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트업이 간판 바꾸는 이유
최근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스타트업이 회사 간판을 잇따라 바꾸고 있다. 주로 기업이미지(CI), 브랜드이미지(BI) 등을 변경하는 방식이다. 회사에 참신함을 더하고 서비스 및 제품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다.가사 청소 서비스 ‘청소연구소’ 서비스를 운영하는 생활연구소는 지난 3월 창업 후 5년여 만에 회사 로고를 교체했다. 기존 서비스 이름 전체를 보여주는 방식에서 청소연구소의 줄임말인 ‘청연’의 자음을 따 ‘ㅊㅇ’으로 변경했다. 서비스 관련 캐릭터인 ‘청연이’도 만들었다. 박지환 생활연구소 디자인 총괄 이사(CDO)는 “창업 초기에는 청소 연구소라는 서비스를 알리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지금은 청소 대행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며 “서비스 확장 계획에 따라 BI를 변경했고 고객들이 청소연구소를 ‘청연’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설명했다.세탁서비스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의식주컴퍼니도 최근 3년 만에 새로운 BI를 공개했다. 런드리고는 디자인 전문업체와 6개월 동안 새로운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했다. 기존 로고의 형광 연두색을 푸른빛이 섞인 민트색으로 교체했다. 전용 서체도 개발해 새로운 BI에 녹였다.꽃 정기 배달 스타트업 꾸까도 BI를 변경했다. 검정, 노랑 등 대비가 강한 원색을 활용했고 글자는 굵어졌다. 박춘화 꾸까 대표는 “최근 개별 상품보다 브랜드를 소비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신규 BI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세무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 데이터 기반 농업 서비스 스타트업 그린랩스, 프리랜서 플랫폼
-
군포에 세계 최대 세탁소 차리는 스타트업…"하루 20만벌 물빨래 가능"
“지금 사무실에 있는 40여 명의 직원이 점심 마치고 곧바로 현장(공장) 지원 나가겠습니다. 강서 27명, 성수 15명 갑니다.”모바일 세탁 대행 서비스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의식주컴퍼니의 조성우 대표가 지난 14일 사내 업무용 메신저 슬랙을 통해 공장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다. 쏟아지는 세탁 물량을 감당할 수 없자 사무직 직원들까지 총출동한 것이다. 조 대표는 “최근 물량 폭주에 주문을 제한하고 있다”며 “배송 지연 등 고객 불만을 최소화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하루 3만 벌…급증하는 세탁 대행모바일 세탁 대행 서비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 드라이클리닝이나 물빨래 등을 신청하면 당일 집앞에서 수거한 뒤 하루 만에 가져다주는 서비스다. 비용은 와이셔츠 10벌 기준으로 배송비(3500원)를 포함해 2만1500원 정도다.업계 1, 2위를 다투는 세탁특공대(워시스왓)와 런드리고(의식주컴퍼니)는 최근 하루에 2500~3000가구 정도의 물량을 받고 있다. 가구당 평균 10벌가량 주문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 두 업체가 각각 하루 3만 벌을 세탁하는 셈이다. 이들 업체는 설비를 풀가동하고 있지만 몰리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주문을 조기 마감하거나 수거일을 늦추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서비스 수요가 가파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봄맞이 성수기 세탁 수요까지 겹쳐 나타난 현상이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야외 활동과 출근이 늘어난 점도 세탁 수요가 폭증한 배경으로 꼽힌다.작년 초와 비교하면 매출과 이용자 수가 모두 3배 이상 증가했다는 게 세탁 스타트업계 설명이다. 세탁특공대와
-
'비대면 세탁' 런드리고, 알토스벤처스·소뱅 등으로부터 500억 투자 유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7일(16: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최초 비대면 모바일 세탁서비스 시대를 열었던 ‘런드리고’가 5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런드리고를 운영사 의식주컴퍼니는 신규 투자사인 산업은행을 비롯해 기존 투자사인 알토스벤처스, 디에스자산운용, 삼성벤처투자, 소프트뱅크벤처스 등의 후속 투자로 총 5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산업은행은 의식주컴퍼니의 성장성과 모바일을 통한 혁신성을 높이 평가해 투·융자 복합 금융으로 300억원을 투입했다. 또 리드 투자사 알토스벤처스는 의식주컴퍼니가 진행했던 세 번의 기관 투자 라운드에 모두 참여했다. 런드리고는 2019년 3월 서비스를 오픈한 이후 월 평균 15%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미국 세탁 스마트팩토리 EPC(설계, 구매, 건설) 전문 기업인 에이플러스 머시너리 (A+Machinery)를 인수하며 세계 최초로 고객별 자동 출고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최근 서울 성수동에 독자 기술로 런드리고 2호 스마트팩토리를 열었다. 현재 서울 전역, 일산, 분당, 김포, 송도 등에서 서비스 중이다. 연내 수도권 대부분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조성우 의식주컴퍼니 대표는 “100% 오프라인에만 의존했던 세탁 산업을 런드리고만의 비대면 방식을 통해 개척해 왔다“며 “아직 모바일 세탁 산업이 극초기 단계인 만큼 향후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모바일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진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비대면 세탁서비스' 런드리고…VC로부터 65억원 투자 유치
≪이 기사는 05월16일(17: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모바일 세탁서비스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의식주컴퍼니가 소프트뱅크벤처스 등 벤처캐피털(VC) 3곳으로부터 65억원을 투자 받았다고 16일 발표했다.이번 투자에는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알토스벤처스, 하나벤처스가 참여했다. 런드리고는 고객과 직원이 직접 만나지 않는 ‘비대면’을 강조한 세탁 서비스다. 고객은 세탁물을 맡기거나 찾기 위해 직원과 시간 약속을 잡을 필요 없이 현관문 앞 빨래 수거함(런드렛)에 세탁물을 넣어두기만 하면 된다. 런드리고 직원이 일괄 수거한 뒤 24시간 만에 세탁을 마치고 되돌려준다. 밤 12시까지 맡기면 다음날 밤 12시 전에 받을 수 있다.런드리고는 지난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울 강남, 서초, 송파, 마포, 용산, 동작, 성동 영등포 등 서울 8개구에서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시작 후 약 1000가구를 유료 고객으로 확보했다. 의식주컴퍼니는 빠른 시일 내로 서울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의식주컴퍼니는 지난해 조성우 대표가 설립했다. 조 대표는 2011년 정기배달업체 덤앤더머스를 창업해 2015년 배달의민족에 매각하고, 배민프레시 대표를 역임한 바 있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