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그린플러스 1분기 영업이익 111% 증가

    그린플러스 1분기 영업이익 111% 증가

    스마트팜 전문기업 그린플러스가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12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전년 동기 대비 111%가 증가했다.그린플러스는 2024년도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67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 당기순이익 5억 원을 거둬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111%, 72%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특히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사업 부문별 분기 매출액은 압출·가공이 90억 원, 온실이 77억 원이다. 원자재 산업경기 침체로 인한 매출이 감소했지만 올해 들어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매출액이 증가했다. 스마트팜 또한 수주 물량이 늘면서 매출 증가와 함께 수익성을 개선해나갔다.최근 그린플러스는 국내 최대 규모로 조성을 추진하는 스마트팜 단지 ‘충남 글로벌 홀티 콤플렉스’ 조성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충남 글로벌 홀티 콤플렉스는 총사업비 3300억 원을 투입하여 서산 B지구 바이오웰빙 연구특구에 국내 최대규모인 50만 8200㎡의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단지는 생산, 유통, 가공 기능을 갖춘 스마트팜 집적단지(38만 6100㎡)와 융복합단지(12만 2100㎡)로 조성된다.해당 스마트팜 단지는 그린플러스의 신기술과 융합한 작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충남도와 함께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그린플러스 정순태 대표는 "작년 말부터 점차적인 수주물량 회복세를 보이면서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며 "최근 담당하게 된 큰 프로젝트에서 지자체 및 여러 기업들과의 공조를 통해 국가 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최형창 기자 calling@ha

  • ECM

    [마켓인사이트]첨단온실업체 그린플러스, 일반청약서 경쟁률 700대 1

    첨단온실 공급업체 그린플러스가 코스닥 상장을 앞둔 일반 청약에서 경쟁률 700대 1을 넘기며 흥행에 성공했다. 26일 그린플러스의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이틀 동안 진행된 일반 청약 경쟁률은 700.96대 1로 집계됐다. 신청금액의 절반인 청약증거금으론 4907억원이 몰렸다. 그린플러스는 1997년 온실용 자재 제조 및 판매업체로 출발했다. 기초 자재 생산에서부터 사업영역을 점진적으로 넓혀 국내에서 유일하게 첨단온실을 설계부터 시공까지 책임지는 업체로 성장했다. 그린플러스는 지난 18~19일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을 거쳐 공모가를 1만원으로 확정했다. 희망 가격 범위 8500~1만원 중 최상단 가격이다. 수요예측에는 931개 기관이참여해 863.94대 1의 경쟁률을 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464억원, 영업이익 51억원을 냈다. 2017년에 비해 매출은 6%, 영업이익은 55% 증가했다. 올 1분기엔 매출 113억원, 영업이익 14억원을 냈다. 그린플러스는 다음달 7일 코스닥에 상장한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첨단온실시장서 우리가 1위" 그린플러스, 코스닥 이전상장 나서

    [마켓인사이트]"첨단온실시장서 우리가 1위" 그린플러스, 코스닥 이전상장 나서

    ≪이 기사는 07월19일(15: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고령화와 농촌 인구 감소로 첨단온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린플러스는 첨단온실 시장의 점유율 1위 기업입니다.” 박영환 그린플러스 대표(사진)는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회사는 다음달 7일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할 예정이다. 국내 첨단온실 시장은 개화기라 불릴 만큼 그 규모가 아직 크지 않다. 한국과 재배면적이 비슷한 일본은 첨단온실 재배 비중이 4.5%이지만 한국은 0.8% 수준이다. 박 대표는 “일본 시장 규모로 미뤄볼 때 국내 첨단온실 시장도 성장여력이 무한하다”며 “정부 주도로 2022년까지 스마트팜 인프라를 조성하는 국가사업이 첨단온실 시장 성장의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린플러스는 1997년 온실용 자재 제조 및 판매로 출발했다. 기초 자재 생산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사업영역을 넓혀 국내에서 유일하게 첨단온실을 설계부터 시공까지 해주는 업체가 됐다. 박 대표는 “지난 20년간 국내에 66만㎡(20만평)에 이르는 첨단온실 시공 실적을 쌓았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464억원, 영업이익 51억원을 냈다. 2017년에 비해 매출은 6%, 영업이익은 55% 늘어났다. 올 1분기엔 매출 113억원, 영업이익 14억원을 냈다. 박 대표는 “IPO를 발판으로 오는 2025년까지 매출 2500억원에 이르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희망공모가는 8500~1만원이다. 이를 기준으로 한 공모금액은 60억~70억원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334억~392억원이다. 수요예측(기관투자가

  • [마켓인사이트] '코넥스 7위' 수젠텍, 내달 말 코스닥 이전

    ▶마켓인사이트 4월 18일 오전 9시3분코넥스시장 시가총액 7위인 체외진단기 제조사 수젠텍이 다음달 말 코스닥시장에 입성한다.1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수젠텍은 지난 17일 증권신고서를 내고 기업공개(IPO) 규모와 일정을 확정 공시했다. 회사의 희망 공모가 범위는 주당 1만2000~1만4000원으로, 신주 150만 주를 공모한다. 예정 공모금액은 180억~210억원, 예상 시가총액(우선주 포함)은 1592억~1858억원이다.2011년 설립된 수젠텍은 체외진단기기, 진단 시약, 임신·배란 테스터 등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코스닥 이전 상장을 위해 진행한 기술성 평가에서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기업데이터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매출 54억원, 영업손실 46억원에 순손실 409억원을 냈다. 공모가는 다음달 7~8일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을 통해 확정되며, 같은달 15~16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ECM

    한화투자證 "그린플러스, 온실사업 성장성 밝아"

    알루미늄 사업을 기반으로 온실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코넥스시장 상장사 그린플러스가 중장기적으로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화투자증권이 분석했다.그린플러스는 알루미늄 제품의 생산·가공·판매와 대형식물원, 첨단유리온실 등 온실관련 창호·강구조물 공사를 주업으로 한다. 코넥스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매출 463억원, 영업이익 30억원을 올렸다. 1997년 회사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이다.김정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린플러스는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갱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대형 첨단온실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 팜과 양식장 수주가 증가하고 있고, 일본 온실과 우즈베키스탄·르완다 온실자재 등 해외 부문으로의 수출도 늘 것으로 기대된다는 등의 이유에서다.중장기적 실적 성장을 이끌 신규사업도 많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어업 부문 자회사 그린피시팜이 지난해 당진에 2500평 규모의 장어 양식장을 준공했다”며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농업 부문 자회사인 그린케이팜의 딸기 온실 운영에 따른 수익창출도 기대된다는 평가다. 그는 “태양광 사업부문에서의 구조물 제작과 시공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추가적 실적 성장도 가능하다”며 “이 회사의 신규사업부문 경쟁력은 더욱 강해질 것으로 본다”고 했다.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