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삼쩜삼, 결국 상장 불발…시장위원회 재심사에서 '최종 미승인'

    삼쩜삼, 결국 상장 불발…시장위원회 재심사에서 '최종 미승인'

    세무회계 플랫폼 삼쩜삼 운영사인 자비스앤빌런즈의 상장 계획이 최종 무산됐다. 직역단체의 반대로 혁신 사업모델을 갖춘 회사의 기업공개(IPO)가 좌초된 셈이라 벤처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12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거래소 시장위원회는 자비스앤빌런즈의 상장 심사를 진행하고 최종 미승인 결정을 내렸다. 자비스앤빌런즈는 지난 2월 코스닥 상장 위원회의 사업모델 특례상장 예비심사에서 미승인 판정을 받은 후 거래소 시장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해 상장 강행 의지를 보였지만 최종적으로 상장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전날 열린 시장위원회에선 국세청에서 유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과 세무사회와의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 등이 삼쩜삼 상장의 리스크로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세무사회는 자비스앤빌런즈의 예비심사를 앞두고 거래소에 여러 차례 건의서와 소명 자료를 제출했다. 이 때문에 세무사회의 거래소 압박이 상장 예비심사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었다. 삼쩜삼 측은 시장위원회에 참석해 혁신 사업모델을 설명하고 상장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결국 설득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삼쩜삼은 세무사회의 고소고발에 무혐의를 받아낸 회사인데 결국 IPO를 앞두고선 직역단체의 압박이 통한 셈"이라고 말했다. 세무사회는 2021년 삼쩜삼이 불법 세무 대리 서비스라며 김범섭 자비스앤빌런즈 대표를 경찰에 고발했다. 삼쩜삼이 세금 환급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했다는 점을 문제 삼기도 했다.이번 상장 미승인 결정이 벤처투자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자

  • 보안솔루션기업 에버스핀, 코스닥 상장 추진

    보안솔루션기업 에버스핀, 코스닥 상장 추진

      ≪이 기사는 07월02일(15:3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보안솔루션 기업인 에버스핀이 코스닥시장 상장에 나선다.에버스핀은 2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과정에서 별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올해 안에 증시 입성을 마무리할 전망이다. 공모 예정 주식 수는 200만주다. DB금융투자와 키움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에버스핀은 2014년 설립된 보안솔루션 개발업체다. 스마트폰 앱의 보안 모듈코드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인 ‘에버세이프’, 악성 앱 탐지 솔루션인 ‘페이크 파인더’ 등을 개발에 기업들에 제공하고 있다. 국민은행, 우리은행, BNK투자증권, 다날 등 여러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 6억원, 영업손실 37억원을 기록했다.이 회사의 최대주주는 창업자인 하영빈 대표로 지분 27.76%를 들고 있다. 이밖에 스틱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 플래티넘기술투자,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 등 재무적투자자 10여곳이 약 4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증강현실 기업 맥스트, 코스닥 상장 추진...예비심사 청구

    증강현실 기업 맥스트, 코스닥 상장 추진...예비심사 청구

    증강현실(AR) 기술 기업인 맥스트가 올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맥스트는 최근 한국거래소에서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적자를 내고 있어 기술 특례로 상장할 계획이다. 맥스트는 기술평가기관인 한국기업데이터와 SCI평가정보로부터 각각 ‘A와 ‘BBB’ 등급을 받았다. 상장 심사에는 최소 2개월이 걸린다. 다만 요즘 심사 청구 기업이 많아 심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상장 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 2010년 설립한 맥스트는 줄곧 증강현실 기술을 개발해왔다. 2011년 증강현실 모바일 게임 ‘시크릿 가든’을 출시했고, 2012년 국내 최초의 증강현실 개발 키트(SDK)를 선보였다. 2013년엔 SK텔레콤의 증강현실 플랫폼에 기술을 제공했고, 2016년엔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사용자를 위한 증강현실 사용 설명서를 만들었다. 증강현실이란 스마트폰 카메라로 보이는 현실 속 화면에 가상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 자동차 보닛을 열어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무엇이 엔진오일 주입구인지, 에어클리너 필터인지 화면에 뜬다. 쇼핑, 교육, 공장 등 여러 분야에 증강현실을 적용할 수 있다. 지난해 매출은 20억원으로 전년(12억원)보다 63.0% 늘었다. 영업손실은 25억원으로 전년(17억원)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맥스트는 주주 면면이 화려하다. 박재완 맥스트 대표(24.7%) 외에 현대차(5.3%)와 만도(6.7%)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그 외 L&S벤처(10.4%), DS자산운용(8.1%),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6.7%) 등도 맥스트에 일찍이 투자했다. 상장 주관사인 하나금융투자도 2019년 맥스트에 투자해 지분 6.7%를 들고 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실적 호조’ 코로나19 업은 기업들, 증시 잇따라 ‘노크’

    ‘실적 호조’ 코로나19 업은 기업들, 증시 잇따라 ‘노크’

    ≪이 기사는 03월09일(05:2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올해 첫 ‘대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이번주 청약 절차에 나서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덕에 실적이 급성장한 기업들의 기업공개(IPO) 행렬이 잇따르고 있다.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9~10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시가총액이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 국민 청약’이라는 말까지 나올 만큼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대표적인 코로나19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19 백신 수탁생산(CMO) 계약, 미국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백신 수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맺으면서 몸값이 치솟았다. 자체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두 종류도 최근 임상 단계에 들어갔다. 코로나19로 실적에 수혜를 입은 회사들의 증시 ‘노크’는 계속될 전망이다. 가장 먼저 시장에 나올 회사는 건강기능식품 회사 에이치피오다. 지난달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공모 규모를 확정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 4~5월께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덴프스’라는 브랜드를 통해 유산균이나 오메가3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2019년 매출은 500억원대였지만 지난해에는 이보다 두 배 이상 매출 규모를 늘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로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회사도 덩달아 성장했다는 분석이다.  분자진단 기업 진시스템 역시 코스닥 입성을 노리고 있다. 진시스템은 지난해 말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서를 제출했다. 심사가 순조롭게

  • 한솔 계열 테이팩스, 상장 예비심사 신청

    이 기사는 05월29일(18: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포장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팩스가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한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29일 연신폴리프로필렌(OPP) 테이프 생산업체 테이팩스의 주권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발표했다.지난해 말 기준 한솔케미칼이 지분 50%를, 나머지는 50%는 엔에이치아주아이비중소중견그로쓰2013사모투자전문회사가 보유 중이다. 1994년 설립된 이 회사는 2003년 유니랩을 인수하고 식품포장용 랩 시장에 진출했다. 2005년엔 전자 소재용 테이프시장에 뛰어들었다.별도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1120억원의 매출과 88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