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로 글로벌 자금 쏠림 가속…신흥국行 돈줄은 말랐다
최근 수년 동안 전 세계 투자금의 상당 부분이 미국으로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고금리 정책 기조와 적극적인 산업 지원, 중국 등 다른 신흥국에 대한 직접투자 비중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의 미공개 자료를 인용해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경을 넘어 이뤄진 투자의 3분의 1 가까이가 미국으로 흘러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팬데믹 이전까지 미국에 대한 투자 비중은 평균 18% 수준이었다.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 등 일부 국가의 탈달러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에도 투자금이 미국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을 통해 제공한 대규모 인센티브도 외국인직접투자(FDI) 증가에 기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 삼성전자를 꼽으며 “총 44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텍사스에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지어 64억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가 최대 1000억달러를 투입해 애리조나주 피닉스 등에 공장을 짓기로 했다.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도 한창이다. 독일 폭스바겐, 일본 도요타,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이 일제히 미국에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2022년부터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려 채권 등 금융 투자 자금도 미국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과거엔 중국에 빠르게 자본 투자가 이뤄졌지만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이후엔 투자금 유입이 크게 줄었다. 각국의 대외투자(크로스보더 투
-
포시마크 인수 때 달러차입 61%…빚 늘려 공격 M&A 나선 네이버
네이버가 북미 최대 개인간거래(C2C) 패션 플랫폼인 포시마크를 1조6700억원에 인수 완료했다.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이다. 네이버는 자체 보유현금을 비롯해 달러 차입을 통해 인수를 마무리지었다. 오랜 기간 무차입 경영을 이어왔던 네이버가 수년간의 적극적인 M&A로 재무 체질에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39%는 자체 조달, 61%는 달러 차입9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포시마크 주식취득 대가로 13억1000만달러(약 1조6700억원)를 지불했다. 포시마크 지분 전량의 가치(14억7000만달러)에서 포시마크 현금 사용액(1억6000만달러)을 제외한 금액이다. 네이버는 포시마크가 보유한 가용 현금 중 약 2100억원을 인수대금으로 활용했다. 미국 상법에 따라 인수대상 기업의 현금 또한 인수대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포시마크는 현금성자산으로 미지급금 약 1억달러를 제외한 4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지난해 10월 인수계약을 체결할 당시 예정됐던 16억달러(약 2조3400억원)와 비교하면 합병대가 부담은 큰 폭으로 줄었다. 자산총액 대비 취득가 역시 기존 6.96%에서 4.95%로 낮아졌다. 포시마크 기업가치는 12억달러, 주당 17.90달러 기준으로 변동이 없었지만 스톡옵션과 RSU(제한조건부주식) 등 주식보상이 거래 종결 단계에서 제외된 영향이다. 합병계약서에 따르면 이들은 보통주와 동일한 금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로 전환, 네이버가 포시마크 보유현금을 활용해 일시 지출했다.네이버는 13억달러 규모 인수금액 중 약 5억달러(약 6200억원)를 자체적으로 투입했다. 포시마크 현금 약 2100억원도 포함된 기준이다. 네이버 자체 현금은 4000억원 정도 쓴 셈이다. 작년 3분기말 별도 기
-
'3개국 크로스보더' 현대캐피탈, 獨 식스트리싱 인수전 막전막후
"크로스보더 딜은 원래 복잡하게 마련이지만, 이번 딜은 유난히 까다로운 점이 많았다. 프라이빗 딜 성격에 퍼블릭 딜 성격이 섞여 있고, 이해 관계자가 특히 많아서 거의 '종합선물세트' 같은 느낌이었다." 현대캐피탈 식스트리싱 인수 딜에 관여한 한 관계자가 밝힌 소회다. 현대캐피탈이 사들이기로 한 독일 리스회사 식스트 리싱에 대한 공개매수 절차를 앞두고 시장에서 해당 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딜에 처음 관심을 가졌던 것은 현대자동차그룹이었다. 1년여 전부터 모빌리티 사업의 연장선 상에서 유럽 4위, 독일 1위의 렌터카 회사 식스트(Sixt SE)의 자회사를 인수하면 여러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유로 검토를 시작했다. 1912년 독일 뮌헨 풀락에 설립된 식스트는 100년도 넘은 전통적인 회사다. 현재 회장으로 일하고 있는 에리히 식스트(74)는 1969년 아버지에게서 차량 200대를 보유한 회사를 받아 독일 최대 렌터카 회사로 키웠다. 그리고 이 회사는 에리히의 두 아들 알렉산더(39)와 콘스탄틴(36)을 중심으로 빠르게 27만대짜리 '차량공유회사'로 변신하고 있는 중이다. 식스트는 (곧 결별하긴 했지만) 2018년 BMW와 '드라이브나우'라는 카셰어링 회사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실험을 거치며 IT 회사로 성격을 바꿔가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모빌리티'의 측면에서 식스트와의 협력을 고려한 배경이다. 특히 식스트가 1988년 설립한 자회사 식스트리싱을 인수하기로 점찍은 것은 향후 유럽에서 현대·기아차 판매와 관련된 자동차 금융 영업을 하는 데 식스트 리싱이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