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황정환의 모험자본 포커스] “위기는 성장의 기회”…경쟁사에서 ‘딜메이커’ 빼오는 JP모건

    [황정환의 모험자본 포커스] “위기는 성장의 기회”…경쟁사에서 ‘딜메이커’ 빼오는 JP모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리피니티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세계 M&A 거래액은 4853억달러(약 583조원)로 전년 동기보다 55% 감소했습니다.거래(딜)가 감소하는 것은 이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투자은행(IB)들에겐 악몽 같은 일입니다. 하지만 "위기에서 기회를 찾으라"는 오래된 격언처럼 어려운 시기를 도리어 성장의 모멘텀으로 삼는 곳도 있습니다.지난 1일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JP모건)는 최근 경쟁사인 크레디트스위스의 핵심 '딜메이커'로 꼽혀온 앤디 립스키(Andy Lipsky)를 JP모건의 IB부문 부회장(vice-chairman)으로 영입했습니다. 립스키는 20여년 간 크레디트스위스에 몸담으며 GE, ABB, 3M, 잉거솔란트 등 대형 고객을 자문해왔습니다.거물 딜메이커의 이적은 그가 자문하던 고객 기업 역시 그를 따라 JP모건으로 자문사를 옮겨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업들 상당수는 M&A처럼 경영 상 중요성이 큰 사업을 추진할 때 오랜 기간 그 기업을 자문하며 실력이 검증된 딜메이커만을 쓰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립스키 외에도 JP모건은 코로나 사태 이후 경쟁사에서 다수의 거물급 인력을 데려와 업계를 떠들썩하게 한 바 있습니다. JP모건은 지난 4월 씨티그룹의 프랑스 IB부문 공동대표인 마야 토룬(Maya Torun)을 영입했습니다.코로나 사태 직전인 작년 말엔 영국 내 M&A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골드만삭스의 셀리아 머리(Celia Murray)를 영입하기도 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다수의 수조원대 대형 M&A 거래를 성사시키며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를 프랑스와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