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태영發 PF 위기에 덜덜 떠는 증권주

    태영건설에서 시작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로 증권주가 연초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실적도 PF 관련 충당금과 해외 부동산 손실이 반영되면서 ‘어닝쇼크’가 났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증시가 개장한 지난 2일부터 전날까지 ‘KRX 증권지수’는 6.73% 하락했다.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KRX 업종지수 가운데 가장 수익률이 부진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수익률(-4.27%)도 밑돌았다.지난달 태영건설에서 시작된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가 건설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PF 노출 비중이 높은 증권사로 불똥이 튀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작년 9월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3.8%로 저축은행(5.5%), 여신전문금융사(4.4.%) 등 다른 업권보다 훨씬 높은 연체율을 보이고 있다.증권사들의 4분기 실적 전망도 기존 전망치를 밑돌았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데다, 작년 해외 부동산 투자로 손실을 본 일부 증권사는 관련 손실의 추가 반영이 불가피하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 한국금융지주 등 주요 증권사 5개 회사의 4분기 지배주주순이익 추정치 합산액은 1개월 전 4152억원에서 이날 기준 3241억원으로 21.9% 낮아졌다.배태웅 기자

  • 신평사들 "내년 증권사 신용 부정적" 한목소리

    신용평가사들이 내년 증권사 신용 전망에 대해 잇달아 부정적 평가를 내놨다. 고금리 기조 속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15일 한국기업평가는 ‘2023년 산업 신용 전망’을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 증권업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전반적인 거래 위축이 이어지고, 투자은행(IB) 부문의 실적 감소도 두드러질 것이란 예상이다.특히 부동산 PF 리스크에 발목을 잡힐 전망이다. 한기평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23개 증권사의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총 24조3000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37% 수준이다. 3월 말(25조3000억원)과 비교하면 소폭 감소했으나 자금시장 경색이 지속될 경우 중소형 증권사는 유동성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는 게 한기평 분석이다.한국신용평가도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증권업 신용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동산금융의 건전성이 떨어지면서 자기자본투자(PI) 손실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배태웅 기자

  • 저축銀 건전성 '빨간불'…부실대출 40% 늘어

    저축銀 건전성 '빨간불'…부실대출 40% 늘어

    저축은행업계의 자산건전성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올초까지 지속된 ‘빚투’ 열풍을 타고 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상황에서 금리 인상 이후 손실을 본 차주들이 고금리 대출을 못 갚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자영업자 대출 만기 연장 조치 종료를 앞둔 가운데 사업자 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금융업계의 부실화 징후가 저축은행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출자산 부실화 빨라져1일 저축은행업계 올 2분기 공시에 따르면 SBI·OK·웰컴·페퍼·애큐온저축은행 등 가계대출이 많은 상위권 저축은행 5곳의 부실여신은 작년 6월 말 9836억원에서 올해 6월 말 1조4072억원으로 43.06% 늘어났다. 부실여신은 총대출잔액 중 회수의문과 추정손실로 분류된 대출이다. 추정손실은 사실상 손실이 확정된 대출이며, 회수의문은 6개월 이상 연체된 무담보대출을 뜻한다.연체기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인 요주의 채권 증가세도 심상치 않다. 이들 5개 저축은행의 요주의 채권은 지난 6월 말 6조9784억원으로 6개월 만에 27.7% 늘었다. 총대출잔액 증가율(14.6%)보다 더 가파른 증가세다.저축은행이 손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늘리고 있지만 대출 자산 부실화는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작년 6월 대비 올해 6월 기준으로 SBI저축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저축은행의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모두 상승했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고정이하여신에서 대손충당금을 제외한 대출잔액 비중이다. 이 비율이 높아진다는 건 미리 쌓아둔 대손충당금이 부족할 정도로 부실채권이 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OK저축은행의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같은 기간 1.87에서 2

  • "부동산 PF대출 부실화 가능성 어느 때보다 높다"

    MARKET

    "부동산 PF대출 부실화 가능성 어느 때보다 높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국내 PF대출 합계는 올해 3월말 기준 4조5000억원으로 2018년 말(2조1000억원)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사업계획 대비 공정률이 저조하거나 분양률이 저조한 경우 등 부실화 가능성이 커졌다는 진단이다.17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요주의'로 분류된 PF 대출 비율이 지난해 12월 17.2%에서 올해 3월말 18.7%로 1.5%포인트 증가했다. 2018년 말(8.6%)과 비교하면 10.1%포인트나 늘었다.안태영 한기평 책임연구원은 "요주의로 분류된 원인 중 시공사의 법적절차 진행 등으로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거나 사업이 중단된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심지어 철근, 시멘트 등 자재수급 차질로 공정이 지연된 경우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부실화 가능성을 분석하는 기준인 요주의 PF 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224개 사업장, 7041억원이었다. 요주의로 분류된 원인은 사업계획 대비 공정률 저조가 66%로 가장 많았고 사업계획 대비 분양률 저조가 22%, 연체 1%, 사업완료 후 미상환 1%, 기타(자료 미확보 등) 11% 순이었다.가장 부실화가 우려되는 지역은 인천경기가 44%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29%였다. 물건별로는 근린생활시설이 33%로 가장 높았고 오피스텔 20%, 아파트 9%, 주상복합 3%였다.요주의로 분류되는 PF대출 이외의 리스크도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기평에 따르면 정상으로 분류되는 PF대출 중에도 고위험 대출이 포함돼있고 브릿지론의 본PF 전환 지연에 따라 브릿지론 부실 가능성이 확대된 상황이다. 또 부동산담보대출의 건전성 저하까지 동시에 나타날 경우 실질적인 리스크는 더 커질 것이란 분석이다.한기평 관계자

  • [마켓인사이트][산업 리포트] 거센 구조조정 겪어내고 '부활'한 저축은행에 드리운 또 다른 '그림자'

    [마켓인사이트][산업 리포트] 거센 구조조정 겪어내고 '부활'한 저축은행에 드리운 또 다른 '그림자'

    ≪이 기사는 11월08일(03:4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저축은행들에 2011년은 악몽으로 기억된다. 수면 아래 감춰져 있던 일부 경영진과 대주주의 불법 행위가 도미노처럼 드러났고,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촉발된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대거 부실화했다.과도하게 위험을 감수했던 영업 활동의 여파까지 맞물리면서 저축은행은 추풍낙엽처럼 무너졌다. 영업이 정지된 저축은행들은 급하게 제3자에 넘어갔다.2011년 구조조정 이전까지 저축은행 소유자는 주로 개인과 일반 기업이었다.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은행계 금융지주회사와 증권사가 저축은행 인수에 적극 뛰어들었다. 일부 대부업체도 동참했다.구조조정이 마무리된 뒤 저축은행들은 전열을 가다듬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쪼그라든 자산을 불리기 시작했고 수익성도 개선했다. 이러면서 2014년 6월 말 이후 2019년 6월 말까지 저축은행업은 연평균 10% 이상의 자산 성장세를 기록했다.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업의 순이익은 1조1000억원에 달했다. 구조조정 이후 저축은행업을 이끈 건 외국계와 대부계 저축은행이었다. 적극적인 유상증자로 공격적으로 대출에 나서면서 2016년엔 자산 성장률이 30%를 웃돌았다. 지난해에도 20%를 훌쩍 넘어섰다. 특히 가계와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계성 대출이 자산 성장을 견인했다.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2015년 말만해도 저축은행의 가계성 대출은 20조5000억원 정도였다. 전체 대출의 58.5% 수준이다. 올 상반기 말 기준으로는 17조7000억원 증가한 38조2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64.5%를 차지하고 있다.가파른 성장이 한계에 부딪힌 걸까. 올 들어 저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