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아크로스·SK증권, 月지급 랩 서비스 출시

    금융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아크로스테크놀로지스와 SK증권은 매달 순자산의 0.4%(연 4.8%)를 분배금으로 지급하는 ‘SK증권 글로벌 인컴 아크로스 자문형랩’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이 랩 서비스는 아크로스가 지난해 5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Akros Monthly Payout ETF’(MPAY)와 미국 주식을 활용해 운용한다. 미국 달러화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추가적인 시세 차익까지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크로스의 자회사인 아크로스인베스트먼트의 조언을 받아 SK증권에서 운용한다. 최소 가입 금액은 3000만원이다.투자 대상은 주식, 채권을 포함한 세계 19가지 자산군이다. 아크로스의 퀀트 모델을 활용해 사람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한 데이터 주도 투자 방식으로 운용한다.이태훈 기자

  • 달러로 연 4.8% 배당금 주는 랩어카운트 출시

    달러로 연 4.8% 배당금 주는 랩어카운트 출시

    금융 AI 스타트업 아크로스테크놀로지스와 SK증권은 매달 순자산의 0.4%(연 4.8%)를 분배금으로 지급하는 ‘SK증권 글로벌 인컴 아크로스 자문형랩’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이 랩 서비스는 아크로스가 지난해 5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Akros Monthly Payout ETF’(MPAY)와 미국 주식을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운용한다. 미국 달러화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추가적인 시세 차익까지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크로스의 자회사인 아크로스인베스트먼트의 자문을 받아 SK증권에서 운용한다. 최소 가입금액은 3000만원이다. 투자 대상은 주식, 채권을 포함한 전 세계 19가지 자산군이다. 아크로스의 퀀트 모델을 활용해 사람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한 데이터 주도(data-driven) 투자 방식으로 운용된다. 1910년부터 축적된 100TB(테라바이트) 이상의 금융 데이터를 GPT 기반의 AI 엔진으로 처리·가공해 활용한다. 시장 상황에 따라 자산 배분을 달리하기 때문에 채권형과 주식형 상품의 장점을 동시에 지녔다고 평가 받는다. 양사의 협업은 아크로스의 PMaaS(Portfolio Management-as-a-Service) 인프라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아크로스가 자체 보유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내에서 데이터 수집 및 가공, AI 리서치, 인덱스 및 포트폴리오 관리, 리스크 관리, 자동 포트폴리오 구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정훈 아크로스인베스트먼트 대표는 “글로벌 헤지펀드 수준의 자산배분 전략을 국내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스틱, 휴젤 자회사 아크로스 투자 전량 회수

    ▶마켓인사이트 12월 26일 오전 5시휴젤의 자회사 아크로스에 투자했던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약 400억원 규모의 지분 전량을 휴젤에 매각한다. 당초 상장(IPO)를 통한 투자금 회수를 염두에 뒀지만 전략을 바꿔 지분 매각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엑시트)하게 됐다.26일 휴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4일 이사회를 열고 아크로스 지분 19.2%(60만6000주)를 약 394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휴젤의 아크로스 지분율은 64.65%에서 83.83%까지 오른다.스틱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2014스틱성장동력엠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는 2015년 아크로스 지분 34.4%를 인수했다. 당시 휴젤은 3년 뒤인 지난 9월까지 아크로스가 기업공개(IPO)가 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스틱에 약속했다. 이와 함께 IPO가 무산될 때는 스틱인베스트먼트가 보유 주식을 휴젤에 되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부여하기도 했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2016년 말 아크로스의 지분 16.17%(약 400억원) 가량을 다른 기관을 상대로 매각한 바 있다. 정확한 인수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NH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 등 대형 증권사를 포함해 송현인베스트먼트와 SBI인베스트먼트 등이 인수자로 이름을 올렸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당초 IPO를 염두에 둔 엑시트(투자회수) 전략을 짰으나 아크로스의 상장 계획이 무산되면서 지분 매각으로 방향을 바꿨다. 휴젤에 따르면 이번 지분 매각은 풋옵션 행사가 아닌 상호 합의에 이뤄졌다. 인수 당시 가격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수 당시 지분 34.35%의 매각가로 약 800억원 가량을 벌어들이면서 상당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아크로스는 보톡

  • [마켓인사이트]스틱인베스트먼트, 휴젤 자회사 아크로스에 지분 매각해 '엑시트'

    [마켓인사이트]스틱인베스트먼트, 휴젤 자회사 아크로스에 지분 매각해 '엑시트'

    휴젤의 자회사 아크로스에 투자했던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약 400억원 규모의 지분 전량을 휴젤에 매각한다. 당초 상장(IPO)를 통한 투자금 회수를 염두에 뒀지만 전략을 바꿔 지분 매각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엑시트)하게 됐다.26일 휴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4일 이사회를 열고 아크로스 지분 19.2%(60만6000주)를 약 394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휴젤의 아크로스 지분율은 64.65%에서 83.83%까지 오른다.스틱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2014스틱성장동력엠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는 2015년 아크로스 지분 34.4%를 인수했다. 당시 휴젤은 3년 뒤인 지난 9월까지 아크로스가 기업공개(IPO)가 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스틱에 약속했다. 이와 함께 IPO가 무산될 때는 스틱인베스트먼트가 보유 주식을 휴젤에 되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부여하기도 했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2016년 말 아크로스의 지분 16.17%(약 400억원) 가량을 다른 기관을 상대로 매각한 바 있다. 정확한 인수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NH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 등 대형 증권사를 포함해 송현인베스트먼트와 SBI인베스트먼트 등이 인수자로 이름을 올렸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당초 IPO를 염두에 둔 엑시트(투자회수) 전략을 짰으나 아크로스의 상장 계획이 무산되면서 지분 매각으로 방향을 바꿨다. 휴젤에 따르면 이번 지분 매각은 풋옵션 행사가 아닌 상호 합의에 이뤄졌다. 인수 당시 가격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수 당시 지분 34.35%의 매각가로 약 800억원 가량을 벌어들이면서 상당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아크로스는 보톡스 제조 및 판매업체 휴젤의 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