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LX하우시스, LG에서 간판 바꾸고 회사채 최대 2000억 공모 [마켓인사이트]

    LX하우시스, LG에서 간판 바꾸고 회사채 최대 2000억 공모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31일(14: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X하우시스가 LG그룹에서 계열분리된 LX그룹으로 개편된 후 처음으로 회사채를 공모를 추진한다.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X하우시스는 최대 2000억원 규모 회사채 공모발행을 위해 KB증권이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만기는 3년물과 5년물로 구성할 계획이다. 오는 16일께 수요예측을 시행한 후 이달 하순 회사채를 발행한다. LX하우시스는 지난 5월 LG그룹에서 계열분리 설립된 LX그룹의 계열사로 개편됐다. 창호, 바닥재, 인조대리석 등 건축자재를 비롯해 자동차 부품·내장재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며 최근 5년간 매년 3조원 안팎의 매출을 기록했다. 상반기말 기준 부채비율은 185%에 이른다. 신용평가사별로 신용평가 등급이 엇갈리고 있어 발행 금리에 관심이 쏠린다. 나이스신용평가는 6월말 평가에서 LG하우시스의 장기 신용등급을 기존 A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단기 신용등급을 A1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791억원 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점과 모그룹이 LG그룹에서 LX그룹으로 바뀐 점을 감안했다. 한국신용평가는 AA-(부정적) 등급을 유지하고 있고 한국기업평가는 AA-(안정적)으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경기회복에 따라 건축자재 수요가 증가하고, 고수익성 제품(단열재, 이스톤, 하이막스, 바닥재 등) 판매가 늘어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소재와 산업용필름 부문이 계속 적자를 내고 있으나. 코로나19 사태가 완화되고 완성차 판매가 회복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X

  • 'LG 품' 벗어나며 'AA급'에서 'A급'으로 내려앉은 LG하우시스 [마켓인사이트]

    'LG 품' 벗어나며 'AA급'에서 'A급'으로 내려앉은 LG하우시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01일(14: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LG그룹에서 분리되는 LG하우시스의 신용등급이 떨어졌다.나이스신용평가는 1일 LG하우시스의 장기 신용등급을 종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한 단계 차이지만 채권시장에서 AA급과 A급 기업을 바라보는 인식의 격차는 큰 편이다. 채권시장 안팎의 변동성이 커지면 기관투자가들이 A급 이하 기업을 투자 위험이 큰 대상으로 여기기 때문이다.이번 LG하우시스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은 LG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를 앞둔 상황에서 이전 대비 계열의 지원 능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판단에서 이뤄졌다. 이전까진 계열의 지원 능력으로 인해 자체적인 신용등급에 비해 한 단계 높은 신용등급을 받아왔다.지난 5월 LG하우시스를 비롯해 LG상사, 실리콘웍스, LG엠엠에이, 판토스 등 총 5개사의 지분이 LG에서 LX홀딩스 산하로 이전됐다. 향후 계열 분리 완료를 위해 대주주간 지분 정리와 계열 분리 승인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나이스신용평가는 "LX그룹의 재무여력은 LG화학, LG전자 등을 보유 중인 LG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위하다"며 "계열 분리 이후 그룹 내 사업적·재무적 긴밀성이 인정돼 유사시 LX그룹의 지원 가능성은 높지만 이전 대비 그룹의 지원 능력 약화와 자체 신용도를 감안했다"고 설명했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사업부 매각설 도는 LG하우시스 주목받는 배경은

    사업부 매각설 도는 LG하우시스 주목받는 배경은

    건축자재 등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LG하우시스가 자동차소재 사업부를 매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끊이지 않고 있다. LG하우시스는 공시를 통해 매각 여부에 대해 '미확정'이라는 입장을 반복하는 중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LG하우시스가 '시기'를 고르고 있을 뿐, 언제든 매각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지 않고 있다. 사모펀드 등 재무적 투자자(FI)와 전략적 투자자(SI) 중에서 LG하우시스에 눈독을 들이는 곳도 적지 않다.  LG하우시스는 '지인(Z:in)' 브랜드 등을 거느린 건축자재 부문에서 약 70%, 자동차소재 및 산업용 필름 부문에서 약 30% 가량의 매출을 올리는 회사다. 처음 매각설이 나온 배경은 자동차소재 부문 실적이 부진하다는 것이었다. 실적이 나쁘니까 팔아야 한다는 취지다.  이 부문의 실적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2년 연속으로 영업적자를 냈고, 작년 1~3분기(매출액 2조3818억원)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LG하우시스는 이 기간 건축자재 부문에서 774억원 영업이익을 봤지만 자동차소재 등에서 115억원 손실을 냈다.◆경량화 자동차소재 '잠재력' 그러나 LG하우시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잠재적 인수 후보들의 관점은 다르다. 단순히 현재 영업손익으로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카포칼립스(자동차+아포칼립스)'라는 표현이 등장할 정도로 완성차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많지만, LG하우시스가 생산하는 것은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경량화 자동차 부품이다.전기차나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 에너지로 동력원을 삼는 모빌리티 트렌드가 강화될수록 가벼운 자동차 소재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탄소 배출 규제, 연비 규제 등의 규제환경도

  • 수익성 악화된 LG하우시스, 신용등급 하락 ‘경고등’

    이익이 대폭 줄어든 LG하우시스의 신용도에 ‘경고등’이 켜졌다.한국기업평가는 13일 LG하우시스의 신용등급(AA-)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인 기업은 2년 내로 등급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최근 수익성이 눈에 띄게 나빠진 것을 반영했다. LG하우시스의 올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4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5% 줄었다. 순이익은 53억원으로 같은 기간 92% 감소했다. 주력인 건축자재사업의 전방인 주택시장이 하강국면에 진입한데다 유가 상승으로 원재료 구매비용이 증가한 여파가 컸다. 지속적인 이익 감소에 재무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대비 순차입금(총 차입금-현금성자산) 비율도 2016년 말 2.6배에서 올해 9월 말 4.3배로 상승했다.이동은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고기능소재 부문도 자동차업황 악화와 신흥국의 산업용 필름 수요 감소로 적자전환했다”며 “중기적으로 전방산업의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2020년까지 단열재 및 미국 공장 증설 등 대규모 투자가 예정돼 있어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기업평가는 LG하우시스의 △매출 대비 EBITDA 비율이 8%를 밑돌거나 △순차입금이 EBITDA의 3.5배를 웃돌거나 △차입금의존도가 45%를 초과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신용등급을 한 단계 아래인 ‘A+’로 떨어뜨리는 것을 검토할 방침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LG하우시스 회사채에 4000억 ‘사자’ 주문

    ≪이 기사는 03월15일(03: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G하우시스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의 네 배에 달하는 투자수요가 몰렸다. 회사의 꾸준한 성장세를 긍정적으로 본 여러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에 나섰다고 전해진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하우시스가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40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500억원씩 발행할 예정인 3년물과 5년물에 각각 2400억원, 1600억원씩 들어왔다. 한국투자증권 KB증권 KTB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지속적인 외형성장이 기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LG하우시스의 지난해 매출은 3조252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 2009년 회사 설립 이후 처음으로 연간 매출이 3조원을 넘어섰다. 창호와 바닥재 등 주요사업이 건축자재 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수익을 늘렸고 인조대리석과 자동차 소재 등 새로 공들이고 있는 사업들도 외형을 키우며 성장세에 보탬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폴리염화비닐(PVC)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영업이익(1330억원)은 전년 대비 15.3% 줄어들긴 했지만 꾸준히 1000억원대 이익을 유지하고 있다. LG하우시스는 풍부한 투자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최대 2000억원으로 늘릴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자재구매 및 차입금 상환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발행금리는 희망했던 범위 수준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3년물은 민간 채권평가사들의 시가평가(14일 기준) 대비 0.01%포인트 낮은 연 2.592%, 5년물은 0.03%포인트 높은 연 2.982% 수준으로 발행하는

  • LG하우시스 회사채에 4900억원 ‘사자’

    이 기사는 05월19일(10: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LG하우시스가 발행할 회사채에 모집금액의 세 배가 넘는 자금이 몰렸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하우시스가 15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49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500억원어치로 발행 예정인 3년물에 2600억원, 1000억원 규모로 발행할 계획인 5년물에 2300억원이 몰렸다.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케이프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준 것이 기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LG하우시스는 2012년 이후 매년 외형과 이익 모두 성장해왔다. 이 기간 매출은 2조4511억원에서 2조9283억원으로, 영업이익은 566억원에서 1570억원으로 증가했다. 주력인 건축자재 사업이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화재 관련 규제 강화에 따른 단열재 판매 증가, 가전 표면재 해외매출 증가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한 덕분이다. 최근 원재료 가격 상승과 전방산업인 자동차업황 부진 등으로 건축자재 및 고기능성 소재·부품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올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9.6% 줄어들긴 했다. 하지만 내년까지 국내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과 올 하반기부터 고마진제품인 인조대리석 판매가 시작되는 것 등을 고려하면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LG하우시스는 성공적인 수요예측에 힘입어 채권 발행금리를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당초 희망했던 범위보다 3년물은 0.07%포인트, 5년물은 0.02%

  • LG그룹 회사채 발행 ‘릴레이’…LG디스플레이도 2000억 조달

     이 기사는 05월08일(11: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LG그룹 계열사들이 잇따라 회사채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서고 있다. LG전자 LG화학 LG하우시스에 이어 LG디스플레이도 채권 발행 대열에 합류한다. 최근 ‘깜짝실적’을 고려하면 여러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에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이르면 이달 말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3~5년 수준으로 검토하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운영자금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이달 중후반 진행한다. KB증권 신한금융투자 케이프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 최근 LG그룹 계열사들이 연이어 회사채 발행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달 말 LG전자가 3600억원어치를 발행한 데 이어 이달에는 LG화학(5000억원)과 LG하우시스(1000억원)가 차례로 발행에 나선다. LG디스플레이까지 합치면 한 달 간 LG그룹이 회사채시장에서 조달하는 자금만 1조원이 넘게 된다. 회사채시장은 LG디스플레이가 큰 폭의 실적개선을 앞세워 여러 기관들의 투자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사의 올 1분기 매출은 7조6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영업이익은 1조269억원으로 2498.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분기 실적으로는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수요가 풍부한 중대형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판매가격 상승과 중소형 유가발광다이오드(OLED) 판매가 늘어난 덕분이다. 기관들이 선호하는 우량등급 회사채이