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美 중후장대株 귀환…이튼·캐터필러 질주

    美 중후장대株 귀환…이튼·캐터필러 질주

    미국 증시에서 전력·인프라·기계·건설 등 ‘중후장대(重厚長大)’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기대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다.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AI) 관련주가 올해 급등하면서 중후장대주와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격차가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적이 뒷받침하는 중후장대 주가에너지 설비 기업 이튼의 주가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0.16% 오른 314.31달러에 마감했다. 최근 1개월간 7.40% 뛰었다. 같은 기간 건설기계 제조업체 캐터필러와 전기장비 기업 트레인테크놀로지의 주가도 각각 11.08%, 5.52% 올랐다. 최근 AI 테마가 주춤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한 달간 3.38%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중후장대 관련주는 올해 AI를 앞세운 기술주가 증시를 뜨겁게 달구는 상황에서도 조용히 오름세를 이어왔다. 건설 중장비 종목으로 구성된 ‘글로벌X 슈퍼디비던드’(티커명 PAVE) 상장지수펀드(ETF)는 올 들어 주가가 13.78% 상승했다. 인프라 기업 중심의 ‘미국 산업르네상스(AIRR)’ ETF도 13.05% 올랐다. 올해 S&P500지수(8.81%)와 나스닥지수(9.51%) 상승률을 웃돌았다.중후장대 기업들의 안정적인 주가 상승은 실적이 뒷받침하고 있다. 이튼은 지난해 4분기 매출 59억6700만달러, 영업이익 10억7500만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각각 10.8%, 23.0% 늘어난 수치다. 캐터필러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32억26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다. 모빌리티 기업 파카하니핀은 지난해 호실적에 힘입어 배당금 규모를 11.8% 높였다. ○“11

  • 美 증시 쉬어가는 AI…꿋꿋한 '중후장대'

    美 증시 쉬어가는 AI…꿋꿋한 '중후장대'

    미국 증시에서 전력·기계업 등 '중후장대(重厚長大)' 기업 주가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반도체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 주가가 횡보하는 것과 비교된다. 시장에서는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예정돼 있는 만큼 중후장대 산업의 실적 개선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0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에너지 설비 기업 이튼의 주가는 0.16% 오른 314.31달러에 마감했다. 최근 1개월간 이 회사의 주가는 7.40% 상승했다. 같은 기간 건설기계 제조업체 캐터필러와 운송장비 기업 트레인 테크놀로지의 주가도 각각 11.08%, 5.52% 올랐다. 최근 AI 테마가 주춤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한 달 간 3.38%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이다. 중후장대란 '무겁고 두텁고 길고 크다’는 의미로, 기계·에너지·건설 같은 전통적인 대형 산업을 말한다. AI를 앞세운 기술주가 증시를 주도하는 상황에서도 조용히 오름세를 이어왔다. 건설 중장비 종목으로 구성된 '글로벌X 슈퍼디비던드(티커: PAVE)' 상장지수펀드(ETF)는 올 들어서만 주가가 13.78% 상승했다. 인프라 기업 중심의 '미국 산업르네상스(AIRR)' ETF도 13.05% 올랐다. 올해 S&P500지수(8.81%)와 나스닥지수(9.51%) 상승률을 웃돌았다. 중후장대 기업의 실적이 빠르게 성장하며 안정적인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에너지 설비 기업 이튼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 59억6700만달러, 영업이익은 10억7500만달러를 거뒀다. 1년 전보다 각각 10.8%, 23.0% 늘어난 수치다. 건설장비 업체 캐터필러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32억26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다. 모빌리티 기업 파카 하니핀은 지난해 호실적에 힘

  • 채굴장비 1위 캐터필러, 전쟁 수혜株로 우뚝

    채굴장비 1위 캐터필러, 전쟁 수혜株로 우뚝

    종이 여러 장을 철심으로 묶는 문구인 스테이플러를 흔히 호치키스라고 부른다. 제조사 이름이 상품의 대명사가 된 사례다. 전차, 불도저 등에 쓰이는 무한궤도 역시 원래 이름보다는 제조사명으로 불리는 경우가 잦다. 바로 100년 역사의 건설장비 제조사인 캐터필러(티커 CAT)다. 캐터필러는 트랙터로 시작해 현재는 건설·광산 장비와 가스 엔진, 공업용 가스터빈 등을 생산하고 있다. 채굴 장비 시장에서는 따라올 경쟁자가 없는 최강자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에서 일어난 전쟁의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다. ○건설·채굴 장비의 최강자 캐터필러는 1925년 홀트트랙터 회사와 CL베스트트랙터 회사가 합쳐져 설립됐다. 홀트트랙터 회사는 무한궤도 기술을 개발한 벤저민 홀트가 세웠다. 궤도 안에 바퀴를 넣어 바퀴가 진창 등에 빠지지 않고 궤도 위를 전진하도록 하는 기술을 무한궤도라고 한다. 무한궤도는 모양이 닮은 캐터필러(애벌레)로도 불린다. 홀트는 트랙터를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농부들을 보며 무한궤도 기술을 농기계에 적용했다. 홀트의 무한궤도 기술은 CL베스트트랙터가 지닌 가솔린·디젤 엔진 기술과 시너지를 냈다. 캐터필러는 두 차례 세계대전 때 군용 중장비를 지원했고, 전쟁이 끝나고는 전후 복구를 위한 건설 장비를 생산했다. 캐터필러는 탄탄한 기술력과 오랜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건설·채굴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선두를 지키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캐터필러는 건설장비 시장에서 251억달러(약 32조5000억원)의 매출을 거두며 시장 점유율 20.12%를 기록했다. 채굴 장비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더 압도적이다. 캐터필러는 지난해 채굴 장비 매출로 120억

  • 월가 애널들이 꼽은 장기투자 톱5株는

    월가 애널들이 꼽은 장기투자 톱5株는

    지난주 뉴욕증시가 모처럼 급반등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인플레이션 등의 요인으로 여전히 변동성은 해소되지 않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월가 톱 애널리스트들은 이런 시기일수록 장기적인 투자 안목이 필요하다며 유망 종목 5개를 추천했다.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투자 수익률 상위권에 속하는 월가 톱 애널리스트들은 오라클 테이크투인터렉티브 서비스나우 센티넬원 캐터필러 주가의 상승 여력이 크다고 분석했다.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의 목표 주가는 126달러로 제시됐다. 지난 18일 종가에서 약 54.3%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브라이언 화이트 모네스크레스피하트 애널리스트는 “오라클과 헬스케어 업체들 간 관계는 고무적인 요소”라며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사업에서도 강한 모멘텀이 존재한다”고 평가했다.게임사 징가 인수 발표 후 주가가 하락한 미국 게임업체 테이크투인터렉티브는 저평가됐다는 분석이다. 앤드루 우어크비츠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는 “게임 부문 예약 매출이 2025 회계연도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목표 주가는 231달러로 현 주가 대비 52.6% 상승 여력이 있다는 의견이다.미국 사무 자동화 1위 기업 서비스나우도 이름을 올렸다. 사무실 출근이 재개됐지만 디지털화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브라이언 슈워츠 오펜하이머 애널리스트는 서비스나우의 목표 주가를 660달러로 제시했다.사이버 보안업체 센티넬원도 포함됐다. 이 회사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이버 공격을 막는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알렉스 헨더슨 니덤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사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도…캐터필러, 2주간 16% 올라

    STOCK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도…캐터필러, 2주간 16% 올라

    세계 최대 건설·광산용 장비 생산업체 캐터필러(CAT)의 주가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캐터필러는 대표적인 경기민감주이면서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에 유리한 종목으로 분류되곤 한다. 하지만 최근엔 경기 둔화 속 물가가 치솟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어 캐터필러 주가 상승세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캐터필러는 이달 1일 이후 11일까지 15.84% 뛰었다. 올 들어 상승률은 2.31%다. 지난 1월 주가가 229달러까지 올랐다가 182달러까지 떨어지며 내리막길을 걷더니 이달 들어 다시 급등하고 있다.캐터필러는 불도저 등 건설장비부터 가스 엔진, 공업용 가스터빈 등을 생산하는 중장비 업체다. 광업과 에너지 부문 사업 비중이 높아 주식시장에서는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인플레이션 시기 유리한 투자 종목으로 여겨진다. 건설기계 업체인 만큼 경기 사이클에 민감해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는 등 경기 성장에 대한 기대가 커질 때 주가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최근엔 물가가 오르지만 경제 성장률은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물가 상승기 강세를 보이는 종목이지만 경기 침체 가능성 속에서도 주가가 오르는 것은 이례적이다.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가스·석탄 등의 수입 제재에 나서면서 캐터필러가 자원 다변화 및 리쇼어링(생산시설 국내 이전) 수혜주로 떠올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면서 미국 내 셰일오일 개발 움직임이 빨라질 것이고, 이를 위한 굴착기·

  • 과거 금리인상기 봤더니…역시나 은행株

    과거 금리인상기 봤더니…역시나 은행株

    미국 중앙은행(Fed)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을 예고한 가운데 지난 금리 인상기에 좋은 실적을 낸 가치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CNBC는 11일(현지시간)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2016년 금리 인상기에 좋은 실적을 낸 가치주 5개 종목을 소개했다. Fed는 2016년 12월 기준금리를 올린 후 2017년 세 차례, 2018년 네 차례 금리를 인상했다.2016년 12월 Fed가 금리를 올리기 전 3개월 동안의 다우 종목 주가를 분석한 결과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JP모간의 주가가 각각 42.8%, 27.4% 상승하면서 가장 수익률이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주는 금리 인상기에 대출 이익이 늘어 혜택을 받는 대표적인 가치주로 꼽힌다. 대형 은행으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ETF)인 인베스코KBW뱅크(KBWB)는 올 들어 8% 올랐다.실적 발표 시즌을 맞아 은행주가 주가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이란 관측이 많다. JP모간과 골드만삭스는 각각 14일, 18일에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이어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모건스탠리도 19일에 4분기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주요 은행 네 곳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낼 전망이다.그다음으로 산업재주의 주가 상승률이 높았다. 세계 1위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과 미국 중장비 업체 캐터필러는 이 기간 각각 주가가 21.7%, 19.7% 뛰었다. 산업재주는 경제 성장기에 주가가 오르는 경기 민감주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보다 높은 3.5%로 산업재주에 유리한 환경이다. 헬스케어업체 유나이티드헬스그룹도 같은 기간 주가가 19.9% 오르며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같은 기간 세일즈포

  • [단독] 현대重, 두산인프라코어 인수한다…우협 선정

    [단독] 현대重, 두산인프라코어 인수한다…우협 선정

    현대중공업그룹이 굴삭기 분야 선두업체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인수가 마무리 되면 현대중공업 계열 굴삭기회사인 현대건설기계는 두산인프라코어와 합쳐 국내 1위, 글로벌 5위 건설기계업체로 단숨에 도약한다.두산그룹 관계자들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10일 오전 현대중공업-KDB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낙점하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보고했다. 양 측은 약 2~3주간 추가 협상을 마친 뒤 연말 본계약을 체결해 거래 마무리절차에 나설 전망이다.거래에 밀접한 복수 관계자들에 따르면 거래 초기 현대중공업그룹과 경쟁사였던 유진기업은 각각 7000억원 초반대 금액을 적어낸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만 해도 오히려 유진 측 제시 가격이 소폭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그룹은 마지막까지 양측과 협상을 이어가며 매각 조건을 유리하게 끌어갔다. 결국 현대중공업 측이 가격을 올려 수정 제안을 제출했고, 유진 측은 초기 제안을 유지하면서 격차가 벌어졌다. 현대중공업 측은 제시 가격 뿐 아니라 자금조달 여력과 인수 후 시너지 등에서도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두산인프라코어는 상장사로 현재 시가총액이 1조7000억원 가량이다. 매각 대상인 두산인프라코어 지분(36.07%)의 시가가 약 6000억원이므로, 시장에서는 프리미엄을 고려해 약 8000억원~1조원에 이 회사가 팔릴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매각 가격이 얼마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7000억원 후반에서 8000억원 안팎 수준으로 추정된다. 인수절차가 마무리되면 현대중공업그룹은 단숨에 두산인프라코어의 인력과 연구개발(R&D)역량, 특허 및 글로벌 네트워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