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 자본확충 나선 미래에셋생명…후순위채 150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3월24일(16: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래에셋생명이 15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발행한다.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자본 쌓기에 나섰다는 평가다.미래에셋생명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1500억원어치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했다. 조만간 금리와 발행시기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정하고 투자자 모집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회사의 후순위채 발행은 2018년 11월(2000억원) 이후 약 2년4개월 만이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엔 전액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을 때부터는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매년 20%씩 감소하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원리금을 돌려받는 우선순위가 일반 회사채보다 뒤로 밀린다. 이런 이유로 신용도는 일반 회사채보다 낮고 금리는 더 높다.미래에셋생명은 또 한 번 후순위채 발행을 추진하는 것은 2023년 IFRS17 시행에 앞서 충분한 자본을 쌓아두고 위해서다. 모든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 아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해서다. 미래에셋생명의 지난해 말 기준 지급여력(RBC)비율은 224.7%로 금융당국의 권고치(150%)를 70%포인트 이상 웃돌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추가 자본확충 나선 미래에셋생명…후순위채 150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3월24일(16: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래에셋생명이 15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발행한다.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자본 쌓기에 나섰다는 평가다.미래에셋생명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1500억원어치 후순위채 발행을 결정했다. 조만간 금리와 발행시기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정하고 투자자 모집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회사의 후순위채 발행은 2018년 11월(2000억원) 이후 약 2년4개월 만이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엔 전액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을 때부터는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매년 20%씩 감소하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원리금을 돌려받는 우선순위가 일반 회사채보다 뒤로 밀린다. 이런 이유로 신용도는 일반 회사채보다 낮고 금리는 더 높다.미래에셋생명은 또 한 번 후순위채 발행을 추진하는 것은 2023년 IFRS17 시행에 앞서 충분한 자본을 쌓아두고 위해서다. 모든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 아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해서다. 미래에셋생명의 지난해 말 기준 지급여력(RBC)비율은 224.7%로 금융당국의 권고치(150%)를 70%포인트 이상 웃돌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자본확충 이어가는 메리츠화재, 후순위채 2000억 발행
≪이 기사는 03월16일(13: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메리츠화재가 또 한 번 자본 확충에 나선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2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2023년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꾸준히 자본을 쌓아두고 있다는 분석이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다음달 중반 10년 만기 후순위채 2000억원어치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 회사가 5년 후 해당 채권을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을 붙이는 것을 검토 중이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에는 전액이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았을 때부터는 자본으로 인정받는 금액이 매년 20%씩 줄어드는 채권이다. 자본 적정성 지표를 개선하려는 금융회사들이 주로 발행하고 있다.메리츠화재는 IFRS17 시행에 앞서 재무구조를 탄탄히 다지기 위해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이 2년 후 도입되면 부채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런 이유로 메리츠화재는 3년 전부터 후순위채와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본을 쌓고 있다. 지난해 11월 말에도 영구채 105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메리츠화재는 이번 영구채 발행을 통해 보험사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을 다소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RBC비율은 226.7%로 금융당국의 권고치(150%)보다 70%포인트 이상 높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한화손보, 후순위채 최대 2000억원 발행…자본확충 박차
≪이 기사는 10월08일(08: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화손해보험이 후순위채를 발행해 최대 2000억원을 조달한다. 영구채(신종자본증권)으로 1900억원을 마련한 지 3개월만이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화손보는 오는 30일 1500억~20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10년이며 5년 후부터 한화손보가 이 후순위채를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을 붙이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 회사는 23일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고 있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엔 전액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나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았을 때부터 매년 자본 인정금액이 20%씩 줄어드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청산했을 때 원리금을 돌려받는 순위는 일반 회사채보다 뒤에, 영구채보다는 앞에 있다. 이런 이유로 영구채보다는 금리가 낮게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한화손보는 이번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지급여력(RBC)비율을 끌어올려 자산건전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국내 보험사들은 2021년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자본을 쌓고 있다. 보험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 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해서다. 한화손보의 지난 6월 말 기준 RBC비율은 172.9%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약간 웃돌고 있다. 지난 7월 1900억원어치 영구채 발행으로 RBC비율은 이보다 다소 상승했지만 여전히 200%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IB업계에선 한화손보가 3억~4억달러(약 3300억~4400억원)어치 해외 후순위채 발행도 추진하고 있어 당분간 이 회사의 자본확충 작업이 이어질
-
동양생명, 후순위채 투자수요 확보 실패
첫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동양생명이 모집액을 모두 채우는 데 실패했다. 투자자들이 기대한 금리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것이 투자수요가 부진한 이유로 꼽힌다.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동양생명이 1년 만기 후순위채 10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지난달 30일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850억원의 매수주문만 들어왔다. 매수주문 대부분을 주요 증권사 소매판매부서에서 냈다. 한국투자증권과 KB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후순위채는 발행 당시엔 전액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지만 채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남게 됐을 때부터는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매년 20%씩 줄어드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일반 회사채보다 투자자가 원리금을 돌려받는 순위가 뒤로 밀린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선 선순위 채권보다 신용등급이 한 단계 낮고 금리는 더 높게 결정된다. 회사가 제시한 채권 금리가 기대에 못 미치자 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서는데 주저했다는 분석이다. 동양생명이 수요예측에 앞서 내놓은 후순위채 희망금리 범위는 연 3.8~4.4%. 청약 경쟁률이 높을 경우 금리가 연 4% 아래로 결정될 수도 있는 수준이다. ‘AA’등급 채권치곤 높은 편이지만 채권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영구채(신종자본증권)나 후순위채 금리에는 다소 못 미쳤다는 평가다. 지난달 30일 국내 2위 손해보험사인 현대해상이 발행한 같은 등급의 영구채 금리도 연 4.34%에 달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채권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는 현대해상도 영구채를 연 4%대로 찍다보니 동양생명 후순위채는 연 4% 후반에서 연 5%대 금리를 기대한 투자자가 적지 않았다”며 “기대했던 것보
-
KDB생명, 최대 2200억원 후순위채 발행
≪이 기사는 06월05일(14: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KDB생명이 최대 22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한다. 지난달 해외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이어 자본 확충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DB생명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2500억원 한도로 후순위채를 발행한다는 안건을 승인했다. 이 회사는 늦어도 오는 9월 안에 후순위채 발행으로 최대 22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10년이며 발행한 지 5년 후부터 KDB생명이 조기상환권리(콜옵션)를 행사할 수 있는 조건을 붙일 예정이다. 후순위채는 만기가 5년 이상 남았을 때 발행금액의 100%를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만기가 5년 이내로 줄어들면 자본 인정금액이 매년 20%씩 감소한다. 발행기업이 파산하면 투자자가 원리금을 돌려받는 우선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등급이 낮고 금리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KDB생명이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것은 자본 확충을 통해 자산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말 108.5%까지 떨어진 지급여력(RBC)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난 1월 3044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 뒤, 추가로 4300억원의 자본을 쌓는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그 일환으로 지난달 2억달러(약 2100억원) 규모 해외 영구채를 발행해 RBC비율을 190%대까지 높였다. KBD생명 관계자는 “시간이 갈수록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대 일찍 후순위채를 찍어 자산건전성을 개선할 방침”이라며 “오는 9~10월 기존에 발행했던 후순위채 중 460억원가량이 자본 인정금액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
-
신한생명, 첫 후순위채 투자수요 확보 ‘성공’
≪이 기사는 06월04일(17: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첫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신한생명보험이 투자수요 확보에 성공했다. 정기적으로 연 4%대 이자를 주는 우량채권이란 평가에 힘입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분석이다. 이번 후순위채 발행으로 현재 170%대인 지급여력(RBC)비율을 190% 이상으로 높일 전망이다.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한생명이 10년 만기 후순위채 15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벌인 결과 226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이 채권엔 발행한 지 5년 후부터 신한생명이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있다.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이번 후순위채를 비교적 금리가 높은 우량채권으로 본 여러 기관들이 투자에 나섰다. 목표 수익률이 높은 공제회를 비롯해 몇몇 증권사 소매판매(리테일)부서가 매수주문을 낸 것으로 전해진다. 신한생명은 수요예측에 앞서 기관들에 후순위채를 연 3.6~4.1% 금리로 발행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AA+’ 신용도치고는 높은 수준이다. 같은 만기의 AA+등급 회사채 평균금리는 연 3.28%(1일 기준)다.후순위채는 만기가 5년 이상 남았을 때 발행금액의 100%를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만기가 5년 미만으로 줄면 매년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20%씩 줄어든다. 발행기업이 파산했을 때 투자자가 원리금을 돌려받는 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등급이 낮고 금리가 높은 게 일반적이다. 신한생명은 넉넉한 수요가 모이자 후순위채 발행규모를 최대 2000억원까지 늘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발
-
현대해상, 글로벌 영구채 발행 확정…“최대 7억달러 조달”
현대해상화재보험이 글로벌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확정했다. 현대해상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올 3분기 5억달러(약 5400억원) 규모로 글로벌 영구채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회사는 시장 여건이 괜찮을 경우 발행금액을 최대 7억달러(약 7500억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이자지급이 중단된다. 발행회사가 청산하면 원리금 상환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등급이 낮고 금리는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현대해상은 자본을 늘려 지급여력(RBC)비율을 높이고자 영구채 발행에 나섰다. 국내 보험사들은 2021년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시행을 앞두고 적극적으로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다.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IFRS17 아래에선 부채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자본을 쌓아둬야 자산건전성 악화를 막을 수 있어서다. 이 회사의 지난 1분기 말 기준 RBC비율은 178.0%로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조금 웃돌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단독]KDB생명, 2억달러 해외 영구채 발행 ‘성공’
≪이 기사는 05월15일(03: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KDB생명이 2억달러(약 2100억원) 규모 해외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했다. 연 7%대 금리를 제시한 것과 최근 실적과 재무상태가 개선된 것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분석이다. 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DB생명이 30년 만기 영구채 2억달러어치 발행을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아시아와 유럽 기관투자가 43곳이 약 4억달러의 매수주문을 냈다. UBS와 산업은행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이자 지급이 중단된다. 발행회사가 청산하면 원리금 상환순위가 뒤로 밀려 일반 선순위 회사채보다 금리가 높은 편이다. KDB생명이 이번에 발행하는 영구채 금리는 연 7.5%로 결정됐다. 최근 미국 채권금리가 크게 뛰면서 당초 시장 예상보다 높은 금리로 발행하는 것이 불가피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영구채에 붙은 글로벌 신용등급은 ‘BB’(피치 기준)로 KDB생명 신용등급(BBB-)보다 두 단계 낮다. IB업계 관계자는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다보니 나중에 채권가격 하락으로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지 않을 정도의 금리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해진 상황”이라며 “KDB생명이 연 7%대 금리를 제시하면서 투자자들의 눈높이를 맞춘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장기간 지속됐던 적자에서 벗어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KDB생명은 올 1분기 영업이익 4억6000만원, 순이익 36억원을 거두며 7분기
-
한화생명, 10억달러 글로벌 영구채 수요확보 ‘성공’
≪이 기사는 04월17일(13: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기업 사상 최대인 10억달러(약1조700억원)어치 글로벌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 한화생명이 수요확보에 성공했다.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이 10억달러 규모 영구채 발행을 위해 전날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글로벌 기관투자가들이 16억달러(약1조71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이번 한화생명 영구채 만기는 30년이며 발행 후 5년째부터 조기상환이 가능하다. 노무라증권 BoA메릴린치 JP모간 UBS가 발행주관을 맡았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있지만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금융당국으로부터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 이자 지급이 중단된다. 발행회사가 청산될 경우 원리금 상환순위가 뒤로 밀리는 후순위이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높은 금리를 준다.한화생명이 이번에 발행할 영구채 금리는 연 4.7% 수준으로 결정됐다. 이 회사가 당초 희망했던 수준(연 5.0%)보다 0.3%포인트 낮다.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금리를 낮춰 매수주문을 넣은 덕분에 자금조달 비용을 다소 줄일 수 있게 됐다. 이번 영구채에 붙은 글로벌 신용등급은 ‘A3’로 기업 신용등급(A1)보다 두 단계 낮다.한화생명은 영구채 발행으로 10억달러의 자본을 확보, 지난해 말 206%인 지급여력(RBC)비율을 230% 이상으로 높일 수 있게 됐다. 국내 보험사들은 2021년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해야 하는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이 도입되면 회계상 부채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자본 확충을 통해 자본적정성을 개선하는데 힘쓰고 있다. 금융
-
자본확충 급해진 보험사…롯데손보·동부생명도 연말 조달행렬 합류
이 기사는 11월14일(03:4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손해보험과 동부생명보험도 연말 보험사들의 자본 확충 행렬에 합류한다. 새 보험업 회계저리 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자본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 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다. 흥국생명의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 성공 이후 보험사들이 또 한 번 자금조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오는 30일께 9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만기는 10년이며 발행한 지 5년 후부터 발행회사가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있다.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오는 23일 진행할 예정이다. KB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동부생명도 자본확충에 나섰다. 연내 영구채나 후순위채를 사모로 발행해 1000억원가량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몇몇 국내 증권사에 조달 계획을 전달하고 발행 주관을 맡아줄 수 있는지를 문의한 상태다.증자 움직임도 활발하다. 한화손해보험이 지난 9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해 1997억원을 조달했다. KDB생명도 3000억~5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증자계획을 보완할 것을 요구하는 등 진행상황이 순탄치는 않지만 자본확충이 다급한 상황을 고려하면 적어도 연내에는 조달계획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지난 9일 흥국생명이 5억달러(약 5600억원) 규모 글로벌 영구채 발행에 성공한 이후 중소형 보험사들도 RBC비율 개선을 위한 자금조달에 뛰어들었다는 평가다. 올해 교보생명(5600억원) 동부화재(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