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닭고기 가격 인상한 하림·사조대림 3%대 강세

    닭고기 가격 인상한 하림·사조대림 3%대 강세

    식음료 업계가 잇따라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주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최근 농심이 제품 가격인상 이후 주가가 급등한 데 이어 닭고기 가격을 올리겠다고 예고한 하림, 사조대림의 주가도 상승하고 있다.25일 하림 주가는 3.37% 상승한 3065원에 거래 중이다. 하림은 내달 닭가슴살(갈릭·블랙페퍼 110g) 제품 가격을 3400원에서 3700원으로 8.8%, 닭가슴살소시지를 2300원에서 2500원으로 8.7% 각각 올리기로 했다. 하림 측은 "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닭 가격이 많이 오른데다 물류비도 최근 크게 오른 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사조도 내달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닭가슴살(오리지널·블랙페퍼 100g) 가격을 3300원에서 3700원으로 12.1% 올릴 예정이다. 이날 오전 사조대림 주가는 3.17% 상승한 2만77원에 거래 중이다. 최근 음식료 업계에서는 경쟁적으로 가격 인상이 이뤄지고 있다. 대상의 대표 조미료 '미원'(100g)은 2400원에서 2700원으로 12.5% 인상된다. 대상은 무뼈닭발 간편식 '안주야' 가격도 8900원에서 9500원으로 6.7% 올린다. 유가공품 치즈 가격도 줄줄이 오른다. 빙그레가 국내 유통하는 프랑스 치즈브랜드 '벨큐브 플레인'(78g) 가격도 내달부터 6000원에서 6900원으로 15% 오른다. 동원의 체다치즈(5매입)는 내달 2000원에서 2400원으로 20% 인상된다. 매일유업 썬업 과일야채(190㎖) 음료는 1800원에서 2000원으로 11.1% 오른다.증권가에서는 잇따른 가격인상으로 올 하반기 이후 식음료 업계의 실적 수준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잠잠해지기 시작하고 원재료 가격이 다시 하락세를 보이면 ‘식음료 원자재 가격 상승→판매가 인상→원

  • ‘손실 누적’ 마니커, 247억 유상증자 결정

    ‘손실 누적’ 마니커, 247억 유상증자 결정

    실적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닭고기업체 마니커가 247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마니커는 24일 이사회을 열고 신주 400만주를 주당 617원에 발행하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납입일 예정일은 9월 25일이다.조달 자금 가운데 40억원은 차입금 상환에 쓰고, 나머지는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농림축산식품부 도축실적자료에 따르면 마니커는 도계(屠鷄) 수 기준 작년 육계시장의 7.3%를 점유했다. 1위 하림은 18.6%, 올품과 동우는 각각 8.6%와 8.3%를 나타냈다. 유상증자는 2016년 이후 4년만이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17년부터 3년 연속 100억원 넘는 순손실을 냈다. 올해 1분기에는 154억원의 순손실을 냈다.청약 예정일은 구주주 기준 오는 9월 17~18일, 일반주주는 9월 22~23일이이다. 대표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공모주 일반 청약 격돌 마니커에프앤지-나노브릭, 엇갈린 성적표 받아

    닭고기 가공업체 마니커에프앤지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진행한 일반 청약에서 1200대1 이상의 경쟁률을 내며 흥행에 성공했다. 최근 증시 침체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분위기에서도 좋은 결과를 냈다는 평가다. 반면 같은 시기에 일반 청약을 진행한 나노브릭은 저조한 성적에 그쳤다.   8일 마니커에프앤지의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인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이틀 동안 진행한 일반 청약에서 최종 경쟁률은 1216.5대 1로 집계됐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올 들어 세번째로 높은 일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신청금액의 절반인 청약증거금으론 1조2651억원이 몰렸다. 마니커에프앤지는 생닭을 가공해 BBQ치킨, 버거킹 등 유명 프랜차이즈에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하는 가정을 위한 전용제품을 내놓기도 했다. 이 회사는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에 입점을 준비 중이다.  마니커에프앤지와 같은 기간에 일반 청약을 받은 나노브릭은 부진한 성적을 냈다. 나노브릭 IPO 대표주관사인 KB증권에 따르면 나노브릭의 일반 청약 경쟁률은 2.6대 1로 마무리됐다. 청약증거금은 19억원이다. 나노신소재를 활용한 정품인증 필름 등을 만드는 나노브릭은 지난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에서도 39.3대 1의 경쟁률을 냈다. 역시 같은 일정으로 일반 청약을 진행한 미래에셋대우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3호의 경쟁률은 508대 1로 집계됐다. 청약증거금으론 6523억원이 들어왔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