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메가 스팩’ 줄줄이 청산...실패로 끝난 대형화 실험

    ‘메가 스팩’ 줄줄이 청산...실패로 끝난 대형화 실험

    공모금액이 수백억원에 달했던 중대형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이 연이어 청산 수순을 밟고 있다. 최근 3년간 증권사들이 벌였던 ‘메가 스팩’ 경쟁이 결국 시장의 외면으로 빈손으로 끝나는 흐름이다.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드림스팩1호가 추석 연휴 이후 사실상 청산 절차에 돌입할 전망이다. 오는 10일까지 합병대상을 공시하지 않으면 상장폐지 대상에 오른다.지난해 NH스팩19·20호가 먼저 문을 닫았고, 올해 들어서도 하나금융25호스팩을 시작으로 삼성스팩7호가 청산됐다. 다른 삼성스팩8호는 상장폐지를 위한 정리매매를 진행 중이다. 이들은 모두 공모금액이 300억원이 넘는 대형 스팩이다.스팩은 상장 이후 3년 이내에 다른 기업과 합병을 완료해야 한다. 합병에 성공하지 못하면 6개월 전부터 청산 절차를 밟아 상장 폐지된다.국내 스팩 시장에서 대형화의 신호탄은 2021년 NH투자증권이 상장시킨 NH스팩19호(960억원)와 NH스팩20호(400억원)였다. 당시 스팩의 공모금액은 60억~120억원 수준이 일반적이었는데 NH투자증권이 승부수를 던졌다.그 뒤를 이어 2년여 동안 하나금융25호스팩(400억원), 삼성스팩7호(300억원), 삼성스팩8호(400억원), 미래에셋드림스팩1호(700억원), NH스팩29호(255억원), KB제27호스팩(250억원), 신한제11호스팩(360억원) 등이 증시에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공모주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시가총액 3000억원 이상, 또는 1조원 대어급 IPO 기업까지도 스팩합병을 선택지로 삼을 것이란 판단이었다. 일반 상장 실적을 쌓기 어려웠던 만큼 신규 스팩 상장을 통해 주관실적을 메우려는 의도도 깔려있었다.그러나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 피아이이, 크리에이츠 등 일부 기

  • IPO 재도전 나선 스팩, 수요예측 흥행...KB24호스팩도 '청신호'?

    IPO 재도전 나선 스팩, 수요예측 흥행...KB24호스팩도 '청신호'?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한 뒤 상장을 철회했던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이 재도전에선 넉넉한 주문을 받는 데 성공했다. 시장의 관심은 공모액이 300억원이 넘는 대형 스팩인 KB24호스팩의 재도전 결과로 쏠리고 있다.NH스팩29호는 지난 7~8일 이틀 동안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서 최종 경쟁률 70대 1을 확보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국내외 기관 220곳이 수요예측에 참여했다. 공모가는 2000원으로 공모가 기준 공모액 255억원인 중형급 스팩이다.7~8일 나란히 재도전에 나선 하이제8호스팩도 기관 수요예측에서 413대 1의 경쟁률을 확보하며 흥행했다. 국내 기관 520곳이 주문을 넣었다. 공모가는 2000원이며, 공모액은 85억원이다.NH스팩29호와 하이제8호스팩은 각각 3월과 4월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한 뒤 상장 철회를 결정했던 곳이다. 기관투자가로부터 외면받아 공모 절차를 진행하기 어려운 수준의 주문만 들어와서다.당시 중소형 IPO 시장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스팩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NH스팩29호처럼 공모금액이 큰 스팩의 경우 상대적으로 합병 가능성이 작다는 평가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다.업계에선 올해 스팩 합병이 연달아 진행되면서 다시 스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스팩은 통상 공모가 수준에서 주가가 머무르다 스팩 합병이 이뤄지면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올해 스팩 합병으로 증시에 입성한 기업은 10곳이다. 이들 외에 스팩 합병을 결정하고 합병 절차를 진행하는 곳은 21곳이다. 역대 최다 스팩합병 건수는 2017년 21곳으로 올해 새 기록을 쓸 것으로 전망됐다.5월 말 대형 스팩의 합병 소식이 전해진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2차전지 검사 솔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