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저 세율로 부자된 아일랜드 1000억유로 '미래기금' 만든다
세계 최저 수준의 법인세율로 다국적 기업을 대거 유치한 아일랜드가 세수 호황을 기반으로 국부펀드를 조성한다. 고령화, 기후위기 등 구조적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재투자다. 마이클 맥글래스 아일랜드 재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의회에 2024년도 예산안을 제출하며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아일랜드 정부는 내년부터 ‘아일랜드 미래기금’과 ‘인프라기후기금’을 함께 조성한다. 아일랜드 미래기금은 고령화와 기후위기, 기타 재정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기금이다. 2035년까지 현재 아일랜드 국내총생산(GDP)의 0.8%에 달하는 43억유로를 매년 투입한다. 투자 수익률을 연 4%로 가정하면 총규모는 1000억유로(약 142조원)에 달한다고 아일랜드 재무부는 설명했다. 기금 용처는 미래의 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열어둘 계획이다. 다만 기금 투자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2040년 전까지는 자금을 꺼내쓸 수 없게 한다는 방침이다. 140억유로(약 19조원) 규모의 인프라기후기금도 조성한다. 기존 국가예비기금 20억유로에 더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매해 예산 흑자 20억유로를 투입한다. 인프라기후기금의 주목적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이다. 평상시에는 기금의 최대 22.5%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쓰되 공공 재정이 크게 나빠질 경우 기금의 25%를 인프라 지출에 쓸 수 있도록 했다. 두 기금 모두 아일랜드 국외 자산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아일랜드 미래 기금은 장기적이고 위험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해 수익성을 높이고 인프라기후 기금은 안정성에 초점을 맞춰 유동성이 높은 단기 상품에 투자하기로 했다. 아일랜드는 세계 다국적 기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하면서 대규모 재정 흑자를 거
-
다국적기업 유치로 부국 된 아일랜드…142조 '국부펀드' 만든다
세계 최저수준의 법인세율로 다국적기업을 대거 유치한 아일랜드가 세수 호황을 기반으로 국부펀드를 조성한다. 고령화, 기후위기 등 구조적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재투자다. 미래 정부가 용처 결정 … 2040년까진 못 꺼내 써 마이클 맥글래스 아일랜드 재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의회에 2024년도 예산안을 제출하며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아일랜드 정부는 내년부터 '아일랜드 미래기금'과 '인프라기후기금'을 함께 조성한다. 아일랜드 미래기금은 고령화와 기후위기, 기타 재정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기금이다. 2035년까지 현재 아일랜드 국내총생산(GDP)의 0.8%에 달하는 43억유로가 매년 투입된다. 투자 수익률을 연 4%로 가정하면 총 규모는 1000억유로(약 142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아일랜드 재무부는 설명했다. 기금 용처는 미래의 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열어둘 계획이다. 다만 기금 투자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2040년 전까지는 자금을 꺼내쓸 수 없게 한다는 방침이다. 140억 유로(약 19조원) 규모의 인프라기후기금도 조성한다. 이는 주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된다. 기존 국가예비기금 20억유로에 더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매 해 예산 흑자 20억 유로를 투입한다. 평상시에는 기금의 최대 22.5%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쓰되 공공 재정이 크게 나빠질 경우 기금의 25%를 인프라 지출에 쓸 수 있도록 했다. 두 기금 모두 아일랜드 국외 자산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아일랜드 미래 기금은 장기적이고 위험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해 수익성을 높이고 인프라기후 기금은 안정성에 초점을 맞춰 유동성이 높은 단기 상품에 투자
-
그리스 재정위기 12년 만에…신용등급 '투자적격' 상향
막대한 국가부채로 ‘유럽의 문제아’로 불리던 그리스의 국가 신용등급이 투자적격 등급으로 상향됐다. 2010년대 재정위기 이후 약 12년 만에 처음이다. 강력한 친시장 정책을 펼친 중도우파 성향의 여당이 지난 7월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그리스의 재정 건전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다.지난 8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DBRS 모닝스타는 그리스의 장기 외화 및 자국 통화 표시 신용등급을 ‘BB(투자부적격등급)’에서 ‘BBB(투자적격등급)’로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신용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했다.DBRS 모닝스타는 캐나다계 글로벌 신용평가사로 유럽중앙은행(ECB)이 인정하는 신용평가사다. DBRS 모닝스타는 발표에서 “그리스 정부가 신중한 재정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정부부채와 재정이 크게 개선됐다”며 신용등급 상향 배경을 밝혔다. 이어 “그리스 정부는 공공부채비율이 하락 추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정적 책임을 지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기대했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격탄을 맞은 그리스는 2010년 재정난을 감당하지 못해 국제통화기금(IMF)과 ECB 등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이듬해 2차 구제금융을 받았지만 부채 부담은 지속됐다. 2014년 그리스 국내총생산은 구제금융 전인 2009년보다 25% 급감했다.국가 신용등급도 추락했다. 1차 구제금융을 받은 다음해인 2011년 1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그리스 국가신용등급을 투자적격등급 ‘BBB-’에서 투자부적격등급인 ‘BB+’로 낮췄다. 피치의 하향으로 그리스는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3대 신용평가사 모두로부터 국가 신용등급이 ‘정크’로 분류됐다. 이후 201
-
IMF, 스리랑카에 30억달러 구제금융 승인…"재정 건전화해야"
국가부도 사태에 몰린 스리랑카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게 됐다. IMF는 스리랑카의 재정 건전성을 위한 개혁을 촉구했다.20일(현지시간) IMF 집행이사회는 스리랑카에 총 30억달러(약 3조9100억원) 규모의 구제금융을 제공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IMF는 이번 승인으로 스리랑카에 3억3300만달러가 즉각 지급될 예정이며, 다른 협력대상들의 재정 지원을 이끌어 스리랑카가 금융위기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IMF는 스리랑카 역시 재정 개혁을 단행할 것을 요구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스리랑카가 수익 기반의 재정 건전화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며 “조세 행정과 공공 재정 및 지출 관리, 에너지 가격 책정 등 지속적인 재정 개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스리랑카는 코로나19 대확산 기간 주요 수익원인 관광수입이 급감하며 경제난에 빠졌다. 지난해 5월 대외 부채를 갚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 "예금주는 지원하되 구제금융은 NO"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간)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와 관련해 구제 금융은 없을 거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예금주에 대해선 지원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날 옐런 장관은 CBS와의 인터뷰에서 “예금주의 상황을 염려하고 있으며, 그들이 촉구하는 사안을 이행하려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원 방식에 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금융위기 당시 대형은행 투자자와 소유주가 구제금융의 혜택을 누린 점을 분명히 말하고 싶다. 다시는 그런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은행 시스템은회복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방정부 차원의 구제금융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다.옐런장관은 "예금주의 관점에선 대부분 소규모 사업체를 운영하는 기업가들이 SVB 대출에 의존했을 것"이라며 "여기에 수 만명의 노동자들이 연관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2008년 금융위기를 언급하며 투자자와 소유주에 대한 지원책은 두 번 다시 없을 거라고 강조하기도 했다.옐런 장관은 "분명히 말하지만 금융위기 당시 대형은행 소유주와 투자자들이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다"며 "그 이후 시행된 개혁에 따라 다시는 그런 일(구제금융)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
올 IMF 구제금융, 1400억달러 역대 최대…신흥국들 '빚 폭탄'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각국에 빌려준 자금 규모가 역대 최대라는 보도가 나왔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세계 주요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들이 금융위기에 내몰리면서다.25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IMF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IMF가 세계 각국에 제공한 차관이 총 44개 프로그램, 1400억달러(약 199조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기존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연간 규모를 넘어선 것이다. FT는 “합의 후 아직 제공하지 않은 차관까지 포함하면 총 차관 규모가 2680억달러(약 381조원)를 넘는다”고 전했다.주 채무국가는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이다. IMF는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놓인 아르헨티나와 410억달러 규모의 구제금융 프로그램에 합의했으며 지난달에는 파키스탄에 11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제공했다. 잠비아와 스리랑카, 가나, 이집트 등도 IMF와 협상 중이다. 골드만삭스는 이집트가 150억달러 규모의 구제금융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미국 중앙은행(Fed)을 비롯한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잇따라 인상하면서 신흥국들이 직격탄을 맞았다는 해석이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국인 자본이 대거 유출된 데다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마저 커지면서다. 달러 강세로 인해 신흥국과 개발도상국들은 수입물가가 큰 폭으로 올랐고 달러 표시 부채 부담도 커졌다.이들 국가가 자금을 지원받기 위해 IMF의 문을 잇따라 두드리면서 IMF의 대출 여력이 조만간 한계에 다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IMF 전략·정책 검토 부서의 비카스 조시 부장은 “현재 차관 규모는 가용할 수 있는 자금 1조달러의 일부”라면서도
-
[이태호의 캐피털마켓 워치] ABCP 시장 흔든 ‘터키 위기론’ 2년만에 고개
“터키 리라화의 불안정한 움직임은 신흥국 고수익채권 시장 전반에 계속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 투자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다음의 연쇄 충격(next domino to fall)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골드만삭스가 지난주 내놓은 보고서 내용의 일부입니다. 중동의 주요 경제국인 터키의 외환시장 불안이 심상치 않다는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리라화의 달러 대비 가치는 이달 들어 신흥국 통화 가운데 가장 큰 폭인 약 4%, 올 들어서는 18% 하락했는데요. 11일 현재 역대 최저 수준인 달러당 7.3리라에서 맴돌고 있습니다.리라화는 불과 2년 전에도 심각한 위기를 겪었습니다. 정치·안보 분야에서 갈등을 겪던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2018년 들어 8월까지 가치가 40% 폭락했습니다. 그 결과 8월 13일 아시아증시를 한꺼번에 2% 안팎씩 끌어내리기도 했습니다(관련기사 첨부). 터키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불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우려로 번졌기 때문입니다.한국의 일부 금융상품시장도 뒤흔었는데요. 약 10조원어치나 팔린 카타르 은행예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은 집단 환매가 벌어졌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터키와 카타르의 경제적 긴밀성을 과대평가해 벌어진 소동으로 마무리됐지만요.리라화가 2018년 이후 다시 위기를 맞은 배경으로는 과도한 금융완화 정책이 꼽힙니다. 포퓰리즘 정책으로 유명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66)은 2018년 위기 이후 금융완화를 통한 강력한 성장 촉진 정책을 펴왔는데요. 그 결과 2018년 연 24%까지 올랐던 기준금리는 최근 8.25%까지 내려왔습니다. 금리 인하는 외화자금이 더 높은 실질 수익을 찾아 이탈하는 상황을 초래하면서 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