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실적 부진 장기화’ 게임업계…깊어지는 유동성 통로 확보 고민

    ‘실적 부진 장기화’ 게임업계…깊어지는 유동성 통로 확보 고민

    국내 게임사들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 게임 산업이 불황에 빠진 가운데 금리 상승과 기업의 신용도 하락 등으로 회사채 발행도 여의찮은 상황이다. 업계에선 내년부터 호황기 때 발행한 수천억원어치 회사채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게임업계의 재무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 게임사는 한 곳도 없었다. 3년 전부터 넷마블, 컴투스, 펄어비스, 더블유게임즈 등이 잇달아 회사채 시장에 뛰어들었던 것과 비교하면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는 평가다.게임사들은 코로나19 직후 비대면 수요가 증가하고 게임산업이 호황기에 진입하던 때 회사채 시장의 '단골손님'으로 불렸다. 탄탄한 실적과 저금리 기조를 활용해 낮은 금리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게임사들은 회사채로 조달한 자금으로 신작 개발과 IP(지식재산권) 확보에 투자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와 신작 흥행 부진 등으로 실적 둔화가 장기화하면서 회사채 시장을 찾는 발길이 뚝 끊겼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게임사들의 올 3분기 실적도 저조했다. 엔씨소프트의 올해 3분기 매출은 4231억원, 영업이익은 1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88.6% 감소했다. 넷마블은 같은 기간 매출 6306억원, 영업손실 219억원을 냈다. 작년 1분기 이후 일곱 분기 연속 적자다.실적 부진은 신용도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6월 수익성 저하에 따른 현금창출력 약화 등을 이유로 넷마블의 신용등급 전망을 ‘A+(안정적)’에서 ‘A+(부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컴투스 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의 신용등급은

  • 올 상반기 IPO 최대어 크래프톤, 상장예심 청구

    올 상반기 IPO 최대어 크래프톤, 상장예심 청구

    게임 '배틀그라운드(배그)' 개발사 크래프톤이 본격적으로 기업공개(IPO) 일정에 돌입한다. 몸값은 20조원대가 거론된다.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이날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가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상반기 중 공모절차를 시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하반기 중 상장이 예상된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공동주관사는 NH투자증권, 크레디트스위스증권(CS),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JP모건 등이 이름을 올렸다. 기업가치는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매출 1조6704억원, 영업이익 7738억원을 거뒀다. 전년 대비 매출은 54%, 영업이익은 1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 역시 2789억원에서 5563억원으로 99% 늘어났다. 지난해 순이익에 30~40배 수준의 주가수익비율(PER)을 적용하면 17조~22조원 안팎의 몸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동종 업계인 NC소프트는 PER 35배, 넷마블은 49배, 컴투스는 22배 수준이다. 게임 업계 전체 평균 PER을 따져봐도 50배 수준이어서 30배 이상의 PER을 적용받는 게 무리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관건은 실적 추세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1분기 매출 5082억원, 영업이익 3524억원, 순이익은 2940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실적 개선세가 둔화됐다. 2분기 매출은 3791억원, 3분기에는 3499억원이었다. 그사이 순이익은 2분기 1110억원, 3분기 1100억원 수준에 머물렀다. 4분기에는 순이익이 400억원대로 급감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연간 누적 순이익을 1조원으로 잡고 최대 40조원 몸값이 거론됐었다. '원게임 리스크'가 실적 개선세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크래프톤을 초대형 게임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