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몸값 1조' 폐기물 업체 EMK, 매물로 나왔다

    M&A

    '몸값 1조' 폐기물 업체 EMK, 매물로 나왔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IMM인베스트먼트가 국내 폐기물 처리업체 EMK(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 매각 작업에 돌입했다. EMK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에 11곳의 폐기물 소각, 매각 사업을 하는 업체다. 거래 금액은 1조원 안팎 수준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상된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IMM인베스트먼트는 최근 EMK 매각을 위해 크레디트스위스(CS)와 EY한영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했다. 매각 측은 조만간 티저레터 배포를 시작으로 공개 매각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EMK는 원래 2010년 JP모건에셋매니지먼트가 한국환경개발, EMK승경 등 전국의 폐기물 업체 6곳을 잇따라 사들인 뒤 세운 폐기물 소각 및 매립 업체다. 이후 2017년 IMM인베스트먼트가 인수하면서 주인이 바뀌었다. IMM인베는 인수 후 케이디환경, 탑에코 등 전국의 폐기물 업체를 추가로 인수하면서 규모를 키웠다.최근 전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투자 기조에 따라 폐기물 업체가 대표적인 투자처로 떠오르면서 EMK도 매각 과정에서 흥행이 예상된다. 특히 EMK는 폐기물 배출량이 많은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는 점이 인수 매력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경주산업단지 내 건설을 추진 중이던 매립장도 올해부터 새롭게 가동을 시작하게 되면 실적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EMK의 지난해 매출은 1286억원, 현금흐름창출력을 보여주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50억원을 기록했다.주요 인수 후보로는 폐기물 사업을 하는 대기업과 환경 부문 투자를 위주로 하는 PEF가 거론된다. SK에코플랜트, 에코비트(옛 TSK코퍼레이션), 국내 PEF인 E&F 프라이빗에쿼티(PE), 유진PE 등이 대표적이다.IMM인베는 인수 5년

  • [마켓인사이트] 코스닥 상장업체 코엔텍 매물로…국내외 사모펀드 등 인수 노릴 듯

    [마켓인사이트] 코스닥 상장업체 코엔텍 매물로…국내외 사모펀드 등 인수 노릴 듯

    ▶마켓인사이트 2월 11일 오후 4시15분코스닥시장에 상장해 있는 폐기물 처리업체 코엔텍이 매물로 나온다. 국내외 사모펀드(PEF)를 비롯해 환경 관련 사업 확장을 노리는 기업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호주계 PEF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운용(맥쿼리PE)은 JP모간을 자문사로 선정하고 코엔텍과 또 다른 비상장 폐기물업체인 새한환경을 묶어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다.매각 대상은 맥쿼리PE가 보유한 코엔텍 지분 59.29%와 새한환경 지분 100%다. 코엔텍은 200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720억원이다.매각 측은 이번주 중 잠재적 인수 후보를 대상으로 기업 소개가 담긴 투자안내서(티저레터)를 보낼 예정이다. 두 회사의 지난해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은 총 500억원 이상이다. 최근 환경 관련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두 회사를 합친 가격은 6000억~7000억원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국내 1위 소각업체이자 3위 매립업체인 코엔텍은 1993년 울산 상공인들이 공동으로 창업했다. 2008년 후성그룹을 거쳐 2017년 맥쿼리PE가 인수했다. 일일 처리 물량만 460t이 넘는다. 경쟁 업체들이 매립지 추가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달리 지난해 추가 매립장을 사들여 앞으로 10년 넘게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2002년부터는 소각 시 발생하는 증기를 인근 산업단지에 팔아 부가 수익도 거둬들이고 있다.맥쿼리PE에 인수된 2017년 이후 매출과 실적이 빠르게 늘고 있다. 2018년 매출은 642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2017년 인수 당시 170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은 2018년 62% 불어난 27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영업이익도 20% 이상 증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