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게임 시장 또 문 열었다…엔씨·시프트업 레벨업 하나
엔씨소프트의 ‘효자 게임’이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인 중국 시장이 다시 열리면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27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25일 외국산 게임 15종에 외자 판호를 발급했다. 한국 게임으로는 엔씨소프트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리니지2M’과 시프트업의 3인칭 슈팅(TPS)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니케)’가 허가받았다. 외자 판호는 해외 게임이 중국에서 정식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허가증이다. 두 게임은 이번 결정으로 중국 시장에 정식 출시될 수 있게 됐다.두 게임은 현재 각사의 핵심 매출원이다. 니케는 올 2분기 시프트업 매출의 60%를 차지했다. 리니지2M은 엔씨소프트 모바일 게임 매출의 20%에 달한다. 이번 판호 발급으로 중국 시장에서 양사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이유다.한국 게임의 외자 판호 발급은 올해 들어 세 번째다. 지난 2월에는 넥슨, 넷마블, 네오위즈 등이 게임 4종의 판호를 받았다. 6월에는 펄어비스의 ‘검은사막’ PC 버전이 중국 내 서비스 허가를 받았다. 앞서 중국 정부는 ‘한한령’으로 5년 동안 막혀 있던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 발급을 2022년 말 재개했다.최근 중국 시장에서는 국내 게임의 성과가 나오고 있다. 5월 중국에서 정식 출시한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은 출시 첫 주에 2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2분기 중국 시장 매출은 563억엔(약 5067억원)으로 1년 전(182억엔)보다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22일 중국 시장에 출시된 펄어비스의 검은사막은 현재 중국 텐센트의 게임 플랫폼 ‘위게임’의 인기 순위에서 5위를 기록하고 있다. MMORPG 장르로는
-
서구기업들 탈중국…인도·베트남·멕시코 몰려가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개발도상국 시장으로 투자를 옮기고 있다. 중국에서 탈출한 자본은 대부분 인도로 들어가고 있으며 멕시코, 베트남, 말레이시아가 그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13일(현지시간) 로이터가 보도한 민간 연구기관인 로듐그룹의 보고서에 나타난 것이다. 보고서는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중국이 글로벌 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중국으로부터 등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 경제 회복 및 정치 상황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인도에 대한 미국과 유럽 기업의 투자는 2022년말 기준 전년대비 약 650억 달러(400%) 증가한 반면, 중국에 대한 투자는 2018년 최고치인 1,200억 달러에서 지난해 200억 달러 미만으로 감소했다. 연구 기관은 "투자 다각화가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이기 때문에 "선진 경제가 '위험 제거' 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데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과 유럽 기업들은 1980년대 후반에 낮은 생산 비용과 대규모 중산층 성장에 대한 전망으로 중국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제는 소비자들이 지출 여력이 줄고, 생산원가도 오르는 가운데 미중간 지정학적 갈등으로 투자 대상 지역으로서의 매력을 잃고 있다. 보고서는 서방 기업들이 조립품과 반도체 등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상품 소싱에 대한 완충 옵션을 확보하는데 대한 관심이 높다고 밝혔다. 또 장기적으로 중국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 베트남 멕시코
-
"중국은 너무 위험"…'늦기 전에' 손 떼는 전세계 큰손들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본이 잇따라 중국을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의 독단적인 행정과 러시아와의 밀월관계 등 중국 시장과 결부된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이 미국 사모펀드로부터 조달한 투자액은 지난 1~3월 14억 달러(약 1조 7200억원)에 그쳤다.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실적이다. 중국 주식을 비롯해 채권, 뮤추얼 펀드 등 금융 시장 전반에서 자본 유출이 가속화됐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총자산 규모가 1조 3000억 달러(약 1603조원)에 달하는 노르웨이의 국부펀드는 중국의 인권 유린 문제 때문에 중국 스포츠 브랜드 투자를 취소했다. 370억달러(약 45조원) 운용하는 영국 투자회사 아르테미스 자산운용도 중국 최대 자동차 공유업체인 디디추싱과 알리바바의 앤트파이낸셜 지분을 전부 매각했다. 중국 정부가 앤트 그룹과 디디 그룹에 지나치게 개입해 주주 이익을 침해한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사이먼 에델스텐 아르테미스자산운용 매니저는 “중국 정부가 홍콩에 관한 발언 수위를 높이거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하는 것도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중국 대외 변수도 투자자들에게 골칫거리였다.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됐다. 서방국가의 러시아 제재가 중국과 결부될 수 있어서다.내부적으론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를 내세워 봉쇄 조치를 취하는 등 무리하게 방역 정책을 밀어붙였다. 경기 침체가 우려될 정도로 생산망이 마비됐다. 에델스텐 매니저는 “중국이 러시아 편을 들게 되면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
-
[마켓인사이트]LB인베, 4년 연속 중국 내 톱 50 외국계 VC 선정
≪이 기사는 07월09일(17:3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B인베스트먼트가 중국 유력 벤처전문 미디어인 ‘차이나 벤처’가 최근 발표한 중국 내 외국계 벤처캐피탈(VC) 순위에서 39위에 올랐다. 4년 연속 50위권 내에 포함된 VC는 국내에선 LB가 유일하다. LB는 성공적인 중국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올 하반기 동남아 등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LB인베스트먼트는 2007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뒤 12년간 24개 기업에 1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이 중 7개 기업은 매각, 상장(IPO) 등을 통해 회수를 마쳤다. 중국 소프트웨어 업체 유유춘(UUCUN)과 온라인비디오업체 피피스트림(PPStream)을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바이두에, 식스룸즈(6Rooms)를 중국 상장기업인 송성연예에 매각한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2015년 투자했던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탄탄(TanTan)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1위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업체 모모(MoMo)에 매각했다. 두 차례 투자를 통해 3년 만에 3.5배 수익을 거뒀다. 올해 들어선 공유경제, 디지털 헬스케어, 하이테크 분야 스타트업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관련 분야 투자액은 1100만 달러에 달한다. 투자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