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호주 연기금의 '변심'…美 대신 신흥국·대체자산 투자

    호주 연기금의 '변심'…美 대신 신흥국·대체자산 투자

    호주 대형 연기금들이 미국 주식 비중을 줄이고 중국 등 신흥시장으로 투자처를 다변화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주식의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대비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높아졌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으로 미국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는 판단에서다. 운용자산이 4조1000억호주달러(약 3600조원) 달하는 호주 연기금이 본격적으로 움직이면 미 증시에 적지 않은 영향이 있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호주 최대 연기금인 호주슈퍼는 최근 미국 주식 비중 확대 포지션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마크 딜레이니 호주슈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로 지정학적 환경이 2~3년 전보다 훨씬 더 불안정해졌다”며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성장 둔화를 야기해 미국 주식 매력도를 낮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콜로니얼퍼스트스테이트는 올해 하반기 포트폴리오를 중국 등 신흥국 중심으로 전환했다. 이 회사는 “미국 주식과 달리 중국 주식은 밸류에이션이 매우 낮고, 이미 많은 악재가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분석했다. 대니얼 파머 MLC CIO는 “미국 시장에 긍

  • 국민연금, 친환경 투자 차원 산림에 최초 투자

    국민연금, 친환경 투자 차원 산림에 최초 투자

    ≪이 기사는 02월18일(1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800조원에 달하는 국민 노후자금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이 산림지(Timberland)에 처음으로 투자했다.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글로벌 투자 트렌드를 감안해 대체투자 자산을 다변화한 것이다.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산림지 전문 운용사인 스태포드캐피탈의 아홉번째 팀버랜드 전문 펀드(Stafford International Timberland IX)에 1억 5000만 달러(약 1650억원)를 투자했다고 18일 밝혔다. 스태포드캐피탈은 지난해 여름 이 펀드를 약 5억 3000만 달러 규모로 1차 조성했다. 올해 4월까지 추가적으로 자금을 유치하고 있다. 팀버랜드 투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산림지의 취득, 목재 재배 및 벌목 등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추구한다. 산림 추가 조성과 친환경 자재인 목재 공급 증가 등으로 이산화탄소 저감에도 기여하는 측면이 있어 대체투자 분야에서 대표적인 친환경 투자 자산으로 꼽힌다.스태포드 캐피탈은 2000년에 설립된 팀버랜드 분야 전문 운용사로 런던 본사를 포함해 전세계 총 8개 사무소에 약 70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다. 팀버랜드 분야 운용 규모는 약 27억 달러로 미국, 호주 등 주요 산림 국가들에 투자를 진행한다.안효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CIO)은 “국민연금은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새로운 투자처 발굴에 노력해 왔다"며 "상당 기간 신중하게 검토해 온 팀버랜드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개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팀버랜드 투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국민연금의 투자 철학에 부합하면서도,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지속가능성 투자

  • 국민연금, 기금운용 평가서 1년만에 '양호'등급 회복

    국민연금, 기금운용 평가서 1년만에 '양호'등급 회복

    지난해 정부의 자산운용평가에서 사실상 최저 등급인 '보통'을 받으며 굴욕을 맛봤던 국민연금기금이 1년 만에 '양호' 등급으로 복귀했다. 지난해 11.31%로 준수한 수익률을 기록했고, 해외·대체투자 확대를 위해 과감히 조직을 개편하는 등 혁신 노력을 기울인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기획재정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기금평가 결과’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기금평가는 정부가 기금의 존치 여부와 운용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제도다. 올해는 민간 전문가 35명으로 구성된 평가단이 참여했다. 평가단은 올해 국민연금을 비롯해 총 45개 공공기금의 운용 적정성을 평가했다. 올해 2월 말 기준 737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은 지난해 ‘보통’ 등급에서 올해 ‘양호’ 등급으로 한 단계 등급이 상승했다. 국민연금은 국내 다른 기금과 달리 2017년부터 일본 연금적립금관리운용 독립행정법인(GPIF), 미국 캘리포니아주 공무원연금(CalPERS), 캐나다 공적연기금(CPPIB)등 국민연금기금과 규모와 성격이 비슷한 세계 5대 연기금과 비교해 운용 성과 및 적정성을 평가 받고 있다.국민연금이 이번에 받은 ‘양호’는 △탁월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아주 미흡 등 6개로 나뉘어지는 평가 등급 가운데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다른 기금과 별도로 평가되지만 매년 '미흡' 이하 등급을 받는 기금이 많아야 1곳 정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국민연금은 사실상 최저 등급을 받은 셈이다. 이번 등급 상승은 국민연금이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