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한샘, 사옥 팔아 '폭탄 배당'…속내는 대주주 배불리기?

    한샘이 사옥을 판 대금을 배당에 쏟아부었다. 올해 누적 배당률은 16%에 달한다. 한샘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IMM이 투자금 회수를 위해 배당을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6일 한샘은 0.39% 상승한 5만2100원에 장을 마쳤다. 전날 부진한 3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배당 정책 덕에 주가가 소폭 올랐다. 이번 분기배당으로 주당 6200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전날 종가와 비교하면 시가 배당률은 10%를 웃돈다. 3분기 한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540억원, 73억원으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보다 각각 3.4%, 17.05% 낮았다. 두 분기 연속 컨센서스를 밑돌았다.기대에 못 미친 실적에도 한샘이 ‘폭탄 배당’을 할 수 있었던 건 서울 상암동 본사 사옥 매각 자금 덕이다. 한샘은 최근 상암사옥을 그래비티자산운용에 3200억원에 팔았다. 사옥 매각으로 한샘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역대 최대(930억원)를 기록했다.한샘의 고배당 정책은 2021년 한샘 경영권을 주당 약 22만원에 인수한 IMM의 고육지책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인수 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한샘 주가가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자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 1분기(주당 750원)와 2분기(1580원) 배당금을 더하면 올해 누적 시가 배당률은 16.4%에 육박한다. 2022년 713억원 순손실에도 131억원을, 작년에는 622억원 순손실을 냈음에도 747억원을 배당했다.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 사옥 매각금이 신사업 투자 대신 배당에 투입되자 한샘 자본이 사모펀드 배불리는 데만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IMM이 조성한 펀드인 하임유한회사 1호와 2호가 보유한 한샘 지분은 총 34.14%다. 한샘은 올해 처음으로 리바트에 업계 1위 자리를 내줬다.심성미

  • 3200억에 사옥 팔아 '폭탄 배당' 해줬는데…논란 폭발한 까닭

    3200억에 사옥 팔아 '폭탄 배당' 해줬는데…논란 폭발한 까닭

    한샘이 사옥을 판 대금을 배당에 쏟아부었다. 올해 누적 배당률은 16%에 달한다. 2021년 한샘 경영권을 주당 약 22만원에 인수했지만 최근 주가가 5만원대까지 급락하면서 큰 손해를 본 사모펀드 IMM이 배당을 통해 투자금 일부를 회수한 것으로 풀이된다.6일 한샘은 2.5% 상승한 5만3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부진한 3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도 불구하고 주가가 반등한 건 배당 정책 덕분이다. 이번 분기배당으로 지급되는 1주당 배당금은 6200원이다. 전날 종가와 비교하면 시가 배당률은 10%를 웃돈다. 3분기 한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540억원, 73억원으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각각 3.4%, 17.05% 하회했다. 두 개 분기 연속 컨센서스를 밑돌았다. 기대에 미치지 못한 실적에도 한샘이' 폭탄 배당'을 실시할 수 있었던 건 최근 매각한 서울 상암동 본사사옥 매각 대금 때문이다. 한샘은 최근 상암사옥을 그래비티자산운용에 3200억원에 매각했다. 대신 건물 가치 상승에 대한 이익 공유와 안정적 임차 공간 확보를 위해 그래비티에 200억원을 투자했다. 한샘은 상암사옥을 '매각 후 재임대' 방식으로 임차해 사용하고 있다. 상암 사옥을 매각하면서 한샘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역대 최대(930억원)를 기록했다. 한샘의 고배당 정책은 지난 2021년 한샘 경영권을 주당 약 22만원에 인수한 사모펀드 IMM의 고육지책이라는 분석이다. 인수 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한샘 주가가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자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 1분기(주당 750원)와 2분기(1580원) 배당금까지 더하면 올해 누적 시가 배당률은 16.4%에 달한다. 다만 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 사옥 매각금이 신사

  • 하나손해보험 사옥, 하나자산신탁 리츠로 매각

    MARKET

    하나손해보험 사옥, 하나자산신탁 리츠로 매각

    하나손해보험이 서울 종로구 사옥을 계열사인 하나자산신탁의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로 매각한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하나트러스트제8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가 지난 12일 부동산투자회사 영업등록을 신청했다. 하나자산신탁이 운영하는 하나트러스트제8호 리츠는 종로구 인의동 112의1번지 소재 하나손해보험빌딩을 매입해 임대운영 후 매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리츠 인가 후 640억원의 자금을 모집할 예정이다. 이 건물은 지하 3층~지상 12층 규모다. 1982년 준공됐지만 2018년 리모델링을 마쳤다. 하나손해보험이 사옥으로 쓰고 있다. 하나손해보험은 올해 상반기부터 사옥 매각을 추진해왔다. 지난 7월 매각 주관사로 에스원&딜로이트 회계법인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업계에서는 하나손해보험이 사옥 매각 후 재임대하는 세일앤리스백 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 보유시 위험 부담이 커지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비용 효율화를 이루기 위해서다. 이 같은 이유로 수년째 여러 보험사들이 소유 건물 매각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롯데손보가 남창동 사옥을 캡스톤자산운용에 2240억원에 ‘매각 후 재임대’했으며, 신한생명도 작년 9월 신한리츠운용에 서울 중구 신한 엘타워 사옥을 2800억원에 팔고 임대 사용하고 있다.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태평양물산, 미래에셋자산운용 사옥매각 제안 거절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업체인 태평양물산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사옥 매각 제안을 거절했다.태평양물산은 19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주주 제안으로 제시한 본사 사옥을 포함한 유휴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비율 조정방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태평양물산 지분 6.51%를 들고 있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달 말 태평양물산에 서한을 보내 높은 자산매각을 통해 높은 부채비율을 낮출 것을 촉구했다.이 회사 관계자는 “본사 사옥을 매각한 뒤 재임차하는 방식을 검토한 결과 이익과 손실이 비슷해 기업가치 개선효과가 미미했다”며 “수익성을 개선해 부채를 줄이는 방식으로 투자자산을 가치를 높이겠다는 내용을 미래에셋자산운용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태평양물산의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266%로 2016년 말보다 123%포인트 하락했다. 최근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조금씩 재무적 부담을 줄여가고 있다. 이 회사는 2017년 23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지난해엔 이익 규모를 350억원으로 늘렸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