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에어캐나다 파업…복귀명령도 거부

    캐나다 최대 항공사인 에어캐나다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정부 개입에도 현장 복귀를 거부하고 있다.에어캐나다는 17일 오전(현지시간) 캐나다 정부의 운항 재개 및 파업 인력 현장 복귀 명령에 따라 이날 운항을 재개한다고 밝혔다가 다시 운항 재개를 유보한다고 발표했다. 에어캐나다는 “캐나다공공노조(CUPE)가 캐나다산업관계위원회(CIRB)의 현장 복귀 명령을 거부하라고 승무원 조합원에게 불법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에어캐나다 노사는 비행 외 노동시간에 대한 임금 보상 등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에어캐나다 승무원 노조 1만 명이 속한 CUPE는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미국 동부시간 기준 지난 16일 오전 1시30분부터 72시간 동안 파업에 들어갔다.패티 하지두 캐나다 노동장관은 에어캐나다 운항 전면 중단에 따른 경제 충격을 고려해 전날 강제 조정 명령을 내렸다. 에어캐나다는 하루 평균 승객 약 13만 명을 수송한다. 저가 항공 자회사 ‘에어캐나다루즈’까지 합치면 하루 운항 항공편은 약 700편이다. 여객뿐만 아니라 화물 부문에서도 50개국에서 노선을 운영하고 있어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CIRB는 노사 양측에 17일 오후 2시까지 현장에 복귀해 운항을 재개하라고 명령했다.에어캐나다는 18일 밤부터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지만 항공편이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 7~10일 더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한경제 기자

  • 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업부(FFP) 매각 검토‥ 해외 사례는

    대한항공 마일리지 사업부(FFP) 매각 검토‥ 해외 사례는

    대한항공이 마일리지 사업부(FFP) 등을 분할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FFP 분할 매각 방법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분할할 수 있는 것인지, 분할 후에 해당 사업부가 가진 가치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등이다.  마일리지 사업이란, 결국 일정한 조건을 갖춘 고객에게 항공권을 내주기로 하는 항공사의 약속이다. '상용 고객'을 위한 보상 프로그램이라는 명칭대로 원래는 비행기를 많이, 오래 탄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취지로 시작한 것이다. 결국 마일리지 사업부의 가치는 항공사와의 연결고리 안에 존재한다. 마일리지 사업부를 분할했을 때 그 가치는 마케팅의 결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마일리지와 항공사에서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내주는 항공권의 가치 간의 함수에 따라 계산된다. 예컨대 항공사가 얼마나 후하게 항공권을 내주는지, 얼마나 조건을 까다롭게 묶을 것인지는 중요한 요소다. 너무 박하면 사업부를 분할해도 별 가치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너무 후하게 줘서도 안된다. 골프장 부킹과 같이, 너무 후하게 남발한 마일리지는 결국 부킹 실패율로 귀결되어 고객의 불만을 낳는다. 항공사는 어차피 띄워야 하는 비행기에 생긴 빈 자리를 낮은 비용을 치르고 채우기를 바라고, 고객은 카드 사용 등 다양한 활동의 부산물로 생긴 마일리지를 가지고 가치가 있는 여행의 기회를 얻고 싶어한다. 양쪽이 하나의 항공권을 거래하면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 가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적정 황금비율을 찾는다면 마일리지 사업부는 항공사와 고객 간의 '윈-윈'을 만들면서도 그 사이에서 이익을 볼 수 있다.  ◆에어캐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