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LG전자 수처리 자회사, 테크로스에 매각 확정

    [마켓인사이트] LG전자 수처리 자회사, 테크로스에 매각 확정

    ▶마켓인사이트 7월 23일 오후 5시11분LG전자가 수처리 관리·운영회사인 하이엔텍과 환경시설 설계·시공회사인 LG히타치워터솔루션을 글로벌 1위 해양 수처리 회사 테크로스에 매각한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날 이사회를 열어 수처리 관련 자회사를 테크로스에 매각하는 안을 확정했다. 이번주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예정이다. 매각 대상은 두 자회사 지분 100%다. 거래 금액은 2000억원대 중후반인 것으로 알려졌다.LG전자는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의 장기적인 성장과 고용 안정을 위해 테크로스로의 매각을 결정했다. 테크로스는 가전업체 쿠첸으로 알려진 부방(옛 부산방직)의 관계회사다.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해양에서 육상 수처리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게 된다.LG그룹은 구광모 회장 체제 출범 이후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처리 회사 외에도 LG퓨어셀시스템즈 등 계열사를 매각 혹은 청산하는 방식으로 정리하고 있다. 자동차 전장사업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분야에 힘을 싣기 위한 포석이다.水처리 자회사 2곳 테크로스에 매각…LG, 車 전장·AI 등에 힘 쏟을 듯하이엔텍과 LG히타치워터솔루션이 글로벌 1위 해양 수처리 업체인 테크로스를 만나 종합 수처리 업체로 도약할 기회를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가 테크로스로 팔리면 LG그룹 물량을 유지한 채 국내외 시장에서 수주를 늘려 실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LG전자는 2010년 수처리 분야를 차세대 성장 엔진 중 하나로 선정하고 사업

  • [마켓인사이트]LG전자 水처리 자회사 매각 이달 결정...부방 ‘우위’ 해석도

     ≪이 기사는 07월16일(20:0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G전자의 수처리 관리·운영회사인 하이엔텍과 환경시설 설계 및 시공회사인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의 새 주인이 이번 달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매각 대상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지원 및 안정적인 운영을 우선 순위로 고려하는 만큼 전략적투자자(SI)인 부방이 다른 인수 후보보다 앞서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매각주관사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늦어도 이달 내에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 인수자를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본입찰에 참여한 인수 후보 중 유일한 SI인 부방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달 19일 본입찰에는 부방 외에 외국계 사모펀드(PEF)인 스탠다드차타드프라이빗에쿼티(SC PE)와 모건스탠리프라이빗에쿼티(PE) 등이 참여했다. 본입찰 실시 후 한 달 가까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이뤄지지 않아 매각 불발 가능성도 점쳐졌으나, LG전자는 당초 계획대로 매각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별 매각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지만 동반 매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IB업계 관계자는 “이번 LG전자 수처리 자회사 매각의 경우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이라는 두 개 회사를 동시에 매각하는 만큼 다양한 인수 전략이 나온 것으로 안다”며 “이 때문에 다른 인수·합병(M&A)과 달리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없이 인수 후보들과 장기간 협상을 진행해 왔다”고 말했다.부방은 PEF와 달리 두 회사의 동시 인수에 비교적 긍정적인 데다, 관계회사인 테크로스가 해상 수처리 사업을 해 시너지

  • [마켓인사이트]LG전자 수처리 자회사 매각, SC PE-부방 경쟁으로 압축

    LG전자의 수처리 관리·운영회사인 하이엔텍과 환경시설 설계 및 시공회사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 인수전이 외국계 사모펀드(PEF) 스탠다드차타드프라이빗에쿼티(SC PE) 코스닥 상장사인 부방의 경쟁으로 압축됐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매각주관사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이날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 매각을 위해 실시한 본입찰에 SC PE와 부방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적격인수후보에 선정됐던 모건스탠리프라이빗에쿼티(PE) 등은 불참했다.SC PE는 국내 1위 수처리회사인 환경관리주식회사를 키우기 위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2016년 코오롱으로부터 환경관리주식회사를 인수한 뒤 규모를 키우고 있다. 국내 3위 수처리 회사인 하이엔텍을 인수할 경우 40% 이상의 국내 시장점유율을 기록해 2위인 TSK워터와 차이를 더 벌릴 수 있게 된다. 가전업체 쿠첸의 모회사로 유명한 부방은 LG전자의 수처리 자회사를 인수해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부방은 오너일가가 지분을 보유한 테크로스를 통해 선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공급하는 평형수처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을 인수할 경우 육상 수처리까지 진출이 가능해 사업 시너지효과가 있다는 평가다. 다만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의 매각 가격은 LG전자의 당초 기대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 회사 모두 LG그룹의 의존도가 높은데 내년 이후 수주 물량 등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엔텍은 전체 매출 중 LG그룹 매출 비중이 50%,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의 경우 80% 이상으로 알려졌다. IB업계 관계자는 “가격을 높

  • [마켓인사이트]LG전자 수처리 자회사 매각 '4파전 압축'

    ≪이 기사는 05월15일(16: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G전자의 수처리 관리·운영회사인 하이엔텍과 환경시설 설계 및 시공회사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 인수전이 외국계 사모펀드(PEF) 스탠다드차타드프라이빗에쿼티(SC PE), 모건스탠리프라이빗에쿼티(PE)와 코스닥 상장사인 부방, 글로벌 1위 수처리업체 베올리아의 4파전으로 압축됐다. 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매각주관사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예비입찰에 참여한 10여개 업체 중 4곳은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로 선정했다. 한달가량 예비실사 기간을 거친 후 6월말 본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두 회사의 예상거래금액은 5000억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SC PE는 국내 1위 수처리회사인 환경관리주식회사를 키우기 위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2016년 코오롱으로부터 환경관리주식회사를 인수한 뒤 규모를 키우고 있다. 올해 초 호주계 PEF인 맥쿼리로부터 인수한 더블유아이케이그린을 포함해 총 6개 유사업체를 인수하며 덩치를 키웠다. 국내 3위 수처리 회사인 하이엔텍을 인수할 경우 40% 이상의 국내 시장점유율을 기록해 2위인 TSK워터와 차이를 더 벌릴 수 있게 된다. 가전업체 쿠첸의 모회사로 유명한 부방은 LG전자의 수처리 자회사를 인수해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부방은 오너일가가 지분을 보유한 테크로스를 통해 선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공급하는 평형수처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을 인수할 경우 육상 수처리까지 진출이 가능해 사업 시너지효과가 있다는 평가다. 모건스탠리PE는 2014년 한화L&C를 인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