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견기업 QIB 회사채 프로그램 가동
금융당국이 적격기관투자가(QIB) 제도를 활용해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 적 없는 우량 중견기업의 회사채 시장 데뷔를 지원한다.금융위원회는 30일 서울 여의도동 한국산업은행 IR센터에서 한국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중견기업 QIB 회사채 프로그램 최초 발행 기념식’을 열었다.이날 로젠, 디케이씨 2개 기업이 중견기업 QIB 회사채 프로그램에 참여해 총 1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2012년 도입된 QIB 제도는 충분한 위험 관리능력이 있는 금융기관·펀드·연기금 등 적격기관투자자 사이에 채권 및 증권 거래할 때 각종 공시의무와 전매제한을 완화해주는 제도다.투자자는 기업의 과거 회사채 발행 이력과 신용등급 등을 기초로 투자를 결정하는 만큼 그동안 QIB제도는 대부분 신용등급이 높은 국내 대기업의 외화채(KP물) 발행에 활용됐다.이번에 선보인 중견기업 QIB 회사채 프로그램은 공모 회사채 발행실적이 없는 우량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QIB 방식 회사채를 발행할 수 있게 지원하는 방식이다.회사채 발행금액에서 최대 80%까지 신용보증기금이 원리금 전액을 지급보증해 적격기관투자가에게 매각한다. 신용보증기금의 지급보증을 기반으로 중견기업이 발행한 회사채가 최고 신용등급(AAA 등급) 채권이 되는 셈이다. 적격기관투자가에 매각하고 남은 잔여 회사채는 산업은행이 인수해 자금을 지원한다.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채권시장 조달 지원 방안인 P-CBO(유동화보증)와 비교하면 기업의 이자 부담이 1.3%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추산됐다.P-CBO는 여러 기업의 회사채를 모아 특수목적법인(SPC) 명의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해 위험을 분산하는 방식
-
[마켓인사이트] 동방항공, QIB로 3000억 모았다
▶마켓인사이트 12월 4일 오후 2시20분중국 국적항공사인 동방항공이 사상 최대 아리랑본드(외국 기업이 한국에서 발행한 원화 채권) 투자 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동방항공은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된 적격기관투자가제도(QIB)를 처음 활용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선 동방항공의 발행 성공을 계기로 QIB를 활용한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이 점차 확대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7년 만에 열린 QIB 적용 발행4일 IB업계에 따르면 동방항공은 6일 발행 예정인 300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원화 채권(신용등급 AA-) 투자자 모집을 완료했다. 아리랑본드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발행 금리는 연 2.4% 수준으로 잠정 결정됐다. KB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동방항공은 이번 아리랑본드를 발행하며 2012년 국내에 도입된 QIB 제도를 처음 활용했다. QIB는 외국 기업이 증권신고서 등 각종 채권 발행 관련 서류를 영문으로 제출하고 간소한 심사만 받으면 전문 투자기관을 대상으로 채권 수요를 모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한글로 발행 관련 서류를 내야 하는 것을 면제해줌으로써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을 확대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박성원 KB증권 IB1총괄본부장(부사장)은 “이번 동방항공의 아리랑본드 발행 성공으로 외국 기업이 국내 채권시장에서 QIB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길이 열렸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사모 사채 관련 규제 풀어줘야”하지만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이 얼마나 증가할지는 미지수란 게 IB업계의 분석이다. QIB를 통한 외국 기업의 채권 발행을 가로막고 있는 규제의 산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금융감독당국은 2016년 증권사가 Q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