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대우건설, IMM인베스트먼트글로벌과 코파펀드 조성

    대우건설, IMM인베스트먼트글로벌과 코파펀드 조성

    대우건설이 IMM인베스트먼트 글로벌과 코퍼레이션파트너십펀드(코파펀드)를 조성해 신사업 발굴에 나선다.대우건설은 지난 25일 IMM인베스트먼트 글로벌과 함께 코퍼레이션파트너십펀드(코파펀드)를 조성했다고 28일 밝혔다.코파펀드는 국내기업의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이나 투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연기금 등이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해 협업하는 펀드다. 이 펀드로 재무적 투자자(FI)는 수익 안정성을 확보하고, 전략적 투자자(SI)는 핵심 자산을 확보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대우건설과 IMM인베스트먼트 글로벌은 각각 2억 달러씩 총 4억 달러 규모의 투자 자금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 자금은 베트남 등 해외에서 물류(콜드체인), ESG(친환경·사회·지배), 인프라 관련 유망 기업이나 우량 자산에 공동투자를 진행해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개척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베트남 내 물류(콜드체인) 사업을 신사업 중점 분야로 선정했다. 해당 지역의 부지개발, 시공 및 운영 등 산업 내 전체 벨류체인 역량을 확보해 신규 사업 분야로 적극 확장할 예정이다.대우건설 관계자는 "4차산업혁명, ESG경영, 탄소중립과 같은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맞춘 신사업, 신기술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며 "M&A 종결로 불확실성을 제거해 중흥그룹과 시너지를 바탕으로 코파펀드 등 새로운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대우건설은 1991년 베트남 하노이 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베트남 건설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해 지난 30여 년간 약 3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현재 하노이 구도심 북서쪽의 서호 지역에 여의도 면적 3분의 2 크기인 210만4281

  • 국민연금, 올해 PEF·VC 등 사모대체분야 총 1.85조원 출자

    국민연금이 사모펀드(PEF)와 벤처캐피탈(VC), 공동투자(Co-Investment) 펀드에 올해 1조3500억원을 출자한다. 최대 5000억원을 위탁 투자할 계획인 '코퍼레이트파트너십펀드(코파펀드)'를 포함하면 1조8500억원 규모다. 지난해 총 출자 규모(1조9500억원)에 비해선 다소 줄어들었다.26일 국민연금은 ‘2021년 국민연금기금 국내 사모투자 위탁운용사 선정계획’을 공고하고 위탁 운용사 선정 작업에 나섰다. 국민연금은 올해 PEF 분야에서 총 6000억원 이내로 4개사 이내의 위탁운용사를 선정한다. 펀드별 위탁 규모는 800억~2000억원 수준이다. 벤처펀드에는 총 1500억원 이내로 4개사를 선정하기로 했다. 펀드별 약 300억~600억원 가량의 출자가 이뤄진다.국민연금은 PEF와 VC의 경우 출자 약정금 총액의 40% 이하를 출자할 예정이다. 지난해 약정금의 최대 50%까지 출자가 가능했던 점 대비 소폭 축소됐다. 기존 국민연금 위탁운용사 가운데 펀드 약정 금액의 60% 이상 투자하지 못한 운용사는 참여가 제한된다. 국민연금이 펀드의 최대출자자로 참여하는 경우 최대출자자로서의 우대조치를 제안해야 한다.PEF의 경우 관리보수는 펀드 규모가 500억 이하일 경우 2%, 500억~1000억원 규모는 1.2%, 1000억~3000억원은 0.8%, 3000억원 초과시엔 0.6% 이하까지 제안할 수 있다. 공동투자펀드의 경우 투자잔액의 0.75% 이하를 관리보수로 받을 수 있다. 성과보수는 연간 내부수익률(IRR) 8%를 상회시 초과수익의 20%를 받거나 IRR 12% 상회할 경우 초과수익의 30%를 받는 방안 중 선택할 수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 대기업이 해외기업 인수합병(M&A) 혹은 투자에 나설 때 국민연금이 1대1 매칭으로 공동펀드를 결성해

  • SK그룹, 中 지리차와 공동투자펀드 조성 추진

    SK그룹, 中 지리차와 공동투자펀드 조성 추진

    ≪이 기사는 01월27일(17:5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그룹의 지주회사인 SK㈜가 중국 1위 완성차 업체 지리자동차와 손을 잡고 공동투자 펀드 조성에 나선다. 양 사는 수소·친환경 부문 투자 등 사업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26일 업계에 따르면, SK㈜는 중국 지리자동차와 수천억원 규모 공동 펀드 조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SK가 지리자동차와 협업해 현지에 기반한 수소, 친환경, 전기차 및 자율주행 부문 투자처 발굴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리자동차는 중국 내수부문 1위 전기차 판매 업체다. 현지 IT기업 바이두와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자율주행차 부문에서도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 관계자는 "중국 지리자동차와 공동 투자 펀드를 포함해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중"이라며 "투자처, 투자 규모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SK는 2019년 교직원공제회와 손잡고 총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 공동투자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해당 펀드를 통해 미국 셰일가스 업체 G&P(Gathering & Processing) 브라조스 미드스트림(Brazos Midstream), 중국 데이터센터사 친데이터 등에 투자를 집행했다. 이외에도 중국 힐하우스캐피탈과 1조원 규모 펀드를 조성해 현지 벤처 및 스타트업 발굴에 나섰고, 국민연금과도 1조원 규모 펀드를 조성해 베트남 빈·마산그룹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국내 기업 중 가장 활발하게 공동투자펀드를 활용하는 곳으로 자리잡았다.   SK는 최근 M&A와 투자를 담당해온 ‘투자 1센터, 2센터, 3센터, I Cube센터’를 각각 첨단소재, 그린(친환경), 바이오, 디지털 투자센터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