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ECM

    더핑크퐁컴퍼니 "10월 내 IPO 예비심사 청구설은 사실무근"

    더핑크퐁컴퍼니가 10월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할 가능성에 대해 선을 그었다.4일 더핑크퐁컴퍼니 관계자는 "10월 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신청할 계획은 현재로선 전혀 없다"며 "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특별히 무리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더핑크퐁컴퍼니는 '아기상어'를 비롯한 다양한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영화와 애니메이션, 음원, 게임, 공연 등 사업을 펼치는 회사다. 올해 1월 스마트스터디에서 더핑크퐁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9년 미래에셋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이날 더핑크퐁컴퍼니가 10월 상장 절차에 착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더핑크퐁컴퍼니의 주요 주주인 삼성출판사 주가가 급등했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삼성출판사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17.07% 상승한 2만4350원에 거래됐다. 더핑크퐁컴퍼니의 최대주주는 김민석 대표(지분율 18.5%)이며 삼성출판사가 2대 주주(지분율 16.8%)다.회사 관계자는 "필요한 시기마다 회계법인의 지정 감사와 주관사의 IPO 컨설팅 등을 진행하면서 내부적으로 상장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우선으로 두고 적절한 IPO 시점을 다각도에서 검토해나갈 예정이지만 IPO 시장 및 구체적인 일정, 희망 기업가치에 관해서는 확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

  • 삼성출판사, '아기상어' 스마트스터디 지분 1.6% 매각

    삼성출판사, '아기상어' 스마트스터디 지분 1.6% 매각

    삼성출판사가 자회사인 스마트스터디 주식을 팔아 131억원을 조달한다. 유아용 콘텐츠 ‘아기상어’ 등의 인기로 스마트스터디가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으로 도약한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평가다.삼성출판사는 16일 이사회를 열고 스마트스터디 주식 4만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다음달 16일 지분 매각을 통해 운영자금 131억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거래 이후 삼성출판사의 스마트스터디 지분율은 18.5%에서 16.9%로 낮아진다.스마트스터디는 2010년 게임업체 넥슨 출신 직원들이 창업한 콘텐츠 기업이다. 글로벌 히트작 ‘아기상어’로 유명하다. 아기상어는 지난해 11월 전세계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조회된 영상에 올랐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677억원, 영업이익 184억원을 기록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스아기상어와 핑크퐁(여우) 캐릭터를 활용한 지적재산권(IP)을 바탕으로 스마트스터디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평가에 힘입어 스마트스터디는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예비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됐다.삼성출판사는 자회사의 인기에 힘입어 몸값 상승효과도 누리고 있다. 16일 삼성출판사 주가는 4만3600원으로 올 들어서만 82% 뛰었다. 어느덧 시가총액이 4360억원까지 늘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단독] 아기상어' 폭풍성장…1조 유니콘으로 컸다

    [단독] 아기상어' 폭풍성장…1조 유니콘으로 컸다

    ▶마켓인사이트 4월 6일 오후 2시20분‘핑크퐁’ ‘아기상어’로 유명한 스마트스터디가 최근 투자 유치 과정에서 1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스마트스터디는 쿠팡,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야놀자, 무신사, 쏘카 등에 이어 국내 13번째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에 등극하게 됐다.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마트스터디는 산업은행, 푸른자산운용파트너스 등으로부터 300억원가량의 투자를 받기로 하고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2년 전 투자를 유치할 때보다 다섯 배 이상 높은 1조원대 몸값을 인정받았다. 국내 콘텐츠사 중 유니콘 기업이 된 사례는 스마트스터디가 처음이다. 창업 10년 만에 유니콘 도약‘베이비샤크 뚜루루뚜루~ 베이비샤크 뚜루루뚜루~.’중독성 강한 멜로디로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핑크퐁’의 영상 콘텐츠 ‘아기상어 댄스’. 2분17초짜리 이 영상은 지난해 11월 세계 유튜브 최다 조회 영상이 됐다. 동요가 유튜브 영상 조회 수 1위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최근까지 누적 조회 수는 82억 회에 달한다.스마트스터디는 게임업체 넥슨에서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김민석 대표와 이승규 부사장, 손동우 이사가 2010년 차린 콘텐츠 회사다. 처음부터 성공가도를 달린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유치원생, 초등학생을 겨냥한 학습용 콘텐츠를 출시했다. 그러나 반응이 기대에 못 미치자 영유아 계층으로 타깃을 조정했다. 인종과 언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을 바라볼 수 있어서다.거듭된 시행착오 끝에 탄생한 캐릭터가 핑크퐁(여우)과 아기상어다. 이 캐릭터를 활용한 콘텐츠

  • [단독]"뚜루루뚜루~ 아기상어" 스마트스터디, 국내 13번째 유니콘 됐다

    [단독]"뚜루루뚜루~ 아기상어" 스마트스터디, 국내 13번째 유니콘 됐다

    ‘핑크퐁’, ‘아기상어’로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스마트스터디가 최근 투자유치 과정에서 1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스마트스터디는 쿠팡,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야놀자, 무신사, 쏘카 등에 이어 국내 열 세번째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에 등극하게 됐다.·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스터디는 산업은행, 푸른자산운용파트너스 등으로부터 약 300억원 가량의 투자를 받기로 하고 막바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는 1조원 이상의 몸값을 적용았다. 2년 전에 비해 기업가치가 5배 이상 뛰었다. 핑크퐁 아기상어 캐릭터를 앞세운 영유아 대상 콘텐츠가 국내 시장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덕분이다. 국내 콘텐츠 기업 중에서 유니콘이 된 것은 스마트스터디가 처음이다. ◆10년 만에 글로벌 콘텐츠로 도약“베이비샤크 뚜루루뚜루~ 베이비샤크 뚜루루뚜루~”중독성 강한 후렴구와 따라부르기 쉬운 멜로디로 전세계적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핑크퐁(Pinkfong)’의 영상 콘텐츠 ‘아기상어 댄스(Baby Shark Dance)’. 2분17초짜리인 이 영상은 지난해 11월  가수 루이스 폰시의 ‘데스파시토’ 뮤직비디오 영상을 제치고 전세계 유튜브 최다 조회 영상 1위에 올랐다. 2016년 6월 유튜브에 처음 영상을 게재한 지 약 4년 5개월 만에 낸 성과다. 동요가 유튜브 영상 조회수 1위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이 영상은 최근 누적 조회수 82억뷰를 돌파했다. 스마트스터디는 2010년 게임업체 넥슨 출신들이 창업한 콘텐츠 회다. 김민석 대표와 이승규 부사장, 손동우 이사가 그 주인공

  • [마켓인사이트] '상어가족' 스마트스터디 주관사 선정…내년 상장 '잰걸음'

    [마켓인사이트] '상어가족' 스마트스터디 주관사 선정…내년 상장 '잰걸음'

    ▶마켓인사이트 1월16일 오전 5시2분동요 ‘상어가족(Baby Shark)’의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콘텐츠기업 스마트스터디가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로 미래에셋대우를 낙점하고 상장 채비에 나섰다. 상어가족은 미국 빌보드차트에 진입하는 등 세계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마트스터디는 최근 상장 주관사 선정을 마치고 상장 적기를 조율하고 있다. 이르면 내년 상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다.IB업계에서 스마트스터디 상장을 주목하는 이유는 상어가족, 핑크퐁 등 보유 캐릭터가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동요 상어가족은 미국 빌보드 핫100 차트에 지난주 32위에 진입했고, 15일(현지시간) 38위를 유지했다. 가수 싸이,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과 함께 빌보드 핫100 차트 진입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영국의 오피셜 싱글 차트 톱100에서도 지난 11일 14위에 올랐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쉬운 율동으로 전 세계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는 평가다.스마트스터디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은 지난해 11월 말 유튜브의 ‘다이아몬드 크리에이터 어워즈’(구독자 1000만 명 이상)를 수상했고, 스마트스터디의 창업자인 김민석 대표는 지난해 말 ‘2018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해외 진출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콘텐츠 인기로 스마트스터디 실적이 얼마나 증가할지가 상장에 관건이 될 전망이다. 스마트스터디는 2017년 매출 272억원에 영업이익 19억원, 순이익 22억원을 냈다. 지난해 추정 실적은 매출 400억원, 영업이익은 80억원 정도다. 최근 벤처캐피털 등으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했을 때 전제가 됐던 기업 가치는 2000억원 선으로 알려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