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美은행, 대출 심사때 날씨도 따진다

    미국 은행들에 기후변화가 주요 리스크로 떠올랐다. 홍수로 침수된 집과 태풍으로 손상된 유전 등 이상기후가 은행의 주 고객인 기업과 가정의 자산에 예측 불가능한 타격을 주고 있어서다. 전 세계를 덮친 이상기후가 점점 많은 분야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자 미 당국과 은행들은 이를 대비하기 위한 조치를 내놓고 있다.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앨라배마주 버밍햄의 지역은행 리전스 사례를 소개했다. 리전스 본사에 있는 ‘날씨 팀’은 매일 날씨를 관측하고 분기마다 기상 보고서를 작성한다. 재해 매뉴얼을 정기적으로 수정하는 것도 기상팀의 업무다. 남부 은행인 리전스의 1300여 개 지점이 허리케인과 토네이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퍼져 있어서다.리전스는 대출심사 및 모니터링 기준에도 기후변화를 포함시켰다. 주택담보대출을 승인하기 전 부동산이 홍수 등 자연재해에 얼마나 노출돼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업대출에선 유전이나 목재 생산지 같은 주요 기반이 특정 지역에 집중돼 있는지 등을 고려하는 식이다. 이상기후가 기업과 가계의 신용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WSJ는 “이제 모든 유형의 기업이 폭염과 폭풍, 홍수, 산불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은행들은 어떤 기업 및 가계와 거래해도 될지, 이상기후가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어느 정도일지 재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미 당국도 은행의 기후변화 리스크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Fed)과 재무부 통화감독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등은 자산 규모 1000억달러 이상인 은행은 사업전략 수립과 리스크 관리 등 사업의 모든 부문에 기후변화 리스크를 고려해야

  • 美 은행, 대출심사서 '기후변화' 평가…"모든 기업 위험 노출"

    美 은행, 대출심사서 '기후변화' 평가…"모든 기업 위험 노출"

    미국 은행들에 기후변화가 주요 리스크로 떠올랐다. 홍수로 침수된 집과 태풍으로 손상된 유전 등 이상기후가 은행의 주 고객인 기업과 가정의 자산에 예측 불가능한 타격을 입히고 있어서다. 전 세계를 덮친 이상기후가 점점 많은 분야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자 미 당국과 은행들은 이를 대비하기 위한 조치들을 내놓고 있다.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앨라배마주 버밍햄의 지역은행 리전스의 사례를 소개했다. 리전스 본사에 있는 ‘날씨 팀’은 매일 날씨를 관측하고 분기마다 기상 보고서를 작성한다. 재해 매뉴얼을 정기적으로 수정하는 것도 기상팀의 업무다. 남부 은행인 리전스의 1300여개 지점들이 허리케인과 토네이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들에 퍼져 있어서다.리전스는 대출심사 및 모니터링 기준에도 기후변화를 포함시켰다. 주택담보대출을 승인하기 전 부동산이 홍수 등 자연재해에 얼마나 노출돼 있는지를 확인하고, 기업대출의 경우 유전이나 목재 생산지 같은 주요 기반이 특정 지역에 집중돼 있는지 등을 고려하는 식이다. 이상기후가 기업과 가계의 신용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WSJ은 “이제 모든 유형의 기업이 폭염과 폭풍, 홍수, 산불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은행들은 어떤 기업 및 가계와 거래해도 될지, 이상기후가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어느 정도일지 재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미 당국도 은행들의 기후변화 리스크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Fed)과 재무부 통화감독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등은 자산 규모 1000억달러 이상인 은행들이 사업전략 수립과 리스크 관리 등 사업의 모든 부

  • 공무원연금도 국민연금처럼.."환 노출 확대·스튜어드십코드 도입"

    공무원연금공단(이하 공무원연금)이 기금 운용의 목표와 투자정책 및 전략을 명시한 기준서인 금융자산운용지침(IPS)을 개정한다. 그간 환 헤지 원칙을 고수해온 해외 대체투자는 헤지하지 않는 것을 기조로 삼고, 올해 초 도입한 스튜어드십코드(수탁자책임의 원칙)를 지침에 반영하는 것 등이 골자다.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공무원연금은 지난 4월말 이사회에 금융자산운용지침 일부 개정안을 보고했다. 이번 지침 개정안에는 환 헤지 정책 변경,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비롯해 공무원연금이 운용하는 금융자산의 2021~2025년도 전략적 자산배분 계획 조정 등의 내용이 담겼다. 공무원연금은 오는 25일 열리는 공무원연금운영위원회에 개정안을 상정해 개정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이번 개정을 통해 해외 대체투자의 환헤지 원칙을 ‘비(非) 헤지’로 바꾼다. 환헤지는 미래 환율을 고정시켜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는 수단이다. 공무원연금은 해외 주식은 헤지하지 않고, 해외 채권은 변동성과 수익률 수준 등을 고려해 100% 헤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만 대체투자 분야는 사모펀드(PEF), 부동산, 인프라 등 상품별 특성이 다양한 만큼 비헤지를 원칙으로 하되 사안에 따라 헤지 비율 설정이 가능하도록 했다.올초 공식적으로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