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행정공제회, 2조원 규모 유럽 바이오 연구시설 투자건에 참여 [마켓인사이트]

    행정공제회, 2조원 규모 유럽 바이오 연구시설 투자건에 참여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11일(14:3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행정공제회가 유럽 내 바이오 연구시설(라이프 사이언스 오피스·Life Science Office)을 비롯해 물류센터·데이터센터 등 틈새자산 투자에 나선다.11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행정공제회는 유럽 내 바이오 연구시설 운영사 카단스사이언스파트너(카단스·Kadans Science Partner)의 일부 지분 투자건에 참여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투자 약정 규모는 약 8000만 유로(한화 약 1040억원) 안팎이 될 전망이다. 카단스는 네덜란드, 영국, 독일 등 유럽 내 24개 바이오 연구시설과 8개 가량의 개발 건을 보유한 업체다.카단스는 작년 말 유럽 대형 보험사 악사(Axa)의 자산운용사인 악사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악사IM·Axa Investment Manager)가 미국 투자회사 오크트리캐피털로부터 약 2조~3조원 수준에 인수한 회사다. 악사IM은 이 가운데 35~40% 가량을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유치 중이다.카단스 투자건은 악사의 모집 금액을 크게 넘어서는 투자금이 몰리면서 투자자 간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투자자가 몰린만큼 최종 투자 규모는 악사 측의 조율을 거쳐 결정될 전망이다.행정공제회는 악사의 한국 관계사 격인 교보악사자산운용를 운용사(GP)로 조성한 수억달러 규모의 SMA(별도운영계정) 펀드를 통해 이번 투자에 참여한다. SMA는 운용사에 단독 출자자(LP)로 자금을 맡기고 투자 가이드라인을 부여하는 투자 방식이다.행정공제회는 바이오 연구시설을 비롯해 물류센터, 데이터센터 등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소위 '틈새자산'을 이번 SMA펀드의 주

  • [단독] "코로나 이후 바이오 시대 온다"...연구시설 투자나선 국민연금

    [단독] "코로나 이후 바이오 시대 온다"...연구시설 투자나선 국민연금

    ≪이 기사는 03월16일(14:4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이 바이오 기업 연구시설 등 생명과학(Life Science)관련 부동산으로 투자 영역을 확장하고 나섰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변화하는 투자 환경에 대응해 대체투자 자산군을 다변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최근 글로벌 운용사 블랙스톤이 조성 중인 최소 84억 달러(9조 4000억원)이상 규모의 생명과학 오피스 부동산 영구 펀드(Life Science Office Real Estate Perpetual Fund)에 출자했다. 투자 규모는 5억 달러(56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이 펀드는 주로 북미 지역의 코어플러스(Core+) 생명과학 오피스에 주력 투자한다. 코어플러스는 모든 임차가 완료된 코어(Core)자산과 개발 후 시세차익이 가능한 밸류에드(Value-Add)의 중간 성격으로 안정적 임대료 수익과 시세차익을 적절히 도모할 수 있는 자산이다.국민연금이 생명과학 부동산 투자만을 위한 전용 펀드에 출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연금은 그간 일반 오피스 부동산 투자 펀드를 통해 연구시설이 포함된 생명과학 오피스에 부분적으로 투자해왔다.생명과학 오피스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가속화된 바이오 산업의 빠른 성장세 속에 견고한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으로 꼽힌다. 수 년전부터 고령화 추세를 타고 성장세를 이어가던 생명과학 산업은 코로나 대유행을 계기로 관련 연구개발(R&D) 수요가 늘면서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이 뿐 아니라 출근이 필수적인 연구시설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재택근무 확산으로 인한 공실 확대 등 코로나 대유행이 오피스 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이 제한적이라는 것도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