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中 2위 부동산' 완커 신용등급 강등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중국 2위 부동산업체 완커의 신용등급을 ‘투자 부적격’으로 강등했다. 완커는 아직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직면하지 않은 중국 대형 부동산 업체로 꼽히지만 결국 유동성 위기를 피해 갈 수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무디스는 완커의 신용등급을 투자 적격 등급 가운데 가장 낮은 Baa3에서 투자 부적격 등급인 Ba1으로 한 단계 낮췄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완커는 이번 등급 하향 조정에 따라 투기 등급으로 분류된다.무디스는 추가 하향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카벤 창 무디스 수석부사장은 “향후 12~18개월 신용지표와 재정 유연성, 유동성 완충 장치가 약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중국 부동산 침체가 지속돼 매출이 감소하고 자금 조달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덧붙였다. 이에 완커는 12일 로이터에 “현재 회사 운영과 차환은 정상적이고 자금 조달도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신용등급 하향에 따른 충격도 통제 가능하다”고 반박했다.완커는 최근 급속도로 재무 상황이 악화했다. 올해 1~2월 완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급감했다. 내년 6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완커 역외채권은 140억위안(약 2조5554억원), 역내채권은 200억위안(약 3조6507억원) 규모다. 중국 당국은 국유기업인 완커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은행에 직접 금융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채권자들에게는 부채 만기 연장을 촉구했다. 하지만 중국 공상은행과 건설은행은 완커의 신용 보강이 부족하다며 45억홍콩달러(약 7544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에 대한 승인을 완료하지 않고 있다.헝다와 비구이위

  • 무디스, 中 2위 부동산업체 '완커' 투자부적격 등급으로 강등

    무디스, 中 2위 부동산업체 '완커' 투자부적격 등급으로 강등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중국 2위 부동산업체 완커 신용등급을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강등했다. 완커는 아직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직면하지 않은 중국 부동산 대형 업체로 평가 받았지만 결국 유동성 위기를 피해갈 수는 없었다는 평가가 나온다.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무디스는 완커의 등급을 투자적격등급 가운데 가장 낮은 Baa3에서 투자부적격 등급인 Ba1으로 한 단계 낮췄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완커는 이번 등급 하향으로 투기 등급으로 분류됐다. 무디스는 추가 하향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카벤 창 무디스 수석 부사장은 이번 등급 강등에 대해 "향후 12~18개월 신용지표와 재정 유연성, 유동성 완충 장치가 약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중국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며 매출 감소와 자금 조달 접근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덧붙였다. 이에 완커는 12일 로이터에 "현재 회사 운영과 차환은 정상적이며 자금 조달도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신용등급 하향에 따른 충격도 "통제 가능"하다고 밝혔다. 완커는 최근 급속도로 재무 상황이 악화됐다. 매출은 줄고 채무가 늘면서다. 올해 첫 두 달 동안 완커 매출은 전년 대비 40% 줄었다. 내년 6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역외채권도 약140억위안(약 2조5554억원)이며 역내채권은 약 200억위안(약 3조6507억원)에 달한다. 이같은 상황에 중국 당국은 국영기업인 완커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은행들에 직접 금융 지원을 요청했다. 채권자들을 향해서는 부채 만기 연장을 촉구했다. 하지만 중국 공상은행과 건설은행은 완커에 대해 신용보강이 부족하다며 45억 홍

  • '든든한 그룹' 우리금융저축은행 신용도 상승…SBI는 단일 저축은행 최초 A등급

    '든든한 그룹' 우리금융저축은행 신용도 상승…SBI는 단일 저축은행 최초 A등급

    저축은행들의 신용도가 상승하고 있다. 높은 대출 성장률과 양호한 수익성 덕분에 영업 환경의 실적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13일 우리금융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을 기존 ‘A-(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여력을 높이면서 사업 기반이 강화된 게 신용등급 상승을 이끌었다. 우리금융지주는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3월 우리금융저축은행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편입 후엔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도 시행했다.탄탄한 실적 흐름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회사의 당기순이익은 140억원으로 전년(111억원) 대비 26.1% 증가했다. 우리은행, 우리금융캐피탈 등 우리금융그룹 계열사와 고객군을 공유하는 등 연계 영업을 확대할 전망했다.비지주계열 단일 저축은행으로는 최초로 기업신용평가 'A' 등급을 획득한 사례도 등장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10일 SBI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을 기존 ‘A-(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올렸다.중금리 개인신용대출을 바탕으로 저축은행 산업 1위의 시장지위를 보유한 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13조2000억원으로 저축은행 업계 1위를 지켰다. 자기자본 1조5000억원, BIS자본비율 14.7%, 고정이하여신비율 2.7%로 자산건전성도 양호한 편이다.다만 올해 저축은행의 성장세가 주춤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서연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정책의 종료 및 시중금리 상승이 본격화될 경우 자산건전성 저하

  • 국민연금, 기금운용 평가서 1년만에 '양호'등급 회복

    국민연금, 기금운용 평가서 1년만에 '양호'등급 회복

    지난해 정부의 자산운용평가에서 사실상 최저 등급인 '보통'을 받으며 굴욕을 맛봤던 국민연금기금이 1년 만에 '양호' 등급으로 복귀했다. 지난해 11.31%로 준수한 수익률을 기록했고, 해외·대체투자 확대를 위해 과감히 조직을 개편하는 등 혁신 노력을 기울인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기획재정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기금평가 결과’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기금평가는 정부가 기금의 존치 여부와 운용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제도다. 올해는 민간 전문가 35명으로 구성된 평가단이 참여했다. 평가단은 올해 국민연금을 비롯해 총 45개 공공기금의 운용 적정성을 평가했다. 올해 2월 말 기준 737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은 지난해 ‘보통’ 등급에서 올해 ‘양호’ 등급으로 한 단계 등급이 상승했다. 국민연금은 국내 다른 기금과 달리 2017년부터 일본 연금적립금관리운용 독립행정법인(GPIF), 미국 캘리포니아주 공무원연금(CalPERS), 캐나다 공적연기금(CPPIB)등 국민연금기금과 규모와 성격이 비슷한 세계 5대 연기금과 비교해 운용 성과 및 적정성을 평가 받고 있다.국민연금이 이번에 받은 ‘양호’는 △탁월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아주 미흡 등 6개로 나뉘어지는 평가 등급 가운데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다른 기금과 별도로 평가되지만 매년 '미흡' 이하 등급을 받는 기금이 많아야 1곳 정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국민연금은 사실상 최저 등급을 받은 셈이다. 이번 등급 상승은 국민연금이 적

  • 한국신용평가, 대우조선 등급 'B-(하향검토)' 하향

    이 기사는 03월24일(09: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국신용평가가 대우조선해양 신용등급을 기존 'B(하향검토)'에서 'B-'(하향검토)로 한 단계 떨어뜨렸다. 워크아웃(채권단 공동관리) 때 부여하는 'CCC' 바로 위 등급이다.홍석준 한국신용평가 연구위원은 23일자 평가보고서에서 "정부가 발표한 구조조정 추진 방안에 따라 회사채 원리금 손상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최대주주인 한국산업은행과 최대 채권금융기관인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23일 회사의 유동성 부담 등을 이유로 구조조정 추진방안을 확정했다. 방안에 따르면 모든 채권자의 자율적 채무조정(회사채의 경우 50%의 출자전환, 50%의  3년 유예 및 3년 분할상환)과 신규 자금지원을 우선 추진하고, 합의 무산시 복합형 구조조정  제도인 P-플랜(Pre-Packaged Plan)을 신청할 계획이다.홍 연구위원은 "자율적 합의 또는 P-플랜을 통한 채무재조정이 현실화하면 원리금 손상과 더불어 신용등급의 추가 강등이 불가피하다"며 "사채권자집회 등을 포함한 구조조정 안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주시하면서 신용등급을 조정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