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현대百그룹, 현대HCN 판다..유료방송 시장 '제2 빅뱅' 예고
≪이 기사는 03월23일(16:4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백화점그룹이 종합유료방송사업자(MSO) 현대HCN을 팔기로 결정했다. 작년 LG유플러스의 CJ헬로(현 LG헬로비전) 인수 및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인수에 이어 올해 유료방송 시장이 다시 한번 '지각 변동'을 겪을 예정이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그룹은 최근 LG유플러스 및 SK브로드밴드 등 경쟁 유료방송 사업자들에 현대HCN 매수 의사가 있는지 타진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홈쇼핑(38.34%), 현대쇼핑(11.05%), 현대백화점(11.03%), 현대그린푸드(5.79%)를 통해서 현대HCN 지분 66.21%를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인 매각 방식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조만간 주관사를 선정해 매각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현대HCN은 케이블 TV를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과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 등을 서비스하는 회사다. 유료방송 시장점유율은 작년 6월말 기준 4.07%(134만명)로 업계 6위다. 이미 포화상태인 유료방송 시장에서 1~3위를 점하고 있는 KT, LG, SK 통신 3사가 추가로 가입자를 확보해서 이익률을 높이려면 하위권 사업자를 인수해야 하는 구도다. 재무구조가 튼실하고 서울과 수도권에서 가입자를 많이 확보하고&nbs
-
[마켓인사이트] SKB - 티브로드, 합병 본계약 체결…'국내 3위 유료방송 사업자' 탄생
▶마켓인사이트 4월 25일 오후 4시30분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가 합병한다. 기업가치 5조원 규모의 국내 3위 유료방송 사업자가 탄생하게 됐다.2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태광산업은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 간 합병을 결의한다. 양사는 이어 합병 본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TV(IPTV) 서비스 Btv를 운영하고 있으며, 티브로드는 국내 2위 케이블TV 업체다. SK텔레콤과 태광산업은 지난 2월 양해각서(MOU)를 맺고 합병을 추진해왔다. 합병이 마무리되면 SK텔레콤은 합병법인 지분의 70%를 보유한 최대 주주가, 태광산업은 22.3%를 가진 2대 주주가 된다.양사는 본계약 체결 직후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기업결합승인 심사는 신고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끝내야 하기 때문에 8월에는 합병에 대한 행정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SK텔레콤은 2016년 국내 1위 케이블TV 업체 CJ헬로를 인수하기로 했지만 공정위 불허로 무산된 바 있다. 이번에는 심사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시장은 예상하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올해 초 ‘과거와는 다른 판단이 가능하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SK브로드밴드-티브로드 합병법인의 기업가치는 5조원으로 확정됐다. SK브로드밴드의 기업가치는 약 3조5000억원, 티브로드 기업가치는 1조5000억원으로 평가했다. 가입자 수 769만 명(지난해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시장 점유율 24%로 국내 3위 사업자가 된다. 업계 2위인 LG유플러스-CJ헬로의 가입자 수(781만 명)와는 불과 12만 명 차이다. 앞으로 치열한 2위 쟁탈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위는 986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KT-K
-
[마켓인사이트][2019년 1분기 리그테이블]활발한 산업재편에 M&A 시장 후끈...CS 재무자문 1위 차지
≪이 기사는 03월29일(05: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올해 1분기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은 산업구조조정이 이끌었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시작된 유료방송시장 재편과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M&A가 순위를 좌우했다.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을 자문한 유럽계 증권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재무자문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삼일PwC와 삼정KPMG는 국내 산업 재편을 위한 M&A 수혜를 받아 2위와 3위를 차지했다.29일 한국경제신문과 에프앤가이드가 공동으로 1분기 기업 M&A와 자문 실적을 집계한 결과 CS가 M&A재무자문 부문 바이아웃·발표 기준(잠정협약 또는 본계약 체결 시점 기준으로 집계한 경영권 거래)으로 총 2건, 2조2010억원의 실적을 올리며 1위를 차지했다. CS는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M&A를 도우며 실적을 쌓았다. 티브로드 M&A는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인수자금을 쓰지 않고 회사를 사들이는 창의적인 구조설계로 호평을 받았다. 티브로드의 대주주인 태광산업이 1조5000억원의 인수자금을 받는 대신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법인 지분을 받기로 한 것. 실탄을 아낀 가운데 가입자수를 늘리는데 성공했다. 대규모 자금 투자가 필요한 5G 시대를 앞두고 경쟁사들에 비해 우위를 점하게 됐다는 평가다. 홍콩계 PEF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LG그룹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업체인 서브원을 인수(거래금액 6020억원)할 때도 매각 자문을 맡아 실적을 추가했다. 국내 산업구조재편이 이뤄지면서 삼일PwC, 삼정KPMG가 약진한 것도 1분기 M&A 자문시장에서 눈에 띈다. 삼일PwC는 세간을 놀라게 했던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