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묵 하나로 매출 1000억 '잭팟' 터지더니…오너 3세의 '파격'
"삼진어묵 설립 70년 역사상 처음으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어묵 베이커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확신합니다."박용준 삼진식품 대표(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여러 경영지표의 긍정적 성장을 바탕으로 이룬 성과"라며 이같이 말했다.국내 최초 어묵 베이커리 시장을 연 삼진어묵이 지난해 매출액 1007억원을 기록했다. 부산 영도구 봉래시장에서 1953년 설립 후 72년 만이다. 경영 3세 박 대표가 2013년 어묵 베이커리 사업을 시작할 당시의 매출액이 83억원이었다. 12년간 줄기차게 성장해온 셈이다.박 대표는 "한 달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인건비는 3000만원에서 15억원 수준으로 올랐다. 직원 수와 급여 수준이 동시에 늘었다. 복지 수준도 좋아졌다. 외형 성장 속에서도 영업이익률을 고스란히 유지했다"고 강조했다.하지만 박 대표가 어묵 베이커리 사업으로 얻은 가장 큰 가치는 어묵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확신이다. 지속가능성은 곧 어묵 베이커리 문화의 세계화다. 박 대표는 "아직 어묵 베이커리 문화는 아직 과도기다"라며 "소비자가 어묵에 매기는 가치가 치킨이나 분식만큼 명확해질 때 어묵 베이커리 문화가 정착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생선하면 스시를 떠올리는 것처럼, 갓 튀겨서 따뜻한 상태의 어묵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핵심이다.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 현장에 참가한 것도 어묵의 잠재력을 확신했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현지에서 외국인에게 어육 도우로 만든 피자를 선보였다. 국내 최초의 어묵 베이커리로 시작해 2017년 해외 시장 진출 경험까지 쌓인 것으로, 외국
-
"중소기업도 IPO·M&A 반드시 신경써야" [책마을]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 코로나19로 사람들의 삶의 모습은 급격히 바뀌었다. 기업 경영자들은 대변혁의 시대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발굴해야 하는 처지다.지난 14일 출간된 <컨설팅 경영 챌린지>는 중소기업 경영자들에게 컨설팅 경영 방법을 안내한다. 저자인 황종현 SPC삼립 대표와 황창환 삼진어묵 대표는 책에서 컨설팅 경영이 왜 필요한지 설명하면서 경영 혁신법을 제시한다. 황종현 대표는 삼진어묵 대표, 동원F&B 부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30여 년간 기업 현장에서 다수의 인수합병(M&A)을 주도한 인물이다. 황창환 대표 역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하림 등에서 대기업 컨설팅을 진행해왔다. 최근 삼진어묵의 영업이익 증가를 이뤄냈다.이들이 생각하는 경영의 기본은 ‘현장 중심의 경영’이다. 황종현 대표는 “대기업과 같이 충분한 경영자원을 가지고 있지 못한 중소기업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는가에 따라 경영의 성과가 달라진다”며 “중소기업의 경영자는 항상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두 대표는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기 위해 기업공개(IPO)와 M&A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그간의 경영 경험을 바탕으로 IPO와 M&A로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소개했다. 기업 내부의 변화와 재무구조, 수익구조 등을 개선해 투자를 유치하는 방법,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위한 IPO 노하우가 책에 담겨 있다.저자들은 “중소기업에 IPO란 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는 기회이자 새로운 자금으로 투자
-
‘어묵 대세’ 삼진어묵, IPO 나선다
유명 어묵 브랜드 ‘삼진어묵’을 보유한 삼진식품이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28일 더벨에 따르면 삼진식품은 2023년을 목표로 상장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해(110억원)과 올해(150억원) 연이어 100억원대 투자 유치에 성공한 이 회사는 IPO를 통해 몸값을 더 높일 계획이다. 삼진식품은 가장 최근 투자를 받는 과정에서 600억원대 기업가치를 인정 받았다.삼진식품은 부산에 본사를 둔 어묵 제조업체로 국내에서 ‘베이커리형 어묵’을 가장 먼저 내놓으며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매출 553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했다. 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