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K-뷰티+공모주 열풍’ 등에 업은 화장품 기업, IPO 기지개 켜나

    ‘K-뷰티+공모주 열풍’ 등에 업은 화장품 기업, IPO 기지개 켜나

    ≪이 기사는 12월03일(05:0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화장품 기업들의 상장 추진이 계속되고 있다. 여전한 K-뷰티 인기에 최근 국내 공모주 시장의 훈풍도 더해지며 기업공개(IPO)에 나서는 화장품 기업들이 흥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IPO 시장에서 화장품 기업은 중국의 ‘한한령’ 여파로 한동안 주춤했다. 지난해에는 상장한 화장품 기업이 한 곳도 없었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화장품 수출이 타격을 입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하지만 받아든 성적표는 나쁘지 않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1월까지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약 68억9000만달러로 이미 지난해 총 수출액(65억4000만달러)을 넘어섰다. 여기에 공모주 열풍도 힘을 보태며 화장품 기업들은 속속 IPO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올해 먼저 IPO 포문을 연 기업은 엔에프씨다. 화장품 소재 개발 기업 엔에프씨는 공모절차를 마치고 2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이 회사는 최근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방식과 생산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완제품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일본산 수입에 의존하던 이산화티탄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들어간다. 증권가에서는 엔에프씨를 K-뷰티의 숨은 일등공신으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코로나19로 인한 증시 폭락 탓에 상장 계획을 한 차례 접었지만 재도전에서 수요예측과 일반청약 모두 흥행했다. 엔에프씨 후발주자로는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출격을 준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자외선 차단제, 피부관리 화장품, 색조 화장품 등에 들어가는 원료를

  • 공모주 투자 열기 후끈...경쟁률 치솟고 '따상' 잇달아

    ≪이 기사는 11월25일(15: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빅히트엔터테인먼트 상장 이후 주춤했던 공모주 투자 열기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하루 만에 청약 증거금으로 11조원이 몰렸고 경쟁률도 2000 대 1에 육박하고 있다.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24일 일반청약 마감일이었던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클리노믹스 등 4개사가 줄줄이 호성적을 거뒀다. 4곳의 청약 증거금은 총 11조5812억원에 달한다. 산업용 모바일기기 제조업체 포인트모바일은 경쟁률 1843 대 1을 기록했다. 이루다(3040 대 1), 영림원소프트랩(2494 대 1), 한국파마(2036 대 1)에 이어 역대 4위 기록이다. 청약 증거금으로는 3조267억원을 모았다. 앞서 수요예측에서도 역대 2위 경쟁률을 기록했다. 아마존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한 것이 흥행에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포인트모바일은 다음달 3일 상장한다. 게이밍 기어 업체 앱코도 경쟁률 987 대 1로 인기몰이에 성공했다. 청약 증거금으로 5조9588억원을 쓸어담았다. 증거금만 놓고 보면 4개 기업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앱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수혜주로 꼽힌다. e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져 게임용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등 게이밍 기어 수요도 덩달아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글로벌 업체 로지텍을 밀어내고 게이밍 기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앱코는 다음달 2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화장품 소재 개발 기업 엔에프씨도 경쟁률 644 대 1을 기록, 증거금으로 1조 7255억원을 모으며 인기를 끌었다. 엔에프씨는 상장 '재수생'이다. 지난 3월 진행한 청약에서는 미달 사태를 빚으며 상장 계획을

  • [이번주 공모주]포인트모바일·앱코 등 일반청약

    이번주는 클리노믹스,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명신산업 등 5곳이 일반청약을 받는다. 이 중 4곳이 23~24일에 몰렸다.클리노믹스는 23~24일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이 회사는 유전체와 단백질체 등 다양한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연구·분석하는 다중오믹스(multi-omics)가 핵심 기술력이다. 이를 통해 질병을 예측·진단한다. 앞서 수요예측에서는 494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는 1만3900원이다. 대신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산업용 스마트기기 제조회사 포인트모바일도 같은 일정으로 청약을 받는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1447 대 1에 달했다. 카카오게임즈(1479 대 1)에 이은 역대 2위 기록이다. 최근 아마존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한 것이 기관 투심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공모가는 1만5000원이며 상장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앱코 역시 23~24일 청약이 진행된다. 이 회사는 게임용 키보드, 마우스 등 게이밍 기어 제조가 주력 사업이다. 국내시장 점유율 1위다. 최근 소형가전, 스마트스쿨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수요예측에서 1141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상단인 2만4300원에 확정했다. 미래에셋대우가 상장을 주관한다.화장품 소재 기업 엔에프씨도 23~24일 청약을 받는다. 최근 화장품 완제품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지난 3월 상장을 추진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계획을 철회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980 대 1로 흥행에 성공했다. 공모가는 1만3400원이며 상장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유가증권시장 문을 두드리는 명신산업은 27일 일반청약을 시작한다. 자동차 부품 기업인 이 회사는 현대·기아차 뿐만 아니라 미국 테슬라도 거래처로 확보했다. 청약에 앞

  • 엔에프씨, 코로나19 딛고 상장 재도전... “글로벌 화장품 기업 도약할 것”

    엔에프씨, 코로나19 딛고 상장 재도전... “글로벌 화장품 기업 도약할 것”

    "전열을 재정비해 이자리에 섰습니다. 독보적인 소재 기술을 통해 글로벌 화장품 기업으로 나아가겠습니다"유오영 엔에프씨 대표(사진)은 11일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회사는 내달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돌입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계획을 철회했다. 당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는 경쟁률 119 대 1로 비교적 선방했지만, 일반청약에서는 미달 사태가 빚어졌다. 2007년 설립된 엔에프씨는 화장품 소재 개발 전문 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개발했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의 보습과 면역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물과 기름에 잘 녹지 않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회사는 '고기능성 난용성 물질 안정화 기술(MLV)'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유 대표는 "기존 제품은 세라마이드 함량이 5% 미만에 그치지만, 우리 기술을 활용하면 함량을 40% 이상까지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회사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이산화티탄을 국내 최초로 상업화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기존 국내 화장품 업체들은 자외선차단제에 들어가는 이산화티탄을 대부분 일본 기업으로부터 수입해 사용해왔다.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에 이산화티탄이 포함되자 국내 기업들은 타격을 입었다. 유 대표는 "일본에 의존해 온 소재를 국산화했으니 우리 회사 매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부터 시장에 본격적으로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엔에프씨는 소재 개발에 그치지 않고 완제품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2017년 하반기부터 제조

  • 엔에프씨, 수요예측 경쟁률 119.4대 1… 공모가 최하단으로 확정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둔 엔에프씨가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에서 약 12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7일 화장품 원료제조업체 엔에프씨는 지난 12~13일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119.4 대 1의 경쟁률을 냈다고 발표했다. 엔에프씨의 수요예측에는 기관투자가 523곳이 참여했다. 엔에프씨는 희망가격 범위(1만200~1만3400원) 중 최하단인 1만2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엔에프씨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안 심리를 감안하면서도 상장 이후 기업 가치 상승에 주안점을 두고 공모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엔에프씨는 화장품의 기초가 되는 원료를 만드는 업체다. 2012년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하며 출발했다. 회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매출 239억원에 영업이익 50억원, 순이익 49억원을 냈다.엔에프씨는 18~19일 일반 청약을 받은 후 오는 26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IPO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엔에프씨, 화장품업계의 소부장 기업 되겠다

    엔에프씨, 화장품업계의 소부장 기업 되겠다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 당시 이산화티탄이 수출 금지 품목으로 포함되면서 국내 화장품 제조사들이 많은 타격을 입었어요. 자외선 차단제의 주원료죠. 엔에프씨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 소재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코스닥 상장을 앞둔 엔에프씨(NFC)의 유우영 대표(사진)는 25일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회사를 ‘화장품계의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엔에프씨는 다음달 말 코스닥에 입성할 예정이다.엔에프씨는 2012년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하며 출발했다. 유 대표는 1993년 한국콜마에 입사한 이래 보령메디앙스와 홍콩아싱화장품을 거치는 등 화장품 연구 업계에서만 27년을 근무한 전문가다. 유 대표는 “화장품의 가장 기초가 되는 베이스(기초 원료)는 첨가제에 비해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을 뿐 아니라 한 번 계약 및 거래가 시작되면 관계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을 보고 창업해 기업공개(IPO)까지 오게 됐다”고 말했다.실제로 엔에프씨의 주력 매출은 화장품의 베이스로 쓰이는 5개 소재에서 나온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239억원 중 69%가 여기서 나왔다. 이중 가장 ‘효자’ 노릇을 한 건 보습제 및 세럼에 쓰이는 ‘세라케어’다. 유 대표는 “세라케어의 주원료가 되는 세라마이드를 물에 고농도로 높일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가진 곳은 우리 회사를 포함해 세계에 극소수”라고 강조했다. 최근 유통되는 보습제품 중 대부분은 피부에 층을 만들어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세라마이드를 함유했다. 유 대표는 “댁에서 쓰시는 보습크림에도 아마 우리 제품이 들었을 것”이라며 웃었다.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