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김병주 올해도 파워맨 등극…젋은 IB뱅커 '빅딜 해결사' 부상[마켓인사이트 출범 13주년]

    김병주 올해도 파워맨 등극…젋은 IB뱅커 '빅딜 해결사' 부상[마켓인사이트 출범 13주년]

    동북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인 MBK파트너스를 이끄는 김병주 회장과 UBS증권 이경인 부회장(대표)이 한국 자본시장의 최고 ‘파워맨’으로 공동 선정됐다. 김 회장은 지난해 '거버넌스 개선'을 내걸고 고려아연의 경영권 확보에 나서면서 국내 자본시장에 또한번 이정표를 남겼다.연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으로 시작된 구조조정에서 SK그룹의 리밸런싱, 롯데케미칼의 위기에서 촉발된 롯데그룹의 비주력자산 매각에 이르기까지 기업들의 생존을 위한 사업재편을 두루 도운 이경인 UBS 부회장도 김 회장과 함께 영향력 있는 인물 공동 선두에 올랐다.  '고려아연 분쟁' 꺼낸 김병주, 영향력 1위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가 19일 국내외 증권사와 연기금, 사모펀드(PEF) 운용사 대표급 56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김병주 회장과 이경인 대표는 응답자(44명) 가운데 9명(20.5%)의 득표를 각각 얻었다.김 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2년 연속으로 국내 자본시장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히면서 건재함을 드러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해 9월 시작한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을 시작으로 '거버넌스 개선'을 내건 새로운 PEF 투자 철학을 제시하면서 자본시장에 충격을 줬다. 그는 지난해 11월 MBK파트너스의 연차총회에서 "한국과 일본 PEF 시장에선 기업 지배구조개선이 티핑 포인트 중에 하나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이경인 부회장이 이끄는 UBS는 지난해 해당 그룹들이 단행한 대다수 '빅딜'에 주관사를 맡으며 투자은행(IB) 중 가장 두각을 드러냈다. 지난해 인수합병

  • 이베이 코리아, 누가 인수 의지 가장 높을까...자문사 면면 보니

    이베이 코리아, 누가 인수 의지 가장 높을까...자문사 면면 보니

    ≪이 기사는 04월13일(07: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이베이코리아 숏리스트로 선발된 신세계(이마트), 롯데(롯데쇼핑), SK(SK텔레콤), MBK파트너스가 각각 자문사를 뽑아 데이터룸 실사에 들어갔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매각주관사로 공동 선발되면서 나머지 투자은행(IB)들과의 '짝짓기'가 뒤따랐다.  IB 업계에 따르면 가장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은 이마트를 내세운 신세계그룹이다. JP모간을 처음부터 인수 자문사로 선임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다른 곳보다 다소 높은 수수료를 주고라도 이곳을 자문사로 골랐다는 것도 눈에 띄지만, 다른 인수후보들이 아직 자문사를 고르지 못하고 주저할 때 처음부터 JP모간을 쓰기로 한 것 자체가 눈에 띄는 결정이었다. 상대적으로 다른 후보들은 그만큼 이 딜에 자신감이 없거나 인수 의지가 약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JP모간에서 이 딜을 맡고 있는 김영기 JP모간 전무는 국내에서 손꼽는 IB '믿을맨'이다. 2019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의 온라인 쇼핑 사업부를 분할 합병하고,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블루런벤처스 등에서 1조원 투자를 받아 쓱닷컴을 탄생시킨 주역이다. 신세계그룹과의 관계가 깊다.  신세계와 맞선 전략적 투자자(SI)인 롯데쇼핑은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BOA)를 선택했다. BOA는 최근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의 자금유치 등 다양한 딜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박승구 대표가 물러나고 조찬희 전무가 IB 대표로 임명됐다. 국내 글로벌 IB 하우스 가운데 최연소(1977년생)인 조 신임대표가 과거 SK플래닛 시절 11번가 투자유치 등 관련 업무 경험이 풍부하

  • [마켓인사이트 3분기 리그테이블-재무자문]돌아온 '자문왕' CS, 시장 휩쓸며 1위

    [마켓인사이트 3분기 리그테이블-재무자문]돌아온 '자문왕' CS, 시장 휩쓸며 1위

    유럽계 투자은행(IB)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2020년 1~3분기 재무자문 분야 1위에 등극했다. 전통적으로 CS가 강점을 보였던 구조조정 시장이 다시 커진 데다, 비(非) 구조조정 분야에서도 꾸준히 일감을 따내면서 CS가 포함되지 않은 대형 딜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로 종횡무진 시장을 누비는 중이다.4일 한국경제신문과 에프앤가이드가 공동으로 2020년 3분기 기업 인수합병(M&A) 실적을 집계한 결과 CS는 M&A 전략을 총괄적으로 세우고 딜을 주도하는 재무자문 부문에서 발표 기준(본계약 체결 시점 기준으로 집계한 경영권 거래·사업부 및 영업양수도 포함)으로 7건, 3조7241억원의 실적을 거둬 1위를 차지했다.CS는 올해 상반기까지 SK네트웍스의 주유소사업부 매각 거래(1조3321억원) 1건 외에 별다른 자문실적을 올리지 못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3분기에 단숨에 6건에 대한 주식매매계약(SPA)을 발표하며 명실상부한 1등 자문사로서의 저력을 과시했다. 지난해 1~4분기 전체 재무자문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는 CS가 막판까지 기세를 유지해 올 연말에도 1위 자리를 수성할 지 주목된다. CS는 3분기 진행된 두산그룹 관련 거래 중 상당수에 자문사로 이름을 올렸다. (주)두산의 유압기기 사업부 두산모트롤BG 매각 자문을 따냈고 벤처캐피털(VC) 네오플럭스 매각에서는 신한금융지주의 인수 자문을 맡았다. 두산솔루스의 경우 매각주관사 지위를 놓쳤지만, 인수자 측인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자문을 따내면서 결과적으로 두산그룹발 구조조정 매물 대부분에 관여하는 기염을 토했다. 모트롤BG(4500억원), 두산솔루스(6986억원), 네오플럭스(730억원) 등 두산그룹발 거래

  • [2019 베스트 딜메이커-②M&A 자문]이경인 CS IB대표…아시아나 매각, 롯데카드 인수 등 성공

    [2019 베스트 딜메이커-②M&A 자문]이경인 CS IB대표…아시아나 매각, 롯데카드 인수 등 성공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 매체 마켓인사이트는 2019년 인수합병(M&A) 재무자문 부문 ‘딜메이커’로 이경인 크레디트스위스(CS) 투자은행(IB) 한국 대표(45·사진)를 선정했다. 2017년 이 부문 딜메이커로 처음 선정된 후 2년 만에 다시 수상했다.  이 대표는 2017년 CS 아시아태평양 지역 IB 부문 부회장으로 승진한 이천기 전 대표의 뒤를 이어 CS 한국 법인을 이끌고 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20명이 넘는 국내 최대 IB 조직인 CS의 대표로 취임한 데 이어 지난해 마켓인사이트 리그테이블에서도 업계 최초로 ‘10-10(연 10건 이상, 거래금액 10조원 이상)’ 클럽에 들어가는 기염을 토했다. ◆아시아나항공 등 어려운 딜 잇달아 성사이 대표 체제 하에서 지난해 CS는 여러 건의 대형 딜을 잇달아 솜씨 좋게 성사시키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매각이 쉽지 않은 물건을 맡더라도 최적의 딜 구조로 원매자를 찾아내 딜을 성사시켰다.작년 4월 매각된 동부제철이 그 중 하나다. 동부제철은 2014년 워크아웃에 들어간 지 5년 만에 매물로 나왔으나,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매각이 성사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하지만 산업은행이 매각 자문으로 선임한 CS는 경기화학(현 KG케미칼)으로 출발해 이데일리를 인수하는 등 보폭을 넓혀 가고 있던 KG그룹의 관심을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초반엔 채권단과 KG그룹 간에 이견도 있었지만, CS는 양측의 이견을 조율해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데 성공했다. KG그룹은 최종적으로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와 컨소시엄을 이뤄 동부제철을 인수(3600억원)하기로 결정했다. 작년 최고의 핫딜 중 하나로 꼽혔던 아시아나항공 매각도 CS의 손에

  • CS, 이경인 지점장 IB 대표로 선임

    CS, 이경인 지점장 IB 대표로 선임

    이 기사는 07월12일(14: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유럽계 증권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이경인 지점장(41·사진)을 기업금융(IB) 부문 대표로 선임했다. 2002년 이천기 법인 대표 취임 이후 별도의 IB 부문 대표를 뽑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다르면 CS는 이경인 지점장을 IB 부문 대표로 선임키로 하고 내부 승인 절차를 마쳤다. 이 지점장은 지난해 말 국내 최연소로 외국계 증권사 최고 직책인 매니징디렉터(MD)에 올랐으며 CS 서울지점 공동지점장으로 승진했다. 이 지점장과 함께 CS를 이끌던 임 지점장은 지난 UBS 법인 대표로 선임돼 CS에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이경인 지점장이 IB 부문 대표에 '초고속' 선임된 것은 IB 관련 업무 및 조직 관리 능력에 대해 높은 신뢰를 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평가다. 또 국내외 네트워크나 고객 관리 측면에서도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004년 삼일회계법인을 시작으로 맥쿼리증권, 리먼브러더스, 노무라증권을 거친 이 지점장은 2013년 CS에 본부장으로 입사했다. CS에 몸담은 이후 SK C&C와 SK 합병, KT렌탈 매각, KDB대우증권 매각, 두산공작기계 매각, LG실트론 매각, 금호타이어 매각 등 '빅 딜'을 잇달아 성사시켰다.  향후 CS는 그동안 고수해 온 공동지점장 체제 대신 부문 대표 체제로 운영될 전망이다. 이천기 대표는 IB 분야 관리를 포함해 브로커리지 등 모든 주식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이경인 대표가 IB 관련 업무 실무를 총괄할 계획이다. 당분간 지점장급 인력은 뽑지 않지만 상무급(디렉터) 이하 인력을 수시 충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