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통화가치 초약세에 '위안 캐리 트레이드' 뜬다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수십 년 동안 지속돼온 ‘엔 캐리 트레이드’ 선호가 ‘위안 캐리 트레이드’로 옮겨가고 있다. 중국 위안화 가치가 1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서다.블룸버그통신은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인베스코, TD증권 등 미국 금융사들이 캐리 트레이드의 수단으로 일본 엔화 대신 위안화를 추천하고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 국가의 통화를 빌려 고금리 국가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초저금리를 유지해온 일본에서 엔화를 빌려 투자하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대표적이다.월가 은행들이 최근 위안 캐리 트레이드에 주목하는 이유는 엔화보다 위안화를 더 싸게 빌릴 수 있어서다. 최근 위안화 가치는 달러당 약 7.3위안으로, 2007년 12월 이후 최저치다. 달러화 가치 상승과 위안화 가치 하락이 맞물린 결과다.최근 부동산 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와 디플레이션(장기간 물가 하락) 우려가 제기된 데다 중국 인민은행이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연 1.8%로 내리면서 위안화가 매력적인 캐리 트레이드 대상으로 급부상했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선 인민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 조치를 단행할 가능성이 커 위안화 약세가 당분간 지속되고 차입비용도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월가에서는 위안화를 빌려 인도와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 통화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 남미 브라질의 기준금리는 연 13.25%다.위안 캐리 트레이드의 부상을 두고 동북아시아 두 거대 경제국의 운명이 교차하는 순간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일본에선 7년째 지속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종료될 거란 전망이 제기되며 엔화 가치
-
막 내리는 초저금리…'돈줄 죄기' 시작됐다
한국은행이 26일 연 0.5%인 기준금리를 연 0.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 15개월 만이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더 높일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로써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시도됐던 사상 초유의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한은은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가 꺾이지 않을 것이란 예측에 따라 기준금리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델타 변이의 여파를 검토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4.0%를 그대로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1.8%에서 2.1%로 상향 조정했다.한은은 오히려 가계부채가 1800조원을 넘어서고 집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에 주목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증가세와 주택가격 오름세를 꺾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을 통해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할 계획임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번 인상에도 기준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금융 불균형 완화를 위해 (금리 인상의) 첫발을 뗀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선 한은이 내년 1분기까지 연 1~1.25%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더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논평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매출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가 인상돼 중소기업이 유동성 위기로 쓰러지고 은행도 동반 부실화할 수 있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3조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만약 연내 한 차례 더 오
-
식지 않는 리츠 상장 열기…올해도 대형 리츠 줄잇는다
지난해 하반기 뜨겁게 달궈진 리츠 상장 열기가 올해에도 이어진다. 공모 규모 1000억원 이상인 대형 리츠가 잇달아 국내 증시에 입성할 예정이다. 비교적 높은 수익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다는 리츠의 매력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에도 상장 리츠 투자열기가 지속될 전망이다.◆리츠 최대어 출격 준비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제이알투자운용은 최근 국토교통부에 벨기에 최대 오피스빌딩인 파이낸스타워에 간접투자하는 리츠 설립‧운용을 위한 영업 인가신청을 냈다. 파이낸스타워는 벨기에 수도인 브뤼셀 중심가에 있는 36층 규모의 오피스빌딩으로 연면적이 22만㎡에 달한다. 벨기에 중앙정부가 15년간 임차 계약을 맺고 입주해 있다. 이 운용사는 이달 안에 국토부의 인가를 받아 상장 주관사 선정 등 본격적인 공모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목표 공모 규모는 3000억~4000억원으로 올해 상장 예정인 리츠 중 최대어로 꼽힌다. 예상 배당수익률은 8%대다.제이알투자운용은 모자(母子) 리츠 구조를 통해 파이낸스타워를 인수할 계획이다. 일단 지난달 18일 국토부의 설립 인가를 받아 자리츠를 만들어 14억유로(약 1조8200억원)에 파이낸스타워를 사들이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인가 신청을 낸 모리츠가 자리츠를 통해 해당 건물을 거느릴 예정이다. 먼저 핵심투자자인 메리츠금융그룹이 자리츠를 활용해 현지 선순위 대출로 1조원,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 IPO)로 3000억~4000억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그 다음 모리츠 상장을 통해 추가로 투자금을 끌어와 메리츠금융그룹의 지분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해당 리츠 외에도 여러 대형 리츠가 올해 줄줄이 국내 증시에 등장할 전망이다
-
[마켓인사이트][딜파일-롯데리츠]①사상 최대 공모리츠 증시 입성…리츠 큰 장 포문 연다
≪이 기사는 09월17일(09: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최대 공모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인 롯데리츠가 본격적인 상장절차에 돌입했다. 신한알파리츠 이후 1년여 만에 등장한 공모리츠다. 장기 임차계약을 맺은 롯데그룹 주요 유통매장 임대료를 바탕으로 연 6%대 수익률을 제공한다는 점이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 전망이다. 리츠가 초저금리 시대의 투자대안으로 각광받는 가운데 정부까지 부동산 간접투자시장 확대에 팔을 걷으면서 흥행 기대감이 무르익고 있다는 평가다. ◆커피 한잔 값으로 연 6%대 수익롯데리츠는 오는 18일부터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보름간 기업설명회(IR)를 연다. 이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23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회사의 희망 공모가격은 한 주당 4750~5000원이다. 공모물량은 8598만4442주로 롯데쇼핑이 보유한 롯데리츠 지분(100%)의 절반이다. 다음달 15일 롯데리츠 상장이 마무리되면 롯데쇼핑은 최대 4299억원의 현금을 확보할 전망이다. 롯데리츠(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롯데그룹의 주요 유통매장에서 거두는 임대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롯데백화점 강남점, 롯데아울렛 대구율하점, 롯데마트 의왕점 등 10개 점포가 리츠의 기초자산이다. 예상 배당수익률은 연 6.3~6.6%다. 매장별 임차 계약기간이 9~11년이기 때문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현금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평가다. 최근 리츠가 초저금리 시대의 대안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적잖은 투자자들이 롯데리츠에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금리가 1년 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