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페이로 MZ 잡자"…정태영 승부수 통했다
1년 전만 해도 세계 70여 개국에서 쓰이는 애플페이가 한국에 도입될 것이란 전망은 많지 않았다. 애플페이 결제에 필요한 근접무선통신(NFC) 단말기 인프라가 국내에 갖춰지지 않은 데다 애플에 지급하는 수수료 부담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여파로 결제 부문에서 이익률을 높이지 못하는 국내 카드사로선 애플페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유인이 없었다.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사진)의 생각은 달랐다. 현대카드가 ‘금융 테크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애플과 선제적인 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정 부회장의 의지에 따라 현대카드는 이미 6년 전부터 애플페이 결제 방식이자 세계에서 보편화한 비접촉 NFC 결제 기능을 발급하는 모든 신용카드에 적용하고 있었다.현대카드가 애플페이를 도입하고 한 달이 지나면서 정 부회장의 ‘승부수’가 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4일 현대카드에 따르면 애플페이 출시 이후 한 달간 신규 발급한 카드는 35만5000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회원 중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7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20대가 51%, 30대는 28%, 40대는 12%였다. 카드사 간 마케팅 경쟁이 제한돼 신규 회원 유치가 정체하는 업계 상황에서 고무적이라는 평가다.현대카드 고객이 지난달 말까지 애플페이로 결제한 건수는 930만 건에 달했다. 애플페이 전체 결제 금액 중 9%는 해외 결제액이다. 일반 카드 결제 금액의 해외 결제 비중이 2% 수준인 것에 비해 4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애플페이에 신용카드를 등록할 때 카드 정보를 암호화해 발행하는 번호인 ‘토큰’은 현재까지 200만 건을 넘어섰다. 정
-
'연봉 100억' 현대家 사위'...종로학원 놓고 '진흙탕 싸움'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종로학원은 1965년 출범한 민간 학원의 원조다. 고 정경진 종로학원 회장이 세운 이 학원 출신으로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 정재계 주요 인사들이 포진해 있다. 정 회장은 2005년 보유한 종로학원 지분을 모두 장남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에게 넘긴다. 정 회장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의 둘째 사위다. 그는 종로학원 운영을 뒤로 미룬 채 2003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현대카드 경영 등에 전념했다. 하지만 최근 이 종로학원의 후신인 서울PMC를 놓고 여동생 등과 분쟁을 벌이고 있다. 재벌가의 유산을 놓고 분쟁을 벌이는 양상이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과 비슷하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서울PMC 대치동 건물, 광평대군 종친회에 매각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정태영 부회장과 그의 장녀인 정유미 씨는 윤모 씨에게서 서울PMC 지분 8.89%를 43억20만원에 매입했다. 이번 매입으로 정태영 부회장은 이번 서울PMC 지분이 73.31%에서 82.19%로 늘었고 정 씨는 이번에 처음 서울PMC 지분 0.02%를 확보하게 된다.서울 PMC의 나머지 지분 17.79%는 정 부회장의 여동생 정은미 씨가 쥐고 있다. 이번 거래 과정에서 서울PMC 주식 가격은 주당 5만2000원으로 설정됐다. 이 가격에 경영권 프리미엄(20~30%)을 반영한 서울PMC 기업가치는 720억~780억원으로 추산된다.서울PMC는 2014년 종로학원 사업 부문을 하늘교육에 245억원을 받고 매각했다. 학원 사업을 접는 동시에 보유한 종로학원 건물도 줄줄이 처분했다. 2019년 서울 중림동 염천교 사거리에 있는 종로학원 강북 본원 건물을 미래토건에 540억원에 매각했다. 종로학원 강북 본원 건물터를 밀고 현재 지하 7층·지상 22층 규모의 오피스텔 ‘쌍용 더 플래티
-
"정태영, 종로학원 장부 공개하라"…원심깨고 여동생 손 들어준 大法
회사 경영진의 법령·정관 위반이 의심된다며 회계장부 등의 열람·등사를 청구할 경우, 경위와 목적이 구체적으로 기재됐다면 열람·등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대법원 3부(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여동생 정은미 씨가 서울피엠씨(옛 종로학원)를 상대로 낸 회계장부 열람·등사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고 31일 밝혔다.서울피엠씨 2대 주주(지분율 17.38%)인 정씨는 대주주이자 사내이사인 정태영 부회장 등 경영진의 부적절한 자금 집행이나 법령·정관 위반 여부를 파악하고 책임을 추궁하겠다며 회계장부의 열람·등사를 요구했다. 정 부회장은 이에 응하지 않았고, 여동생인 정씨는 열람·등사 청구 소송에 나섰다.1심과 2심은 정씨의 청구를 기각하고 서울피엠씨의 손을 들어줬다. 소수 주주의 회계장부 열람·등사 청구 이유는 그 주장이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합리적 의심이 들 정도로 기재돼야 한다는 취지였다. 정씨가 적은 청구 이유는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판단이었다.그러나 대법원은 2심 재판이 잘못됐다는 판단을 내놨다. 대법원은 “주주인 원고는 열람·등사 청구에 이르게 된 경위와 목적 등을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며 “경영진의 위반행위가 존재할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원심 판결은 상법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재판부는 “열람·등사 청구 이유가 타당한지 입증할 책임은 회사에 있다”고 밝혔다.회사 업무에 관한 적절한 정보가 없
-
현대카드, '연내 IPO' 불발될 듯.. "내년 이후 상황 보겠다"
현대카드의 기업공개(IPO)가 연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SK바이오팜과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과 더불어 'IPO 대어'로 꼽혔으나 낮은 금융주 밸류에이션에 발목이 잡혔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 및 현대카드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은 조만간 IPO 일정을 늦추는 내용을 논의할 예정이다. 현대카드의 최대주주는 현대자동차와 현대커머셜, 기아자동차 등이다. 또 2017년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싱가포르투자청(GIC) 등이 주주로 들어왔다. 현대카드는 당초 FI들과 2021년까지 IPO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작년 11월 NH투자증권과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을 상장을 위한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관련 주가가 계속 부진하자 IPO 시기를 미루는 게 좋겠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한 FI 측 관계자는 "2021년까지 IPO를 약속한 것이기 때문에 시간 여유가 있다"며 "지난해 실적이 좋아서 올해 IPO를 추진한 것이지만 양쪽이 협의하기에 따라 내년으로 혹은 그 후로도 미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 연기 여부가 확정된 것은 아니고 현대카드 측과 협의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카드 주주는 현대자동차그룹(총 72.98%)이다. 현대자동차(36.96%), 기아자동차(11.48%), 현대커머셜(24.54%) 등이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FI들의 지분율은 모두 24%다. 어피너티(Consumer Preferred Choice, 9.99%), GIC(Complete Logistic Solutions, 9.00%), 알프인베스트(5.01%) 등이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카드와 같은 업종인 삼성카드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현재 0.44배에 불과하다. 작년에는 PBR이 0.60 수준이었던
-
[마켓인사이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종로기숙학원 건물도 판다
▶마켓인사이트 8월29일 오전 3시22분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빌딩 임대업체 서울PMC가 경기 용인에 있는 종로기숙학원 건물(사진)을 매각한다. 서울 중림동 종로학원 강북본원 건물과 대치동 이강학원 빌딩도 처분하는 등 부동산 자산을 정리하고 있다.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서울PMC는 지난 28일 이사회를 열고 용인시 처인구에 자리잡은 종로기숙학원을 매각하기로 했다. 서울PMC는 빌딩 임대업체로 정 부회장이 지분 73.04%, 동생 정은미 씨가 지분 17.73%를 보유하고 있다.종로기숙학원은 물론 일대 토지도 묶어서 처분한다. 서울PMC 관계자는 “차입금을 갚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시장 가격에 건물을 처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매물로 내놓은 용인종로학원 부동산 규모는 토지 1만753㎡, 건물 연면적 6267㎡다. 영동고속도로와 맞닿아 있고 골프장인 아시아나컨트리클럽과도 가깝다. 국토교통부는 2018년 용인종로학원 부지의 개별 공시지가를 ㎡당 31만~36만7600원으로 측정했다. 서울PMC는 종로기숙학원과 1~2년 단위로 건물 임대계약을 맺고 있다. 연간 임대료는 9억원가량이다.서울PMC는 지난달 1일 대치동 사거리에 자리잡은 이강학원 대치프리미엄관 빌딩을 전주 이씨 분파인 광평대군 파종회(종친회)에 167억원을 받고 팔았다. 중림동 종로학원 강북본원 건물도 매각을 타진 중이다. 이 회사는 2014년 종로학원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해 하늘교육에 245억원에 매각하고, 강북본원 등 종로학원 건물은 매각하지 않고 임대사업을 해왔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대치동·중림동 학원 건물 매각 나선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마켓인사이트 7월17일 오후 3시35분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개인 회사인 서울PMC가 서울 중림동 종로학원(사진) 강북본원 건물과 서울 대치동 이강학원 빌딩을 잇따라 매각한다. 대기업 총수 일가에서 소유한 비주력 계열사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규제가 강화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서울PMC는 다음달 1일 이강학원 대치프리미엄관 빌딩을 전주이씨의 분파인 광평대군 파종회(종친회)에 167억원을 받고 매각할 예정이다. 이 건물 연면적은 3097㎡ 규모로, ‘학원가 1번지’로 통하는 대치 사거리 인근에 있다. 광평대군 종친회는 전주이씨 122개 분파 가운데 가장 번성한 분파로, 종친회 자금을 운용하는 차원에서 건물을 사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서울PMC는 최근 이사회를 열어 종로학원 강북본원 건물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매각 시점과 매각자, 매각금액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중림동 건물은 염천교 사거리 인근에 있으며 연면적은 8978㎡에 이른다.올 들어 서울PMC는 보유 건물을 줄줄이 정리하고 있다. 지난 1월 서울 양평동 빌딩을 신일산업에 66억원에 매각한 데 이어 이강학원과 종로학원 강북본원 건물까지 처분키로 한 것이다. 이 건물을 매각하면 서울PMC는 종로학원 대치동 강남본원 건물만 보유하게 된다. 회사 측은 “차입금을 상환하고 신규 사업을 추진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건물을 정리했다”고 설명했다.서울PMC의 자산 매각과 관련해 공정위의 최근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최근 대기업 총수 일가에게 본업과 동떨어진 임대사업 등을 하는 비주력 계열사를 매각할 것을 권고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