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 너두 유니콘 될 수 있어"…야나두, 기업가치 6000억원 인정
교육 플랫폼 업체 야나두가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큐캐피탈파트너스로부터 3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9일 밝혔다.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의 일환이다. 기업가치는 6000억원을 인정받으며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 도전의 발판을 다졌다.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기업가치를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야나두는 2015년 설립된 온라인 영어교육 플랫폼이다. 배우 조정석의 “야, 너두 할 수 있어”라는 광고가 유명해지며 주목받았다. 2020년 카카오키즈와 합병하고 동기 부여 플랫폼 ‘야나두 유캔두’, 맞춤형 강의 플랫폼 ‘야나두 클래스’ 등 신규 서비스를 출시했다.최근에는 운동 관련 사업에 집중했다. 홈트레이닝 시장을 겨냥한 ‘야핏 사이클’은 메타버스 세계에서 게임을 하듯 운동하고 보상도 획득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다. 올해 1분기 150억원 상당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는 글로벌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가민의 고사양 사이클 제품 ‘탁스’와 야핏 사이클 앱을 연동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출시하고, 해외 진출도 추진할 예정이다.야나두는 200억원대 규모의 추가 투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투자자들에겐 매출 성장세를 내세우고 있다. 김정수 야나두 대표는 “유캔두, 야핏 사이클, 야핏 라이더, 야나두 잉글리시, 야나두 키즈 등 전 사업 영역에서 성과가 나면서 올 상반기에만 작년 전체 실적을 상회하는 600억원의 매출액을 거뒀다”고 말했다.상장 목표는 내년 하반기다. 지난해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이 상장 주관사로 선정됐다. 김 대표는 “투자시장이 냉각기에 접어든 시기임에도 상장을 준비하기 위한 충분한 자
-
'몸값 6조' 카카오모빌리티, 상장 준비 착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23일(11:2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카카오그룹의 택시 및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를 맡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본격적으로 기업공개(IPO) 준비에 나선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국내외 주요 증권사에 상장 계획을 담은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다음달 주관사를 선정하고 상장 준비를 시작할 계획이다. 내년 증시에 입성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카카오모빌리티는 2017년 8월 카카오가 스마트모빌리티 사업을 분할해 세웠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카카오T’의 운영회사로 유명하다. 최근엔 대리운전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카카오T의 지난해 말 기준 이용자 수는 약 2800만명이다. 택시기사 25만명과 대리운전 기사 15만명이 해당 플랫폼을 등록해 사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2800억원, 영업손실 129억원을 기록했다.이 회사는 성장성을 인정받고 대형 기관투자가들과 기업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해왔다. 분사 직후 텍사스퍼시픽그룹(TPG)으로부터 5000억원을 투자받은 것을 시작으로 칼라일그룹, 구글, LG, GS칼텍스, GS에너지 등을 주요 주주로 맞았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치도 거듭 올라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달 LG와 GS칼텍스, GS에너지로부터 투자를 받을 때 평가받은 몸값은 4조원대로 4년 전 TPG로부터 투자를 받았을 때보다 세 배 가까이 뛰었다. IB업계에선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 과정에서 몸값을 6조원 이상으로 인정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에 나서면서 카카오그룹 계열사들의 증시 입성준비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달 초 IPO를
-
투자회사로 변모 중인 시원스쿨...작년 투자 수익만 250억원
≪이 기사는 04월14일(08:1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온라인 영어교육업체 시원스쿨 운영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SJW인터내셔널)이 투자회사로 변모하고 있다.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며 매출이 줄자 보유 현금과 차입금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투자 수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게시된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이 330억원으로 전년보다 26.9% 줄었다. 영업이익은 4억원으로 같은 기간 89.5% 감소했다. 시원스쿨은 유재석과 강호동을 앞세운 TV광고로 돌풍을 일으키며 2016년 매출이 1339억원까지 늘었으나, 이후 야나두 등 경쟁 업체가 부상하며 실적이 내리막을 걷고 있다. 반면 작년 순이익은 234억원으로 전년(34억원)보다 583.8% 급증했다. 2006년 설립 이후 최대다. 주식 등을 사고 팔아 107억원의 이익을 남기고, 보유 빌딩도 매각해 147억원을 벌었다.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이 지난해 매각한 빌딩은 서울 여의도 남중빌딩이다. 2016년 295억원에 남중빌딩을 매입한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은 지난해 정당 '국민의힘'에 이 빌딩을 400억원대에 팔아 약 4년 만에 100억원대 차익을 남겼다.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은 이 돈으로 작년 서울 반포동 송암빌딩, 청주 석교동 청주빌딩, 서울 청담동 청담퍼스트타워 오피스텔 등을 매입하며 재투자에 나섰다. 이밖에 상장사와 비상장사에도 공격적으로 투자했다. 현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이 보유한 투자 자산은 792억원에 이른다. 전년(477억원)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상장사 주식을 259억원어치, 비
-
[단독 마켓인사이트]"야, 너두 할 수 있어" 야나두, 300억원 프리IPO 투자유치
≪이 기사는 09월07일(20:0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카카오의 에듀테크 계열사 야나두가 약 300억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기업 투자)를 유치했다. 성인 대상 영어 교육으로 시작한 야나두는 올해 초 유아동 교육 브랜드인 카카오키즈와의 합병으로 사업의 폭을 넓였다.7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야나두는 비전자산운용으로부터 200억원, 푸른파트너스자산운용이 100억원 등으로 최소 300억원 규모의 프리IPO단계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12월 카카오 계열사인 카카오키즈에 인수된 직후 상장 계획을 내놓은 지 약 9개월만의 행보다. 합병을 통해 몸집을 키운 야나두의 기업가치는 3000억원 이상으로 평가된다.벤처투자업계에서는 야나두가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예비 유니콘(기업가치가 10억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에 가까워졌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야나두는 내년 코스닥시장 상장이 목표다.야나두는 2015년 설립된 성인 온라인 영어교육 플랫폼으로 ‘10분 강의, 장학금 제도, 1:1 보이스케어’ 등 새로운 온라인 교육 서비스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이름을 알린 스타트업이다. 지난해 카카오키즈에 인수된 후 올해 초 흡수합병됐지만 카카오키즈가 사명을 '야나두'로 변경하면서 야나두 브랜드가 유지됐다.합병 이후 야나두는 성인 뿐 아니라 주니어, 유아동 등 다양한 고객군을 아우르는 교육 플랫폼으로 발전했다. 지난 6월엔 운동이나 집정리 등 여러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동기부여 플랫폼인 '야나두 유캔두'를 출시하는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시장이 주목
-
카카오키즈, 영어교육 기업 야나두 합병한다
카카오 계열의 카카오키즈가 영어 등 외국어교육 기업인 야나두를 흡수합병하기로 했다. 2일 카카오키즈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25일 이사회를 열고 야나두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카카오키즈와 야나두의 합병비율은 1대 0.6이고, 카카오키즈가 자사의 주식을 야나두 주주들에게 교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카카오키즈는 이달 10일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합병안을 처리한 뒤, 내년 1월 합병을 마칠 계획이다.야나두는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으로, 배우 조정석씨와 마동석씨 등을 모델로 기용하며 일반 인지도를 높였다. 야나두의 지난해 매출은 414억원에 순손실은 18억원이었다. 야나두는 지난해 한국투자증권을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코스닥시장 상장을 준비하기도 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