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케인사이트] 앵커PE, 카카오M 2대 주주로…2098억 투자
▶마켓인사이트 3월 16일 오전 5시홍콩계 사모펀드(PEF) 앵커프라이빗에쿼티(PE)가 연예기획사 및 콘텐츠 제작사 카카오엠(카카오M)의 2대 주주가 됐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앵커PE는 카카오엠의 신주 12.9%를 2098억원에 인수하며 2대 주주에 올랐다. 최대주주인 카카오 지분율은 기존 89.8%에서 이번 앵커PE 투자 후 78.1%로 낮아졌다. 앵커PE는 카카오엠의 100% 지분가치를 1조6000억원 이상으로 평가하고 투자했다.카카오엠은 아이유 등 유명 연예인을 다수 보유한 연예기획사다. 지난해 초 CJ ENM 대표 출신인 김성수 대표를 선임한 뒤 드라마, 영화 등 영상 콘텐츠 제작을 확대하고 있다. 김 대표는 국내 최대 드라마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의 창립 멤버다.카카오엠은 지난해 초 BH엔터테인먼트(배우 이병헌, 김고은, 한효주 소속)를 500억원에 인수한 것을 포함해 다수의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불리고 있다. ‘신세계’ ‘아수라’를 제작한 사나이픽처스, ‘검사외전’을 제작한 월광 등 영화제작사들의 지분을 매입했으며 최근에는 뮤지컬, 콘서트 등을 제작하는 쇼노트를 인수했다. 지난해 말에는 MBC의 유명 예능 PD 등을 다수 영입했다.앵커PE의 투자금은 드라마, 영화 등 콘텐츠 제작을 비롯해 신규 사업 확장에 쓸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엠은 카카오페이지가 보유한 웹툰, 웹소설 등을 드라마 및 영화로 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이번 카카오엠의 투자 유치는 현재 진행 중인 카카오페이지의 기업공개(IPO)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앵커PE는 2016년 카카오페이지에 125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이번에 카카오엠 투자도 완료해 카카오와 전략적 동맹
-
대어급 IPO 후보 카카오페이지, 최종 선택은 유가증권시장
카카오의 웹콘텐츠 플랫폼 계열사인 카카오페이지가 기업공개(IPO) 행선지로 유가증권시장을 최종 낙점했다. 카카오페이지는 카카오 계열사 중에서 연내 상장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카카오 내부에서는 카카오페이지의 상장 시점을 최종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지는 코스닥시장이 아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기로 내부 방침을 확정지었다. 모회사인 카카오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데다, 카카오페이지의 예상 기업가치가 높아지면서 ’체급’상 유가증권시장에 적합하다는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페이지는 지난해 IPO 주관사를 선정하기 위해 배포한 입찰제안요청서(RFP)에 상장 예정 시장을 명기하진 않았다. 이에 증권사들도 코스닥시장 상장과 유가증권시장 상장의 각 장단점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콘텐츠 기업 상당수가 코스닥시장에 상장해 있는데다 앞서 IPO를 준비했던 카카오게임즈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카카오페이지가 코스닥시장을 선택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카카오 계열사 중 1호 상장이라는 상징성에다 예상 기업가치 역시 불어나면서, 최종적으로는 유가증권시장을 택하게 됐다는 평가다. 올해 들어 국내 증권사들이 제시한 카카오페이지의 예상 기업가치는 최소 1조원대 후반에서 최대 4조원대다. 카카오페이지가 지난해 올린 실적 및 올해 예상 실적에 따라 상장시 기업가치가 결정날 전망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의 유가증권시장 입성 시점을 논의중이다. 카카오페이지는 지난해 KB증권과 NH투자증권을 대
-
[마켓인사이트] 카카오페이지 등서 300억 유치…마이셀럽스 상장 추진
▶마켓인사이트 10월 22일 오전 4시6분인공지능(AI) 솔루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인 마이셀럽스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한다. 마이셀럽스는 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취향에 맞는 상품 등을 추천하는 검색 솔루션 개발업체다.글로벌 여행 플랫폼인 부킹닷컴, 한국 카카오페이지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 회사는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대거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융투자업계에서 유명해졌다.22일 마이셀럽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미래에셋대우를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이르면 내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마이셀럽스는 맥킨지앤드컴퍼니를 거쳐 한국 1호 최고디지털책임자(CDO)를 지낸 도준웅 전 CJ 부사장이 2014년 설립했다.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이용자 취향에 맞는 검색 결과를 찾아내 추천해주는 솔루션이 핵심기술이다. 100개가량의 관련 특허를 확보했다. 미국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자회사인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 1월 마이셀럽스의 기술을 바로 수익화가 가능한 AI 솔루션이라고 평가하며 한국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글로벌 베스트 케이스’로 선정했다.창립 후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카카오페이지, 열림파트너스 등으로부터 약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기관투자가뿐 아니라 대기업 CEO들이 개인적으로 투자해 관심을 모았다.회사의 주요 주주인 카카오페이지를 비롯해 부킹닷컴, 신세계면세점과 롯데멤버스 등에 솔루션을 공급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이용자의 성향을 정확히 파악해 여행, 쇼핑, 콘텐츠 등 상품이 실제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최근 공을 들이는 분야는 글로벌 O2O(온·오프라인
-
[마켓인사이트]카카오페이지,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IP 경쟁력 확보 포석
카카오 계열의 콘텐츠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페이지가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콘텐츠 등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한 투자 등에 쓰일 전망이다. 카카오페이지는 지난달 29일 이사회를 열고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4일 공시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진행되며 기존 주식 1주당 0.09주가 배정된다. 유상증자 발행가액은 한 주당 6만4061원으로, 이를 기준으로 한 카카오페이지의 기업가치(유상증자 후 기준)는 1조2435억원이 된다. 카카오페이지의 최대주주인 카카오 등 주요 주주들이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하게 된다.카카오페이지는 이번 유상증자의 목적을 타법인 증권 취득이라고 공시했다. 증권가에서는 카카오페이지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작업을 이어갈 거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과거 카카오페이지는 콘텐츠 확보를 위해 학산문화사, 대원씨아이 등에 지분 투자를 했고 인도네시아 콘텐츠 기업인 네오바자르를 인수하기도 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카카오페이지 IPO 주관사단과 킥오프… 상장 준비 본격화
카카오그룹의 콘텐츠 계열사인 카카오페이지가 기업공개(IPO) 주관사단들과 킥오프(kick-off) 미팅을 열었다. 13일 카카오페이지와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열린 킥오프 미팅에 회사와 IPO 대표주관사를 맡은 KB증권, NH투자증권이 참여했다. 이날 미팅에서는 IPO 주관 증권사들의 기업 실사 등 향후 일정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킥오프 미팅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추가로 인수 증권사를 선정해 IPO 주관사단을 확정지을 예정”이라며 “상장 행선지가 유가증권시장이 될지 코스닥시장이 될지 여부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전했다. 카카오페이지는 카카오그룹의 웹툰·웹소설 및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를 운영하는 회사다. ‘기다리면 무료’(일정 시간이 지나면 한 회차씩 무료로 볼 수 있지만, 더 빨리 보거나 결말 부분을 보려면 결제해야 하는 방식)라는 요금 부과 방식을 도입, 콘텐츠 소비의 유료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지의 기업가치가 조(兆) 단위일 것이라 보고 있다. 카카오페이지의 증시 입성 시기는 내년이 유력하다는 전망이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카뱅 파트너 한국투자證, 카카오페이지 IPO주관사단서 배제 ‘충격’
카카오 계열 콘텐츠 기업인 카카오페이지의 기업공개(IPO)를 맡을 주관사단에서 한국투자증권이 배제되면서 투자은행(IB)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모회사인 한국투자금융지주가 카카오뱅크(한국카카오은행)의 최대주주로 참여하는 등 특수관계를 맺고 있어, IB업계에서는 카카오그룹의 딜을 한국투자증권의 ‘텃밭’으로 여겨왔기 때문이다. 18일 IB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지는 지난 17일 주관사 선정을 위해 실시한 프레젠테이션(PT)에 참여한 증권사들에게 최종 선정 결과를 통보했다. 카카오페이지의 선택을 받은 증권사는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었다. 카카오페이지는 두 곳을 대표주관사로 낙점하고, 공동주관사는 따로 선정하지 않았다. IB업계에서는 한국투자증권이 카카오페이지 IPO에서 배제된 걸 ‘이변’으로 보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모회사인 한국투자금융지주와 카카오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카카오뱅크의 최대주주(보통주와 우선주 포함 지분율 50%)로, 그동안 카카오뱅크의 증자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카카오뱅크 성장에 큰 기여를 했다. 두 그룹의 긴밀한 관계는 그동안 여러 딜로 이어졌다. 일례로 지난해 코스닥 상장을 계획했다가 자진철회한 카카오게임즈의 IPO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 단독으로 맡았다. 이번 카카오페이지 IPO에서도 한국투자증권이 당연히 대표주관사 자격을 획득할 거란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증권가에서는 카카오게임즈의 IPO가 지난해 좌절하면서 단독 대표주관사였던 한국투자증권의 ‘책임론’이 일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도 일고 있다. 한 업계 관계
-
[마켓인사이트]카카오페이지 IPO 대표주관사로 NH·KB 선정
≪이 기사는 04월17일(16: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카카오의 콘텐츠 계열사인 카카오페이지가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로 NH투자증권과 KB증권을 낙점했다. 예상 기업가치가 조(兆) 단위로, 이르면 연내 상장이 가능한 대어급 IPO로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날 카카오페이지는 대표주관사 선정 결과를 각 증권사에 통보했다. 주관사 선정을 위한 프레젠테이션(PT)에 참여한 국내 주요 증권사 중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최종 선택을 받았다. IB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지의 기업가치가 조 단위일 것이라 보고 있다. 회사는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을 때 최소 기업가치를 1조5000억원으로 제시했다. 프레젠테이션에 참가한 증권사 중에서는 카카오페이지의 상장시 예상 기업가치를 4조원 수준까지 제시한 곳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웹툰·웹소설 등을 서비스하는 콘텐츠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콘텐츠 과금방식으로 ‘기다리면 무료’를 도입, 콘텐츠 유료화 성공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기다리면 무료’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한 편씩 무료로 볼 수 있지만, 더 빨리 열람하고 싶거나 완결 부분까지 보려면 요금을 내야 하는 구조다. 콘텐츠 유료화에 대한 거부감을 낮춘 방식으로 호평을 받았다. 카카오페이지의 실적이 급성장하고 있다는 점도 기대 요인이다. 카카오페이지는 지난해 매출 1876억원에 영업이익 126억원, 순손실 42억원을 냈다. 지난해 타 기업의 보유지분 가치와 관련한 지분법손실이 발생하면서 순적자
-
[마켓인사이트] '콘텐츠 대어' 카카오페이지 상장 나선다
▶마켓인사이트 3월 7일 오후 3시26분국내 1위 웹툰·웹소설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페이지가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지의 상장 후 기업가치가 1조5000억원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7일 IB업계 등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지는 전날 국내 주요 증권사들에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이달 말 프레젠테이션을 거쳐 이르면 다음달 중 주관사 선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다.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중 어디를 택할지는 미정이다. 상장 시점도 결정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올해 말에서 내년에 상장을 마칠 가능성도 있다. 성사된다면 2017년 11월 코스닥에 입성한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에 이은 콘텐츠 기업의 대어급 IPO가 될 전망이다.카카오페이지는 웹툰과 웹소설 유통 플랫폼 유료화에 성공하면서 국내 1위 업체가 됐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한 편씩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기다리면 무료’라는 요금 부과 방식은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빨리 보고 싶은 이용자만 요금을 내면 돼 콘텐츠 유료화에 대한 거부감을 낮췄다.카카오페이지에서 인기를 모은 웹소설 ‘김 비서가 왜 그럴까’는 웹툰과 드라마로 제작돼 인기를 끌었다. 2015년 매출 301억원에 영업손실 6억원을 낸 카카오페이지는 2016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1876억원 매출에 126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카카오페이지가 목표로 하는 기업가치는 최소 1조5000억원으로, 내심 2조원대까지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결국 올해 이익이 관건이라는 평가다.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지난해 올린 이익에 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