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핀스퀘어, 160억 규모 프리 IPO 성공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제조, 플랫폼, 보험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그래핀스퀘어, 160억 규모 프리 IPO 성공그래핀스퀘어는 코스닥 상장사인 테라젠이텍스 포함 3개 기관과 160억원 규모 프리 기업공개(IPO) 투자유치 계약을 체결했다. 그래핀스퀘어는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한 대면적 그래핀을 상용화한 토종 벤처다. 이번 프리 IPO 투자를 통해 그래핀스퀘어는 안정적인 운영자금과 생산설비 구축을 기반으로 수요처를 확대해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오는 6월 주관사를 선정하고 상장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무신사, 100억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무신사가 100억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무신사는 2024년(연결 기준) 연간 거래액이 4조 5000억원을 돌파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5.1% 증가한 1조 2427억원을 기록했다. 2024년 영업이익 1028억 원을 기록했다. 무신사와 29CM, 글로벌 등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국내 디자이너 입점 브랜드의 견고한 성장으로 매출력을 확대했다. 지난해부터는 오프라인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는 PB 무신사 스탠다드의 성장세도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마들렌메모리, 21억 규모 프리 시리즈 투자 유치 이커머스 플랫폼 '구하다'는 81억원 규모의 시리즈B 브릿지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브릿지 라운드에 산업은행과 코로프라넥스트코리아(CNK),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싱가포르 현지 펀드가 신규로 참여했으며 디티앤인베스트먼트(DTNI)가 추가 투자
-
씨드앤, 65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플랫폼,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씨드앤, 65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AI 기반 전력 효율화 기업 씨드앤은 약 6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투자에는 뮤렉스파트너스,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IBK기업은행, SK쉴더스가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씨드앤의 누적 투자 유치 규모는 100억 원을 달성했다. 씨드앤은 건물 내 전력기기들을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실시간 제어해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전력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클라우드 기반 전력기기 제어 기술을 활용해 냉난방 등의 전력 비용을 낮추는 서비스를 구독형으로 제공한다. 씨드앤은 제조 공장을 둔 대기업, 프랜차이즈 운영사, 소상공인 등에서 전기세 인상에 대응하기 위한 솔루션 수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씨드앤은 5월 초 공장, 학교, 아파트 등 대규모 시설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리프 엑스'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사무실을 대상으로 한 '리프 오피스'도 함께 출시한다. 마들렌메모리, 21억 규모 프리 시리즈 투자 유치 브랜드 리세일 솔루션 ‘릴레이’를 운영하는 마들렌메모리가 21억 원 규모 프리 시리즈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신규 투자사인 에이벤처스가 주도했고, 기존 투자사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마들렌메모리는 패션 시장에 브랜드 인증 리세일을 정착시켰다. 현재
-
성진아이앤씨, 320억 규모 프리 IPO 성공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제조, AI,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성진아이앤씨, 320억 규모 프리 IPO 성공30년의 업력을 가진 가방 제조 전문 기업 성진아이앤씨가 수백억 원대의 자금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성진아이앤씨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투자 유치를 진행해 NH벤처투자와 아주IB투자, HB인베스트먼트로부터 약 320억 원을 조달했다. 투자사들은 성진아이앤씨의 기존 주주가 보유한 구주 일부와 신규 발행 우선주를 매입하는 형식으로 투자를 단행했다. 성진아이앤씨가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프리IPO 성격의 투자 유치다. 기업공개(IPO)에 나서기 전 시장에서 평가를 받아보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성진아이앤씨는 1995년에 설립된 가방 제조 전문 기업이다. 패션 가방이나 백팩, 트롤리 가방, 멀티미디어 케이스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베트남 호치민 빈등성과 빈롱성 등 현지에서 3곳의 해외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 3곳의 공장에서 일하는 직원만 약 5000여명에 이른다. 2006년과 2010년 중국에도 2개 공장을 설립해 운영했지만, 현재는 문을 닫았다. 대신 2018년 8월 중국 둥관에 사무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아크테릭스나 캘빈클라인, 컬럼비아, 파타고니아, 살로몬, 타미 힐피거 등 해외 유명 브랜드뿐 아니라 커버낫, 이마트, 원더플레이스, 네파 등 유수의 국내 브랜드를 고객사로 확보했다. 리얼월드, 210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글로벌 로보
-
메디쏠라, 130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간편식, 소프트웨어, 에너지코팅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메디쏠라, 130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맞춤형 푸드케어 솔루션 기업 메디쏠라는 총 13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프리미어파트너스, 삼성벤처투자, 레드뱃지퍼시픽이 주요 투자사로 참여했다. 이들은 메디쏠라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메디쏠라는 푸드테크 기업이다. 에쓰푸드 부사장 출신으로 존쿡델리미트 등 리테일 브랜드의 설립부터 마케팅, 영업, 운영까지 전반을 주도하며 식품 산업 내 경험 기반 혁신을 이끌어온 이승연 대표와 KB인베스트먼트에서 헬스케어·바이오 분야 투자를 주도했던 이돈구 대표가 의기투합해 2021년 12월 기획 설립했다. 지난해에는 프리A 라운드를 통해 약 2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금융 AI 기술 기업 혜움, 105억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금융 AI 기술 기업 혜움이 105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IBK기업은행, 쿼드벤처스가 후속 투자를 단행했으며,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혜움은 2017년에 설립됐다.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사업자의 편의를 돕는 AI 기술 연구 기업으로 출발해 세무·재무 분야의 자동화를 선도했다. 혜움의 대표 서비스로는 사업자 세무 처리를 지원하는 '혜움 레포트 2.0', 사업자 경정청구 서비스 '더
-
뤼튼테크놀로지스, AI 서비스 플랫폼 최초로 누적 투자 1000억 돌파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플랫폼, 소프트웨어, 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생성형 AI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 830억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인공지능(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뤼튼)’은 830억 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해 최종 1080억 원 규모로 시리즈B 라운드를 마무리했다고 31일 발표했다.이번 추가 투자 유치에는 신규로 참여한 굿워터캐피탈이 리드 투자자로 나섰다. 기존 투자사인 BRV캐피탈매니지먼트, 캡스톤파트너스, 우리벤처파트너스, 수이제네리스파트너스, 앤틀러, Z벤처캐피탈(ZVC) 등도 함께했다. 지난해 10월 뤼튼은 서비스 개시 1년 10개월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 500만 명을 돌파했다. 뤼튼은 캐릭터 채팅 서비스를 다음 달 3일 별도의 웹·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인 크랙(Crack)으로 정식 출시하고, AI 검색과 생산성 도구 ‘나만의 AI’ 등의 기능을 탑재한 뤼튼 본 서비스를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폐기물 관리 소프트웨어 기업 리코, 585억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사업장 폐기물 수거 서비스 '업박스(UpBox)'를 운영하는 리코(Reco)가 총 585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한국을 포함해 31개국에서 이케아 리테일을 운영하는 잉카 그룹의 투자 부문 '잉카 인베스트먼트'가 리드 투자사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는 잉카 인베스트먼트의 첫 한국 투자 사례이자, 최근 순환 경제 관련 기업에 10억 유로(1조6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이
-
다임바이오, 120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의료, 플랫폼, 보안기술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차세대 표적 항암제 개발 기업 다임바이오, 120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다임바이오가 1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엔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메리츠증권,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중소기업은행 등 여러 금융 기관들이 참여했다. 다임바이오는 이를 통해 차세대 표적 항암제 'DM5167'의 임상1상 완료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DM3159'의 비임상 독성시험 진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DM5167은 PARP-1 저해제로 혈액독성을 극복하고 우수한 뇌전이 투과성을 갖춘 항암제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서울대병원 등 주요 병원에서 임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 지난해 국가신약개발사업으로부터 임상 1상 지원 기업으로 선정돼 연구 개발비 지원도 받았다.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DM3159는 미각수용체 'TASR GPCR'을 표적으로 하며 알츠하이머 등 다양한 모델에서 신경세포 보호 및 재생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 비임상 독성 시험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무브, 5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 모빌리티 기업 무브가 50억원 규모의 시리즈 B투자를 유치했다. 무브는 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수요 예측, 최적 경로 분석 및 차량 배차 자동화 등의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무브는 AI 기술을 활용한
-
배달 대행 서비스 부릉, 300억 규모 시리즈 F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배달대행 서비스, 금융, 광고·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배달 대행 서비스 부릉, 300억 규모 시리즈 F 투자 유치부릉은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 F 투자를 유치했다. 신한투자증권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자금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배달대행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라이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부릉프렌즈', 제휴 네트워크 등 인프라를 확충해 증가하는 시장 내 배달 물량과 부릉에 의존하는 기업 고객의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또 R&D 투자를 확대해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 생산성과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외국인 생활금융 플랫폼 기업 한패스, 100억 규모 시리즈 D 투자 유치 외국인 생활금융 플랫폼 기업 한패스가 산업은행으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를 유치했다. 시리즈C 투자 유치 이후 불과 1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2017년 설립된 한패스는 2018년 20억원 규모 프리시리즈A 투자를 받았다. 이후 2019년 시리즈B 117억원, 지난해 JB금융지주와 전북은행, JB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시리즈C 11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한패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해 성장동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주력사업인 송금업 외에도 구인·구직 포털, 대출 비교, 모빌리티 등을 출시해 외국인 생활금융 슈퍼앱으로 위상을 키워 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국내
-
퇴행성 뇌질환 연구기업 프레이저테라퓨틱스, 270억 규모 시리즈 B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의료기술, 물류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퇴행성 뇌질환 연구기업 프레이저테라퓨틱스, 270억 규모 시리즈 B투자 유치퇴행성 뇌질환 연구기업 프레이저테라퓨틱스 270억 규모 시리즈 B투자를 유치했다. 프레이저테라퓨틱스는 차세대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을 앞세운 기업이다. TPD는 체내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이용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분해·제거하는 기술이다. 기존 표적치료제는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기만 하고 없애지는 못했다. 단백질(Protein)과 지우개(Eraser)의 합성어인 ‘프레이저’ 사명에도 이러한 의미가 담겼다. 프레이저가 앞세우는 스피뎀은 TPD에서 파생된 기술로 초기 TPD 기술로 꼽히는 프로탁·분자 접착제 기술 보다 한단계 발전했다. 스피뎀을 활용하면 기존 방식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표적에 대해서도 접근 가능하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물류 자동화 로봇기업 콘토로로보틱스, 170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 물류 자동화 로봇기업 콘토로로보틱스는 170억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2022년 설립된 콘토로로보틱스는 텍사스 오스틴에 본사를 두고 원격지에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유영목 콘토로로보틱스 CEO는 "미 항공우주국(NASA)과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지난 10년간 세계 수준의 인간-로봇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해 연구해왔다. 콘토로로보틱스는 세계 어디서나 로봇을 원격 제어할
-
메이저나인, 220억원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콘텐츠, 자율주행 선박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전장 부품 전문 스타트업도 주목받았습니다. 메이저나인, 220억원 투자 유치바이포엠스튜디오의 자회사인 콘텐츠 기업 메이저나인이 22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인터베스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메이저나인은 음악, 영상, 공연,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지식재산권(IP)을 제작·유통·마케팅하는 기업이다. 이번 투자 유치로 바이포엠스튜디오 및 경영진의 지분율이 65%가 됐다. 이번 투자사는 바이포엠스튜디오의 원소스멀티유즈(OSMU) 사업 인프라와 마케팅 경쟁력에 기반한 메이저나인의 성장 가능성,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이저나인은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일본 및 동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 및 콘텐츠 경쟁력 강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씨드로닉스, 15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는 시리즈 B라운드에서 1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한국산업은행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도 후속 투자에 나섰다. 2015년에 설리뵌 씨드로닉스는 우수한 연구진과 방대한 실제 운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양 산업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상황 인식 AI 기술을 개발했다. 'CES 2024 혁신상' 수상, 세계 최초
-
공장자동화 기업 제이엘티, 230억 규모 시리즈 B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공장 자동화, 의료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통합상담 솔루션 관련 스타트업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공장자동화 설비 솔루션 기업 제이엘티, 230억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인공지능(AI) 기반 로보틱스 업체 제이엘티가 23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스톤브릿지벤처스 외에도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SJ투자파트너스, 밀레니엄뉴호라이즌스 등 국내외 투자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제이엘티의 핵심 기술력과 해외 시장 확대에 주목한 미국 실리콘밸리 기반의 딥테크 전문 투자사 밀레니엄뉴호라이즌스가 참여했다. 제이엘티는 이번 시리즈B 투자 유치를 통해 기존 용접 자동화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용접 검사와 비전 검사를 통합한 차세대 로봇 자동화 솔루션 개발에 속도를 낸다. 해당 솔루션을 바탕으로 전기차 및 조선, 해상풍력발전, 플랜트 공사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고객사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의료기술 스타트업 코넥티브, 14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 AI 기반 정형외과 전주기 솔루션을 개발하는 코넥티브는 14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DSC인베스트먼트, 슈미트, 스톤브릿지벤처스, 리벤처스가 참여했으며, BSK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JB인베스트먼트, 빅무브벤처스가 신규 투자사로 합류했다. 670여개 병상을 보유한 부민병원이 이번 단계에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했다. 노두현 서울대
-
휴대폰 영업 대리점 스타트업 셀렉터, 150억 규모로 소니드에 인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통신,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양극재 관련 스타트업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휴대폰 영업 대리점 스타트업 셀렉터, 150억 규모 소니드에 인수소니드가 통신·방송장비·부품 유통사업 진출을 위해 셀렉터 지분 100%를 150억원에 인수한다고 12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인수로 소니드는 기존 사업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통신기기 유통 플랫폼과 연계한 다양한 신사업 기회를 모색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지난 2020년 설립된 셀렉터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주요 이동통신 3사의 서비스와 삼성, 애플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의 제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통신기기 편집숍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에게 통신사와 단말기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유통 모델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을 이뤄왔다. 소니드는 셀렉터 지분을 인수함과 동시에 추가 투자를 진행해 공격적인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기존 소재부품 사업을 넘어 통신·방송장비부품 부문으로 사업을 다각화할 예정이다. 전고체배터리 소재 기업 솔리비스, 124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유치고체전해질 원천 기술과 양산 공정기술을 보유한 전고체 소재 전문기업 솔리비스가 124억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2월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이후 1년만이다. 이번 투자 유치로 솔리비스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400억원을 넘겼다. 기존 투자자의 주도
-
AI 영상 제작 스타트업 시나몬, 110억원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플랫폼,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치료제 관련 스타트업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AI 영상 제작 스타트업 시나몬, 110억원 규모 투자 유치3D 기반 AI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를 개발 중인 시나몬은 11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시나몬은 기술력과 사업 확장성을 바탕으로 2022년에 이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알토스벤처스와 새한창업투자가 참여했다. 시나몬은 AI와 3D 기술을 하이브리드로 활용하는 영상 제작 스타트업이다. 2019년 창업 후 인터랙티브 게임 분야의 기술 고도화에 집중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규 솔루션 시네브이는 이용자가 입력한 스토리를 기반으로 3D 공간에서 AI 기술로 영상을 구현한다. 특히 프롬프트 입력에 따라 다른 결과물을 얻는 생성형 AI 영상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가 배우의 연기와 카메라 연출, 조명, 배경 등을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다. 온라인 취미 클래스 서비스 클래스 101, 35억원 규모 투자 유치온라인 취미 클래스 플랫폼 '클래스101'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기반 벤처캐피탈 스트롱벤처스로부터 3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 유치는 지난해 10월 150억 원 투자에 이은 브릿지 투자 건으로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약 825억 원을 기록했다. 스트롱벤처스는 클래스101의 첫 투자사로 초기 성장 단계부터 이번 투자까지 총 여섯 차례 투자에 참여했다. 클래스101은 6000개의 온라인 클래스와 13만 명의
-
혈뇌장벽 셔틀 플랫폼 리스큐어, 200억 투자 유치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헬스케어,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AI 메신저 스타트업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리스큐어바이오, pre-IPO 200억 유치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 셔틀 플랫폼을 개발하는 리스큐어 바이오사이언스가 200억원을 유치했다. 신규 투자자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인터밸류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 IBK증권, 이지자산운용 등이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로 인트로바이오, 로이투자파트너스, 뮤어우즈벤처스, 유경PSG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리스큐어는 이번 투자금을 간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LB-P8’의 미국 임상2상 진행과 글로벌 제약사들과 BBB셔틀 플랫폼 ‘Exo-Pass N’의 공동 사업화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또한 대장암, 췌장암에 대해 개발하고 있는 LB-P2D의 미국 임상 진입을 위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스마트팩토리 시즐, 237억 프리IPO 투자 유치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시즐이 237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내년 증시 입성을 목표로 진행한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라운드에서 투자자들을 성공적으로 끌어모으면서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해외 진출 등 사업 영역 확대에 투입할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이번 라운드에서 시즐의 투자 전 기업가치를 550억원으로 책정했다. 4년 전 시리즈A 당시보다 늘어난 매출 규모와 성장세를 반영한 몸값이다. 투자는 시즐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신주를 투자자들이 나눠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시즐
-
바이오 기업 핀테라퓨틱스, 시리즈C 200억 확보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신약 개발, 여행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방산 전문 스타트업도 주목받았습니다. 핀테라퓨틱스, 시리즈C 200억 유치 성공단백질 분해(TPD) 신약 개발 기업인 핀테라퓨틱스는 약 200억원의 시리즈C 투자금을 유치했다. 핀테라퓨틱스의 시리즈C 라운드 투자금은 국내 모험자본의 다수 투자자로부터 확보했다. KB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위벤처스, 산업은행 등이 투자했다.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씨케이디창업투자, 퀀텀FA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유안타인베스트먼트는 1500억원 규모로 운용 중인 K-바이오·백신 1호 펀드의 초기투자처 3곳 중 하나로 핀테라퓨틱스를 선정했다. 핀테라퓨틱스는 단백질 분해 신약(TPD) 분야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와 신규 E3 라이게이즈(ligase) 분야에서 기술력과 경쟁력 있는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트립소다, SAFE 방식 추가 투자 유치어드벤처 여행 플랫폼을 운영하는 트립소다가 씨엔티테크로부터 SAFE 방식으로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SAFE 투자란 현재 기업 가치를 확정하지 않고, 미래의 후속 투자단계에서 결정된 기업 가치에 따라 신주를 배정받는 투자 방식이다. 이번 투자를 최종 승인한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는 “트립소다는 여행 커뮤니티와 커머스를 꾸준히 연결하려는 시도를 통해 어드벤처 여행 시장의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며 “투자 혹한기에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
AI 기업 트웰브랩스가 3000만달러 투자 [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 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지난 한 주간 AI,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시니어 전문 스타트업도 주목받았습니다. 트웰브랩스, 430억 투자 유치영상이해 초거대 AI 개발 기업 트웰브랩스가 3000만 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글로벌 최대 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브릭스를 비롯해 SK텔레콤, 허브스팟벤처스, 인큐텔이 참여했다. 지난 6월 시리즈 A 투자 유치 이후 데이터, AI 분야 선도 기업들이 잇달아 투자에 나서며 트웰브랩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이번 전략적 투자 유치로 트웰브랩스의 누적 투자 금액은 약 1억 700만 달러(1530억 원)에 달한다. 트웰브랩스는 2021년 창업 초기부터 영상 분야의 잠재력을 예측하고 멀티모달 신경망 기술을 구축해왔다. 지난 3월 출시한 초거대 AI 영상 언어 생성 모델 ‘페가수스’ 및 멀티모달 영상이해 모델 ‘마렝고’는 구글, 오픈AI 등 상용 및 오픈소스 영상 언어 모델과 비교해 최대 43%가량 성능 우위를 보이며 영상이해 기술에 있어 독보적인 경쟁력을 입증했다. 트웰브랩스는 오라클과의 다년간의 클라우드 파트너십을 통해 일찍이 수천 개의 H100 등 최신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를 확보하며 멀티모달 영상이해를 위한 세계 최초의 기반 모델을 개발하기도 했다. 클로버추얼패션, 500억원 투자 유치디지털 의상 솔루션 기업 클로버추얼패션이 5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