM과 BMW에도 공급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 수요가 늘어나면서, 차량을 가볍게 하는 알루미늄 부품 수요도 따라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국내 최초로 동력 전달장치인 볼스크류의 국산화에 성공했다”며 “수입 볼스크류보다 원가를 절감해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올해 상반기에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 1529억원에 영업이익 73억원, 순이익 40억원을 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3133억원에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