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KB증권, 작년 상·하반기 모두 1위…증시 혼란 속 베테랑 빛났다

    KB증권, 작년 상·하반기 모두 1위…증시 혼란 속 베테랑 빛났다

    지난해 하반기에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애널리스트를 뽑는 조사에서 베테랑 연구원이 대거 이름을 올렸다. 신진 연구원이 주목받은 지난해 상반기 조사와는 정반대 결과다. 작년 하반기부터 투자 환경이 나빠지자 베테랑의 저력이 발휘된 것으로 분석된다. 베스트 증권사 자리는 지난해 상반기에 이어 연속으로 KB증권에 돌아갔다. 불안한 증시에 돋보인 베테랑들한국경제신문 자매지인 한경비즈니스는 1998년부터 국내 연기금, 자산운용사, 은행, 보험사 등의 펀드매니저를 대상으로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베스트 증권사와 애널리스트를 선정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5일부터 12월 6일까지 진행한 ‘2024년 하반기 베스트 증권사 애널리스트’ 설문에는 총 1620명의 펀드매니저가 응답했다.이번 조사에선 특히 베테랑 애널리스트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상반기 평가 땐 11명의 신예가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꼽히며 세대교체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하반기에 뽑힌 신진 연구원은 1명(하건형 신한투자증권·원자재)에 불과했다. 하 연구원은 원자재 분야에선 처음으로 베스트 애널리스트에 뽑혔지만, 이미 거시경제 분야에서 수차례 베스트 애널리스트에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신예 베스트 애널리스트가 사실상 없는 셈이다.지난해 하반기 국내 증시가 급격히 침체하고 예기치 못한 악재까지 연이어 터져 아직 경험이 부족한 신진 연구원보다 관록이 쌓인 연구원이 두각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2개 부문에서 1위에 오른 2관왕도 4명이나 나왔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와 전기전자·가전 부문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하건형 연구원도 거

  • 1조 공모펀드 매니저들 "하반기 시장 기·대 하라"

    1조 공모펀드 매니저들 "하반기 시장 기·대 하라"

    상장지수펀드(ETF)가 부상하면서 공모펀드의 입지가 좁아지는 상황에도 1조원 이상의 운용자산을 굴리는 ‘매머드’ 펀드들은 여전히 살아 있다. 확고한 투자 원칙을 세우면서도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고 있어서다. 이들 펀드의 책임운용역들에게 올 하반기 시장 전망을 물었다. 상반기가 일부 종목 중심의 테마주 장세였다면, 하반기엔 실적을 앞세운 대형주가 주도할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전기차와 반도체 등 대형 기술주를 유망 종목으로 추천하는 가운데 철강, 조선 등 경기 민감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철강·조선 등 산업재 주목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를 2017년 출시부터 이끌어 오고 있는 황우택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퀀트운용부 수석은 하반기 시장에 대해 “금리 인상 중단이 임박했다는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며 성장주와 기술주의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망 종목으로는 “업종 측면에선 산업재와 헬스케어, 자유소비재, 테마 측면에서는 반도체와 인공지능(AI), 전기차”라고 했다.황 수석은 특히 산업재 내에서도 철강, 조선업종을 유망하게 봤다. 조선업종은 환경규제로 10년 이상의 긴 선대 교체 사이클에 걸렸고, 철강업종은 중국 부동산 부양 기대감에 따른 철광석 가격 반등이 기대된다는 논리에서다. 황 수석의 얘기를 흘려들을 수 없는 건 그가 국내에서 테슬라의 성장성을 가장 빨리 내다본 펀드매니저기 때문이다.황 수석은 “2017년 무렵 테슬라에 투자한다고 하면 투자자들로부터 욕을 먹기가 일쑤였다”며 “당시 상당수 애널리스트는 이 회사가 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회

  • "유행은 좇지 않는다"…1조 펀드 롱런 비결

    운용자산 1조원 이상을 굴리는 ‘매머드’ 펀드들은 운용 철학과 원칙이 뚜렷하다. 오랜 시간 고객들에게 신뢰받고 있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신영밸류고배당펀드는 올해로 출시된 지 20년째를 맞았다. 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와 미래에셋 전략배분 TDF(타깃데이트펀드)는 2017년 첫선을 보였다. 장수 비결을 묻는 말에 책임운용역들은 “장기적, 안정적 투자로 신뢰를 쌓아왔다”고 입을 모았다.신영밸류고배당펀드를 이끄는 김화진 본부장은 장수 비결에 대해 “유행을 좇지 않고 장기 투자, 저평가 배당주 투자에 대한 노하우를 쌓은 점이 유효했다”고 했다. 이 펀드는 순자산 1조1590억원으로 국내 배당주 펀드 중엔 가장 몸집이 크다. 1세대 배당주 펀드로, 오랜 기간 큰 등락 없이 꾸준한 수익률을 주무기로 삼아왔다. 지난달 29일 기준 3개월 전 대비 수익률 4.2%, 연초 대비 수익률 9.9%에 그쳤지만 설정 이후 수익률은 226.2%에 달한다.미래에셋 전략배분 TDF의 순자산은 총 4조3000억원에 이른다. 투자 전략에 따른 7개 빈티지(은퇴예상 시점) 상품의 운용자산을 모두 합친 것인데, 이 중 전략배분 2025 TDF의 순자산이 1조31억원이다. 이 펀드를 운용하는 김정욱 본부장은 “2017년 펀드를 시작할 때부터 ‘한국형 TDF’를 추구했다”고 했다. 안정적인 수익 비결에 대해서는 “국면마다 국내외 자산 배분을 달리했고, 달러 등 안전자산도 많이 쌓아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황우택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퀀트운용부 수석은 테슬라 투자를 통해 성과를 낸 운용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당수 애널리스트가 테슬라를 외면하던 2017년부터 테슬라에 투자했다. 그는 &ld

  • EY한영, 김정욱 EY컨설팅 대표 선임... 컨설팅 부문 확대 조직개편

    EY한영, 김정욱 EY컨설팅 대표 선임... 컨설팅 부문 확대 조직개편

     ≪이 기사는 08월04일(14:5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컨설팅·회계법인 EY한영은 계열사 EY컨설팅 대표에 김정욱 전 어드바이저리 본부장을 임명했다고 4일 발표했다. EY한영은 기존 어드라이저리 본부를 EY컨설팅으로 개편하면서 박용근 EY한영 대표가 겸직했던 법인 대표 자리에 김 본부장을 선임해 독립성을 높였다. 김 대표는 액센추어 코리아 등에서 25년 이상 컨설팅 업무를 수행한 전문가다. 2017년 EY한영에 합류한 뒤 매년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끌어냈다.EY컨설팅은 기존 제조혁신, 마케팅, 재무 컨설팅 분야를 비롯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디지털·신기술 컨설팅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EY한영의 재무자문본부 역시 전략·재무자문본부 개편한다. 전략 수립부터 실행 단계까지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전략·재무자문본부 내에 조직의 전략 컨설팅 역량을 한 곳에 모은 'EY파르테논' 조직을 신설했다.이번 조직 개편은 EY한영의 글로벌 파트너 어니스트앤영의 넥스트웨이브 구상에 따른 후속 조치다. 넥스트웨이브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산업혁명 등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변화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박용근 EY한영 대표는 "이번 조직 개편은 EY의 핵심 가치인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기'를 실천하기 위한 EY의 혁신"이라며 "급변하는 세상에 발맞춰 역할과 기능을 재편해 시장 수요에 맞는 새로운 기회와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EY한영, 김정욱 신임 어드바이저리 본부장 선임

    [마켓인사이트]EY한영, 김정욱 신임 어드바이저리 본부장 선임

    ≪이 기사는 03월05일(14: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EY한영은 김정욱 프로세스 혁신(Process Innovation)부문장을 어드바이저리(Advisory) 본부장으로 선임했다고 5일 밝혔다. EY한영 어드바이저리 본부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리스크 관리 지원, 공급망 효율 증대, 프로세스 혁신, 전략 등 다양한 분야의 자문 업무를 수행한다.김 신임 어드바이저리 본부장은 2017년 EY한영에 합류해, 정보 통신 기술(ICT)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 컨설팅 업무를 담당했다. 김 본부장은 2000년 컨설턴트로서 커리어를 시작한 이후, 국내외 전자 대기업과 인터넷 기업,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자문 업무를 수행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관리(SCM), R&D, 구매, 마케팅 등 프로세스 및 성과 경영 혁신 분야 컨설팅에서 뛰어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김 본부장의 전임자인 이창호 본부장은 3월 1일자로 EY글로벌 아시아 태평양 어드바이저리 부문의 부대표로 선임됐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