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發 '석유시추 특수'…세아제강·롯데정밀 웃는다
세아제강지주의 전략담당 부서는 거의 매일 미국 내 오일과 가스 시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직후부터다. 트럼프 1기 정부(2017~2020년)가 출범하기 직전인 2016년 인수한 미국 텍사스 철강공장에서 시추용 강관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세아제강지주 관계자는 “미국 정책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한국, 미국, 베트남 등 생산 거점별 전략을 구상하는 데 공들이고 있다”며 “시추관은 송유관보다 가격이 20%가량 비싼 데다 소모품이라 교체 수요까지 노릴 수 있다”고 말했다.트럼프 당선인이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세아제강, 롯데정밀화학 등이 대표적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각각 철강과 석유화학 시황 악화로 실적이 꺾인 이들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16일 미국 에너지 서비스기업 베이커휴즈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시추하는 장비 수는 연초(621개)보다 줄어든 589개로 집계됐다. 미국 시추 장비는 올 들어 580~620개 박스권에 갇혀 있다. 매주 채굴 장비를 집계하는 베이커휴즈리그카운트는 미국 석유·천연가스 생산 현황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지표다.트럼프 행정부가 내년 1월 출범하면 시추 장비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트럼프 1기 때만 해도 2017년 1월 665개이던 시추 장비가 2018년 924개, 2019년 1075개로 크게 증가했다. 이런 기조에 발맞춰 ‘석유 공룡’인 엑슨모빌은 하루 460만 배럴인 현재 석유 생산량을 2030년 17% 늘리겠다고 최근 밝혔다.시추 장비가 늘어나면 관련 기자재 수요도 자연스레 증가한다. 시추·송유용 강관
-
코스피 IPO '공백' 깬다...'사상 최대 실적' 넥스틸 출사표
강관 제조업체 넥스틸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작년 10월 바이오노트 상장 이후 반년 넘게 이어진 유가증권시장 상장 공백을 깰 후보다.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미국 공장이 가동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는 등 시장의 평가를 받을 채비를 마쳤다는 평가가 나온다.○작년 10월 바이오노트 이후 끊긴 코스피 IPO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넥스틸은 전날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한 회사(리츠 제외)는 작년 10월 상장한 바이오노트가 마지막이었다. 예심 청구일 기준으로는 작년 6월 바이오노트와 케이뱅크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유가증권시장 상장에 도전하는 기업 사이에 눈치싸움이 벌어진 결과다. 컬리, 골프존카운티, 케이뱅크 등 다수 기업이 코스피 상장 절차를 진행했지만 시장 상황 악화를 이유로 중단했다. 중소형 IPO와 달리 대형 IPO는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하자 올해 초 등판하려던 예비 IPO 기업들도 몸을 사렸다.이번 넥스틸을 시작으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LGCNS, 서울보증보험, 두산로보틱스 등 연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노리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됐다.1990년에 설립된 넥스틸은 강관 제품을 주력사업으로 하는 철강 제조사다. 원유, 천연가스 등의 굴착에 사용되는 유정용 강관이 핵심 제품이다.기업가치가 조단위를 넘보는 초대형 IPO가 아닌 만큼 적정 기업가치를 제시하면 시장에서 거부감도 덜할 것이란 판단이다.현대제철과 세아제강, 휴스틸 등 넥스틸과 함께 국내 강관 시장의 선두업체로 꼽히는 비교기업 후보군 역시 모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다. 이들 4개 기업은 국
-
"뜬금없이 유상증자라니"…'9000원→5000원' 주주들 분통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유상증자로 또 뒤통수를 치네요." "유상증자 못 막으면 다 죽어요."'골프장 재벌'로 통하는 신안그룹의 유일한 상장사인 철강업체 휴스틸 주식토론방이 들끓고 있다. 시가총액이 2300억원가량인 이 회사가 9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전격 발표한 결과다. 보유 지분가치가 훼손될 것이라는 주주들 우려가 상당했다.한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경영'으로 주주들과 갈등을 겪은 휴스틸은 최근 주가와 실적이 안정되면서 달라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번 유상증자로 "또 뒤통수를 쳤다"는 반응이 나온다. 유상증자로 이 회사 주가는 일주일 새 반토막이 났다.휴스틸은 2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오전 9시 15분 현재 0.35%(20원) 떨어진 5770원에 거래 중이다. 이 회사 주가는 전날에는 19.1%(1370원)나 하락했다. 지난 9월 13일에 장중 9020원을 찍으면서 사상 최고가를 찍은 이 회사 주가는 그 직후 내림세를 이어가면서 일주일 만에 반토막이 났다.이 회사 주가를 끌어내린 것은 유상증자다. 휴스틸은 오는 12월 13일 897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이번 유상증자로 발행하는 신주는 기존 발행주식의 43.3%에 달하는 1700만주에 달했다. 신주발행가격은 25% 할인율을 적용한 5280원으로 결정했다. 이 회사는 조달한 자금으로 해상풍력발전 시설에 들어가는 대구경 파이프 설비를 구축하는 데 쓸 계획이다.하지만 회사가 유상증자를 전격 발표하면서 주주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유상증자를 하면 주당순이익(EPS)을 비롯한 주식 한 주당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신주 발행량이 기존 주식의 절반에 육박하는 만큼 주주 가치가 큰 폭 훼손될 수밖에 없다.어디로 튈지 모르
-
"없어서 못 판다"…영업익 '1조 클럽' 노리는 '한지붕 두가족' 세아그룹 [기업 인사이드]
국내 중견 철강사인 세아그룹이 ‘철강 슈퍼사이클’에 따른 특수강·강관 판매 호조로 올해 1960년 창립 이후 사상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 세아그룹의 양대 주력사는 특수강을 생산하는 세아베스틸과 강관(파이프)을 제조하는 세아제강이다. 두 기업 모두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전방산업 수요 증가로 지난해부터 ‘슈퍼 호황’을 누리고 있다. ○올해 최대 실적 ‘예고’세아그룹은 이례적으로 두 개의 지주회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을 주력 계열사로 둔 세아홀딩스를 그룹 장손이자 고(故) 이운형 선대회장의 장남인 이태성 사장이 이끌고 있다. 세아제강을 핵심 계열사로 둔 세아제강지주의 대주주는 이순형 현 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주성 사장이다. ‘오너 일가’ 사촌 두 명이 공동 경영하는 방식이다.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세아제강지주는 연결 기준 올 1분기 매출 9161억원, 영업이익 1110억원을 올렸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7%, 200.4% 증가했다. 회사측은 주요 제품의 판매 증가뿐 아니라 가격 상승에 따른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오일·가스 산업 호황에 따라 에너지용 강관 제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1분기 영업이익률은 12.1%로, 전년 동기(6.3%) 대비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세아제강의 주력 제품인 강관은 진입장벽이 낮아 국내외 업체가 난립하는 공급 과잉 시장이다. 이 때문에 세아제강지주 연간 영업이익은 2015년 이후 한 차례도 1000억원을 넘지 못했다.
-
세아제강, 삼성물산과 세계 최대 규모 스테인리스 용접강관 공급계약
국내 최대 강관 제조업체인 세아제강이 삼성물산과 25일 단일 프로젝트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테인리스(STS) 용접강관 제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글로벌 에너지 전환기를 맞아 급증하고 있는 LNG(액화천연가스) 프로젝트 수요에 맞춰 스테인리스 용접강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이번 계약에 따라 세아제강은 1720억원 규모의 제품을 삼성물산이 수행하는 ‘카타르 LNG 북부 가스전 프로젝트’에 2023년 하반기까지 공급할 예정이다. 카타르 LNG 북부 가스전 프로젝트는 LNG 가스전 내 18만7000㎥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와 항만접안시설 3개소, 운송배관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공사규모만 1조8000억원에 달한다.세아제강은 2014년 미국의 첫 셰일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국내 최초로 납품하는 등 미국 내에서 진행된 모든 셰일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제품을 공급했다. 2020년 캐나다에 이어 지난해 모잠비크 LNG프로젝트의 스테인리스 후육강관 공급에 이어 이번 카타르 수주를 통해 글로벌 LNG 프로젝트에서 세 번째로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세아제강이 공급하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용접강관은 일반 탄소강과 달리 극저온 상태에서도 충격에 깨지지 않는 저온충격인성과 고압내구성이 뛰어난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특히 국내 강관사로는 유일하게 외경 0.5인치부터 197인치, 두께 1㎜부터 128㎜에 이르는 다양한 스테인리스 용접강관 일괄 생산체제를 보유하고 있다. 세아제강 관계자는 “글로벌 LNG 프로젝트 시장에서 연이은 대규모 수주를 통해 스테인리스 용
-
세아제강, 10개월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
이 기사는 07월24일(11:2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아제강이 10개월 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최근 실적 회복세와 ‘A급’(신용등급 A-~A+) 회사채의 높은 인기를 고려하면 여러 기관투자가들이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세아제강은 다음달 말 500억~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만기는 3년 수준에서 검토하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운영자금 등에 사용할 전망이다. 기관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다음달 중후반 진행할 예정이다. 세아제강은 2015년부터 저유가로 셰일가스 개발이 둔화되자 주력 제품인 유정용 강관 판매가 줄어들어 수익성 하락을 겪어왔다. 하지만 올 들어 국내 주택경기 호조에 판재·강관 판매가 증가한 데 힘입어 실적을 회복하고 있다. 이 회사의 올 1분기 매출은 42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2%, 영업이익은 229억원으로 16.2% 늘었다. 최근엔 셰일가스·오일 시추설비(리그) 수가 다시 증가하면서 유정용 강관의 대미 수출이 다시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5월 약 400개까지 줄었던 리그 수는 지난 5월말 약 900개까지 증가했다. 지난 4월 미국이 유정용 강관에 붙는 관세를 인하한 것도 호재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증권 등 국내 4개 증권사의 추정에 따르면 올해 세아제강의 매출은 1조9731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0%, 영업이익은 1157억원으로 50% 증가할 전망이다. 회사채 시장에선 최근 A급 회사채의 뜨거운 인기까지 고려하면 적잖은 기관들이 투자에 나설 것응로 보고 있다. 세아제강과 신용등급(A+)이 같은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